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주의 쇤베르크와 12음기법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표현주의 쇤베르크와 12음기법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표현주의의 정의와 어원
20C독일의 시대적 배경
표현주의 회화
문학
건축
표현주의가 음악에 미친영향
음렬주의
1. 음렬주의란
2. 12음 기법의 발명과 그 배경
3. 12음기법을 사용한 작곡가와 작품.
쇤 베르크
Piano Suit Op.25
Piano Suit Op.25 中 Menuett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C
Gb
B
Ab
Db
G
E
F
D
Eb
R-5
O-4
G#
A
Cb
F
Bb
G
C
Gb
Eb
E
Db
D
R-4
O-7
B
C
D
Ab
Db
Bb
Eb
A
Gb
G
E
F
R-7
O-6
Bb
Cb
Db
G
C
A
D
Ab
F
Gb
Eb
E
R-8
RI-0
RI-1
RI-3
RI-9
RI-2
RI-11
RI-4
RI-10
RI-7
RI-8
RI5-
RI-6
이 48개의 음렬 가운데 이 작품중에서는 증4도 관계를 갖는 8개의 음렬 (O-0, O-6, R-0
,R-6, I-0, I-6, RI-0, RI-6)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음렬들의 첫음과 끝음을 붙여서 보면 자료 15)와 같은데, 이것으로 보아 8개의 음렬은 서로 수평적 수직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료15)
(O-0)→ ←(R-0)
(I-0) E F G Db Gb Eb Ab D B C A Bb (I-6)
↓ Eb A ↓
Db G
G Db
D Ab
F B
C F#
F# C
A Eb
Ab D
↑ Cb F ↑
(RI-0) Bb Cb Db G C A D Ab F Gb Eb E (RI-6)
(O-6)→ ←(R-6)
쇤베르크는 그의 저서 ‘Style an idea’중 ‘12음에 의한 작곡’ 부분에서 이곡의 음렬을 다음 자료 16)에서처럼 4개의 음을 하나의 단위로하여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다. 이 3개의 그룹은 이 모음곡 전체를 이루는 동기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인 통일감을 준다.
자료 16) 원형 음렬의 구분
Piano suite op. 25 中 Menuett
Menuett는 프랑스 형용사 menu(작은)에서 온 것으로 작은 스텝의 춤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17세기 중엽 루에 14세에 의해서 궁정에 도입되어 상류계급이 즐겨 추는 춤이 되었다. 중각 속도의 3/4박자이며 8마디의 반복이 있으며 처음부분과 관계조로 작곡된다. 이 악장은 전체44마디로 Trio 뒤에 Menuett부분을 반복함으로써 고전 Menuett의 형식인 Menuett-Trio-Menuett를 따르고 있다. menuett는 다시 2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각 부분을 표로 나타내보면 자료17)과 같다.
자료17) Menuett의 형식
부분
Menuette
Trio
A
B
마디
1~11
12~33
34~44
이 악장에서는 변박자가 있는데 변화하는 박자기호를 살펴보면 3/4, 2/4/ 3/4/ 2/4/ 3/4 2/4/ 3/4이다.
미뉴에트의 A부분은 마디 11에서 다시 되풀이 된다. 마디 2까지는 O-0음렬을 마디 4까지는 감5도를 전위하여 전위된 I-6음렬을 사용하며, 각 음렬의 5번음으로 시작하고 있다. 마디 2에서는 O-0음렬의 12번음이 다음에 오는 I-6음렬의 1번음과, 마디6에서는 I-6의 1번음, 2번음이 다음에 나오는 RI-0의 1번음, 4번음과 공통음으로 나타나고 마디 7에서는 RI-0의 12번음과 O-0의 1번음이, 마디 8에서는 I-6의 6번음과 다음에 나타나는 O-0음렬의 9번음을 공통음으로 쓰고 있다. 마디 9에서 마디 10까지는 불협화음 Ab-Gb의 단7도 G-F의 단7도 C#-E의 감3도 D-C의 단7도 G-Eb의 감6도, C#-E의 감3도를 같은 리듬으로 반복하고 있다. 그리고 처음부터 2마디까지를 분석해 보면 12개의 음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동기b와 동기 c는 윗성부에 사용하였고, 동기 a는 아랫성부에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Trio는 음렬의 12음을 차례대로 사용하여 단순하게 작곡되었다. 아랫부분에서 제시되는 리듬을 윗부분에서 전위형태로 모방하는 Canon기법으로 작곡되었다. Trio에서 사용된 음렬을 차례대로 적어보면 O-0, I-6, I-0, O-6, R-0, RI-0, R-6, RI-6인데 그 시작음이 E음이나 Bb음이다.
악보를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미뉴에트 부분은 하나의 음렬을 2개의 보표에 풀어서 썼고, 트리오 부분은 오른손 보표와 왼손보표의 음렬을 다르게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하나의 음렬이 거의 끝나갈 때에는 마지막 음을 공통음으로 하여 다음 음렬에 연결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 분석 악보에는 시작음과 공통음을 눈으로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시작음은 △표시를 하였고 공통음은 ○표시를 하여 구분하였다.
III. 결론
지금까지 본 연구에서 분석한 쇤베르크의 피아노 모음곡 op.25중 미뉴에트는 12음 기법을 적용하여 작곡한 첫 번째 작품이라 그런지 분석이 쉬운편이었다. 그리고 이 곡의 특징은 전악장의 구조를 보았을 때, 현대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작곡되었지만 각 악장은 바로크 춤곡의 표제를 따와서 작곡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뉴에트에 나타나는 특징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음렬 사용에 있어서 O-0형으로 시작하고 있고, 파생음렬인 R-0, I-0, RI-0음렬과 이 음렬들을 감5도 전위한 O-6, R-6, I-6, RI-6음렬들이 대부분 사용되었다. 이들 음렬들은 E음이나 Bb음이 1번음 또는 12번음이 되는 공통점을 가진 음렬들이다. 하나의 음렬과 관계있는 음렬들의 사용으로 모음곡 전체에 통일성을 주고 있었다.
둘째, 감5도음정이 강조되고 있었다. 이 미뉴에트 악장에서 사용한 음렬의 1번음(E거나 Bb)과 12번음(Bb이거나 E)의 음정관계가 감5도이고, 가장 많이 사용한 음렬들의 음정관계도 감5도이다.
셋째, 12반음을 4음씩 3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이 모티브처럼 곡 전체에 사용하여 통일감을 주고 있었다. 특히 이 세가지 모티브는 미뉴엣의 첫머리에서 한 악구를 형성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과 같이 쇤베르크의 피아노 모음곡 op.25는 모음곡이라는 전통적인 형식을 바탕으로 하여 12음기법이라는 현대적인 기법을 기교적으로 잘 조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쇤베르크의 뛰어난 음악적 아이디어가 느껴지는 작품이라고 여겨지며, 왜 12음기법이 무조음악의 돌파구였는지 알 수 있었다.
IV. 참고문헌
서양음악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홍세원 지음.
악곡 분석을 통한 음악이론사 II. 계명대학교 출판부 J. Baur저 박미경 역.
음열작곡법 음악 춘추사 Reginald Smith Brindle
악보 두길 서양음악사2권 나남 출판사 홍정수, 김미옥. 오희숙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0.25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