안동 하회마을 답사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서며

2. 삼남(三南)지방의 4대 길지(吉地)

3. 하회마을의 자연환경
1) 하회마을의 지형과 기후
2) 하회마을의 사면향별 가옥분포

4. 하회마을의 풍수 지리적 형국
1)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2)행주형(行周形)

5. 나서며
<참고문헌>
<그림 출처>

본문내용

잘 유지되어온 안동하회마을의 전통과 더불어 관광지로 발돋움하기에 좋은 조건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재로 많은 이 지역의 주민들의 삶은 과거와 같은 경작과 관직생활이 아닌 관광객을 상대로 하는 식당과 숙박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많은 건물들이 전통적인 외양을 그대로 갖추고 있으면서 현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림 13>을 보면 전통 기와집의 모습으로 보건소의 역할을 하고 있는 건물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모습을 하회마을의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숱한 음식점과, 민박집도 <그림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통 가옥을 살짝 개조하여 운영되고 있었다.
가옥들의 경우에도 과거에 지어졌던 집들을 잘 보수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므로 사전조사에서 살펴보았던 것과 같은 풍수지리적 이유에 따라 가옥이 입지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이전과 같이 많은 가구들이 모여살 필요가 없는 연유로 인해, 하회마을의 남쪽에는 많은 집들이 비어있거나, 헐리어서 경작지로 변해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뿐만아니라, 강변이 아닌 산 구릉에 경작지를 가지고 있던 과거의 경관과 달리 강변의 빈 집을 헐고 거기에 자그마한 밭을 경작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그림 10 참고)
<참고문헌>
-논문-
최희만.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지형적 입지 특성], {한국지리학회지}. 제9권 제4호. 2003.
-단행본-
경북도청. {下回마을 調査報告書}. 경북: 乙支社, 1979
임재해. {안동 하회 마을}. 서울: 대원사, 1994
신영훈. {안동 下回마을}. 서울: 朝鮮日報社, 1999
서수용. {안동 하회마을을 찾아서}. 서울: 민음사, 1999
-Web-
안동시청: http://www.andong.go.kr/
하회마을: http://www.hahoe.or.kr/
네이버 오픈백과: http://kin.naver.com/open100/
구글 이미지 검색: http://images.google.com/
-etc.-
성동환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풍수지리학과 교수
. [짧은 글 긴 생각]
epma.snu.ac.kr/keewook/tour/10.htm
<그림 출처>
■그림 1, 2, 6, 7 : 최희만.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지형적 입지 특성], {한국지리학회지}. 제9권 제4호. 2003.
■그림 9, 11, 12 : 구글 이미지 검색: http://images.google.com/
*목차
1. 들어서며
2. 삼남(三南)지방의 4대 길지(吉地) 村山智順의 「朝鮮의 風嗽」에서 제시되고 있는 용어이다. 저자는 일본인이지만, 조선말기 왕실 지관(地官)인 전기응의 도움을 받아 저술하였다고 하므로, 저자의 판단이 아닌 조선시대에 널리 알려진 길지관(吉地觀)을 수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3. 하회마을의 자연환경
1) 하회마을의 지형과 기후
2) 하회마을의 사면향별 가옥분포
4. 하회마을의 풍수 지리적 형국
1)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2)행주형(行周形)
5. 나서며
<참고문헌>
<그림 출처>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0.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