씰크로드학 서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들어가며

◎ 『씰크로드학』의 정리

◎『씰크로드학』, 이 책이 말하는 것

◎『씰크로드학』에 대하여

◎ 맺으며

본문내용

선포해 버릴 정도였다. 이는 마치 한반도의 삼국시대 서울 일대와 같은 역할인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서울 일대가 아닌 한반도 전체를 놓고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정수일 교수의 말에 의하면 씰크로드의 동단의 끝은 장안이 아닌 한반도의 경주, 더 나아가 일본까지 이어진다고 한다. 하지만 이제 한반도는 씰크로드의 동단이 아닌 전 세계의 가교로서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교통이 발달한 지금 한반도는 태평양과 유라시아를 연결시켜주는 아주 적절한 위치해 포진해 있는 것이다. 예전 중앙아시아의 국가들이 그랬던 것처럼, 한반도는 전 세계의 다리로서 그 역할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 맺으며
-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크게 느낀 점은, 자료의 방대함이었다. 이렇게 엄청난 양의 자료를 개인이 정리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감탄을 금치 못할 뿐이다. 정수일 교수의 학구열에 존경심을 표할 따름이다. 이러한 책을 내가 평가한다는 것 자체로도 황송스럽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우선 씰크로드의 재해석이라는 측면에서 정수일 교수의 주장은 획기적이다. 실크로드 동단이 장안이 아닌 한반도라는 점에서, 민족사적인 관점에서 충분히 호감이 가는 이야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동단 재해석의 주장이 누구로부터 시작되었는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는 사실이 안타깝다. 그리고 역사를 보편사적 관점으로 묶음으로 인해서 나타날 통일성에 의해 각 문명들의 독창성이 위협적이진 않을까 하는 우려도 든다.
허나 어찌 보면 이는 매우 미미한 부분으로, 이 책은 무척이나 훌륭하다. 그 이유는 첫째로 방대한 양의 자료다. 책 뒤쪽 연표만도 80p로 정말 많은 자료들을 수록해 놓았다. 또한 주제별로 파트가 짜여져 있어 누구나 쉽게 그에 관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책은 앞으로 씰크로드학이라는 학문의 발전에 있어서 초석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된다. 이 책을 통하여 한국, 더 나아가 아시아 및 세계는 씰크로드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며,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분야에 집중하게 될 것이다.
* 참고문헌
E.H. 카,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글방, 2001
새뮤얼 헌팅턴, 『문명의 충돌』, 김영사, 2002
남석환, 『동양문화의 교류 -실크로드의 길손-』, 한국문화사학회, 문화사학, 1994
최재수, 『고대중국의 해상활동과 해상실크로드 -고대로부터 당송시대까지-』, 한국해운물류학회, 해운물류연구, 1996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0.2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6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