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계획 집합주택 평면의 가변성 확보 계획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계획 집합주택 평면의 가변성 확보 계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NDEX
1. 서론
1.1 지속가능한 건축

2. 가변형 주택 관련 이론과 개념정의
2.1 가변형 주택
2.2 오픈 하우징
2.3 LEVEL
2.4 고정요소(Support)와 가변요소(Infill). 1
2.5 SAR

3. 가변형 공동주택
3.1 가변형 공동주택의 정의
3.2 가변형 공동주택의 발전
3.3 국내 공동주택의 문제점

4. 가변성 확보를 위한 방안
4.1 가변성 확보의 개념적 방법
4.2 수납형 벽체
4.3 시스템가구
4.4 내적 가변의 특성에 따른 가변성 확보의 방법

5. 국내 가변형 공동주택 사례
5.1 간막이벽체에 의한 가변
5.2 수납벽체시스템에 의한 가변
5.3 개방 면수, 코어유형에 따른 가변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내부공간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3) 붙박이 가구(Built in Furniture)
붙박이 가구는 실내에 배치하는 도구로써의 가구가 아니라 실내 공간 구성의 설비요소로써 가구를 주거공간 자체로 보는 개념이다. 가구를 주거공간과 일체화해서 만듦으로써 가구배치의 혼란함을 없애고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부엌가구에서 장롱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4.4 내적 가변의 특성에 따른 가변성 확보의 방법
내적가변성에 따른 공간계획은 동일한 윤곽을 갖는 평면 내부에서 비내력 구조부의 위치조정이나 실의 용도변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평면 내의 전체적인 동선체계가 달라짐에 따라 평면마다의 분위기가 달라지며 독자성이 생기게 된다. 내적 가변성에 따라 공간 내부를 가변시키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진일, 건축계획론
1) 내부용도변경 : 거주자의 여려 변형에 대응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 내부변경이다. 처음부터 예측이 가능한 변화는 내부변경을 전제로 계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족수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처음부터 넓은 면적을 확보해 두면 된다.
2) Universal Space : 하나의 기능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고 다목적 이용을 가능하게 한 계획이다. 주거에서의 원룸(One Room System)으로 이 때는 가동가구로 자유로운 사용을 시도하지만 가족 간의 독립성을 유지하기는 어렵다.
3) 격자계획(Grid Plan) : 어떤 기준 치수로 한 격자 위에 간격을 비교적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으나 grid plan에 구애되어 잘못하면 공간이 균질적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4) 모듈계획(Modular Plan) : grid plan을 더 철저하게 하여 조명, 출입구, 배기구, 스프링클러, 전화 등 설비를 균등하게 배치할 수 있게 하여 임의의 격자상에 간벽을 설치하도록 한 계획이다.
5) 코어계획(Core Plan) : 변화하는 부분과 변화하지 않는 부분, 혹은 설비부분과 기타부분을 나누어 각 변화의 성질에 맞게 대응 방법을 시스템화한 것을 core system이라 할 수 있다.
5. 국내 가변형 공동주택 사례
5.1 간막이벽체에 의한 가변
5.2 수납벽체시스템에 의한 가변
5.3 개방 면수, 코어유형에 따른 가변
개방면에 따른 가변형태
1면 개방
전후면 개방
전측면 개방
전면 양측면 개방
단위평면
조합에
따른
가변형태
편복도형
중복도형
계단실형
홀형
복합형
6. 결론
21세기는 환경보전 중심의 사회로 건축분야에서도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공동주택은 구조적 내구성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거주자 및 사회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여 건설 후 20년 정도의 짧은 수명으로 조기 전면 철거 재건축됨으로써 자원 및 건설에너지 낭비와 폐자재 발생 등 다양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인식을 바탕으로 거주자의 다양한 공간 가변요구에 대응함으로써 건축물의 기능적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가변성 확보를 위한 계획적 방안을 알아보았다.
기존의 공동주택은 내부 공간의 레이아웃에 따라 고정요소를 배치해 향후 거주자의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설계 초기 단계에서부터 거주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고정요소와 가변요소를 계획함으로써 거주자의 요구에 따라 건축물이 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가변성 확보를 위해 간막이 패널, 수납형 벽체, 시스템 가구 등을 적절히 사용하여 거주자가 내부 공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도 중요하다.
※참고문헌
김수암, 오픈하우징의 이론과 실무
김수암, 공동주택의 가변형 주호에 관한 건축 계획적 연구,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문봉주, 탑상형 주거의 개방성 확보를 위한 계획경향,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김수암 외, 주거평면구성을 위한 수법의 M.C화를 위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김수암 외, 공동주택 내장벽체의 수납형 벽체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김진일, 건축계획론
조일아 김형우, 가변형 공동주택의 단위평면 구성에 따른 가변유형 분석
이현수 이혜원, 오픈 하우징의 SAR 이론을 활용한 주택평면 가변화 방법
조일아 김형우,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가변형 평면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조일아 김형우, 단위평면의 형태요인에 따른 내부공간 가변화에 관한 분석
이보라 김수암 이현수, 국내 아파트의 가변형 평면계획 경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모정현 이연숙, 지속가능한 주거 개발을 위한 가변성 개념의 유형학적 분석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0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