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제품 시장과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타벅스 제품 시장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스타벅스의 고객 유치
2. 스타벅스와 타기업 경쟁
3. 주고객 연령층 분석
4. 스타벅스의 매장선정
5. SWOT분석
6. 성장 잠재력
7. 스타벅스의 차별화 전략
8. 4 P 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번 하지 않고도 브랜드 이미지를 높여 오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또, 신제품을 출시해 입소문을 내는 방식을 쓰기 때문에 매년 광고비는 매출액의 1% 수준인 3000만 달러만을 쓰고 있다. 이것 역시 대중매체를 이용한 광고는 하지 않는다.
2) 인적 판매
인적 판매(personal selling)는 판매원을 매개로 하는 촉진수단이다. 이것은 스타벅스사가 다른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에 비해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다. 스타벅스사의 브랜드 자산이 급성장하게 된 요인 중 하나로서, 직원들에 대한 철저한 교육을 통해 고객 서비스에서 탁월한 이미지를 유지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스타벅스는 기분이 상한 점원들은 고객에게 친절할 수 없고, 그것은 고객의 체험을 나쁘게 하며, 이는 결국 스타벅스의 성장을 저해할 것이라는 데에 기본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점원들의 자질 향상을 위한 철저한 교육과 인사정책을 실시하며 직원들에게 혁신적인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서비스에 만전을 기하였다. 특히 파트 타임으로 근무하는 직원들에게도 스톡옵션을 제공하여 고객에 대한 서비스가 자신의 이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을 갖게 함으로써 직원들이 철저한 서비스 마인드를 갖게 했다는 것이다. 스타벅스사의 직원들은 누구나 자사의 제품에 대해 거의 완벽한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3) 판매 촉진 :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구입을 촉진하기 위한 단기적인 인센티브를 말한다. 광고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할 경우의 이유를 제공하는 반면 판매 촉진은 당장 구입하도록 하는 이유를 제공한다.
프로모션카드 : 스타벅스사는 아주 소극적인 촉진 전략을 쓰고 있기 때문에 쿠폰이나 시음, 할인, 콘테스트 등의 행사를 전혀 하지 않고 있다. 단지 ‘프로모션카드’를 쓰고 있는데 이것은 일정한 기간에 한 음료를 지정하여 그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부분 마일리지를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반드시 헤이즐넛 시럽 또는 휘핑 크림을 추가해야한다는 조건도 붙이는 등 까다로운 마일리지 제도이다. 스타벅스를 제외한 거의 모든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에서 마일리지 제도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사와 크게 구분되는 점이다.
한정판매 : 한정판매는 스타벅스에서 판매촉진으로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그러나 이것 역시 나사의 판매촉진 전략인 ‘할인, 샘플제공, 시음’ 등과는 다른데, 기념일에 즈음하여 ‘특별한 서비스(제품)를 제공해주겠다’는 식의 판매 촉진이다.
4) 기업광고 : 제품을 광고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이름이나 활동 또는 업적을 알리는 촉진 행위로서 보통의 광고와 기술적인 측면에서 같은 것이다. 따라서 1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타벅스사에서는 일체의 기업광고를 하지 않는다. 스타벅스는 임대료는 비싸지만 광고효과가 큰 중심지상권 위주(유동인구가 많은 곳)로 시장을 공략하여 매장 자체로서 광고 효과를 보고 있다.
5) EXTRAS : 스타벅스가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를 높이고, 가장 큰 광고 효과를 보았던 것은 PPL(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보여지는 간접 광고)에 의한 광고 전략이었다.
영화 유브 갓 메일에서 맥라이언이 마시는 커피잔에 있던 선명한 초록색 로고는 미국인들이 아침에 일어나 마시는 한잔의 스타벅스 커피가 그만큼 생활의 일부가 되었음을 상징하는 대목이다.
‘트루먼 쇼’에서 짐캐리 역시 매일 아침 스타벅스 커피잔를 손에 들고 출근한다.
‘오스틴 파워’, ‘미스 에이전트’,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줘’ 에서도 스타벅스 커피를 엿볼 수 있다.
(4) 장소(Place)
스타벅스는 별다른 광고 마케팅을 벌이지 않는다. TV나 신문이 아니라 사람들의 인식속에 자연스럽게 자리함으로써, 혹은 그 `입소문'에 의존하는 것이다. 스타벅스는 사람들의 인식속에 최대한 좋은 이미지로 자리잡기 위해 브랜드 이미지화를 시각적으로 성공시켰다. 마치 길에 스타벅스 건물이 있으면 그 거리가 훤하게 빛나고 건물이 중심적으로 두드러져 자연스럽게 시선을 한번 주게 되는 것처럼 스타벅스는 사람들의 눈에 보다 세련되고 좋은 느낌으로 들어오는데 성공했다. 젊음과 대학문화의 거리를 대표하는 신촌에 스타벅스의 전광판을 건물 높이 세운것도 이러한 마케팅 전략이다. 이 화면을 통해 연속적으로 스타벅스 CF를 틀어줌으로써 오고가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나가다 얼핏 한번 보게 하는 것만으로도 굉장한 광고가 되고 사람들의 인지 집합 속에 고품격이고 간편한 테이크 아웃 커피로 자리하게끔 하는 전략이다.
스타벅스가 각별히 신경 쓰는 것 가운데 하나가 매장 위치이다. 사실 테이크 아웃 커피 전문점은 위치가 곧 경쟁력이라고 할 만큼 입지 조건이 까다롭고 중요한 요소이다. 새로 매장을 잡을 때 매장 위치가 `그 지역의 상징', 즉 ‘Landmark’가 될 수 있는지를 꼼꼼히 따져 매장을 넓혀 나가 왔다. 쉽게 설명하여, "스타벅스 앞에서 만나자"거나 "스타벅스를 끼고 오른쪽으로 돌면 돼"라는 식의 대화를 유도하자는 취지이다. 이 때문에 비싼 임대료를 감수하면서 명동 한복판에 4층짜리 매장을 내는 파격이 가능했다.
Ⅲ. 결론
스타벅스의 4P를 분석해본 결과, 역시 세계적인 커피 전문 생산 및 판매 기업이니만큼 치밀하고 유기적인 4P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케팅에 있어서 별다른 허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각각의 세부 사항에서는, 스타벅스의 주 고객 연령대인 사람으로써 개선점이라든지 보다 바람직한 경영 전략을 생각해 볼 수는 있어도 ‘하워드 슐츠의 스타벅스‘ 의 4P에서 전반적으로 잘못된 구성을 찾아내려는 생각 자체가 어쩌면 말이 되지 않는 얘기였다 라는 생각도 들었다.
조사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고급스러운 테이크 아웃 커피 시장’이라는 일관된 라인 아래 매우 탄탄한 4P를 이루고 있는 스타벅스의 치밀한 마케팅 전략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 참고 문헌 및 인터넷사이트
스타벅스,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신화 - 하워드 슐츠
커피점으로 돈벌기 : 커피점 경영에 관한 수필식 실용서 / 이일안 지음
브랜드마케팅 : 세계화 1등기업 되는 전략 전술, 한국마케팅 연구소,2002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0.2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