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성한계시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실험 제목

Ⅱ. 실험 일시

Ⅲ. 실험 목적

Ⅳ. 실험 도구

Ⅴ. 관련 이론

Ⅵ. 실험 방법

Ⅶ. 실험 결과

♧참고 문헌 & Site

본문내용

및 성질이 달라진다. 이렇게 함수비에 따라 형상이 달라지는 것은 흙 입자를 둘러싸고 있는 물 즉, 흡착수에 의한 전기적 힘 때문이다. 함수비가 작아지면 흡착수로 둘러싸인 흙 입자들이 서로 분리되어 흙 입자 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결합력이 약화되고, 함수비가 아주 커지면 흙 입자간의 결합력이 소멸하여 흙 입자는 액체와 같이 자유로이 유동하게 된다.
소성한계 시험에서 흙을 적당히 반죽하여 국수 모양으로 손으로 밀수록 금이 가고 갈라지면서 여러 도막으로 끊어지게 되었다. 내 시료의 국수 모양의 직경은 3㎜보다 조금 더 컸다. 손으로 미는 동안 수분이 점점 줄어들어 금이 조금씩, 그러다 많이 생기다가 짧게 다 끊어지고, 더 이상 밀리지 않는 단계에 이르러 실험을 중단하고 무게를 잰 다음 바로 오븐에 넣었다. 소성한계에 도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때의 시료를 완전 건조시켜 함수비를 구해 본 결과, 30.4%였다. 즉, 소성한계 값이 30.4%인 것이다. 다른 사람들의 결과와 비교해본 결과, 나의 실험값은 중간정도에 해당되었다. 교수님께서 24%정도가 적당하다고 말씀하셨다. 인내심을 갖고 좀 더 살살 밀어볼 걸, 후회도 되었지만 내 결과에 만족스럽다.
(위 결과표는 엑셀로 작업한 후, 캡쳐해서 삽입한 것임.)
♧참고 문헌 & Site
*토질역학의 원리 (이인모. 도서출판 ‘새론’)
*대전대학교 지반공학 연구실
http://dragon.dju.ac.kr/~kiselee
*중앙대학교 토질역학 연구실
http://soil.cau.ac.kr
*고려대학교 지반공학 연구실
http://geotech.korea.ac.kr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1.02
  • 저작시기200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