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경제성장과 그에 따른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중국 경제성장 현황
2.1. 중국 경제 현황
2.1.1 고도의 경제성장
2.1.2 중국의 경제 규모
2.2 중국의 대외 무역
2.2.1 중국의 대외 무역 규모
2.2.2 중국의 대외 무역 의존도
2.2.3 교역상대국별 교역 현황

3. 중국 경제 성장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3.1 한·중 경제관계에 대한 평가
3.1.1 한·중 무역
3.1.2 한·중 투자
3.2 중국의 경제 성장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3.2.1 한국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3.2.2 한국 대외 경제에 미치는 영향

4. 중국 경제성장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
4.1 기업의 대응 방안
4.2 정부의 대응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3) 한 · 중간의 교류확대와 FTA추진
중국경제의 부상에 대응하여 한국경제의 세계화와 역내 협력 방안을 위해 일본 중국과의 FTA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중국과의 지리적으로 가까운 관계로 기업의 국내에서의 투자가 점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이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추진이 필요하다. 한 · 일 FTA가 가시화 되는 상황에서 한 · 일 FTA로 인한 무역수지 적자 확대 등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중국과의 FTA 체결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중국시장을 지향하는 다국적 기업들의 투자를 한국경제로 유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국과의 FTA를 체결한다면 동남아 지역을 포함한 동아시아 FTA의 완성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4) 중국發 리스크의 최소화
정부 기업 모두 인적 네트워크, 현지 조사기관 등을 활용하여 중국내 개발 지역에 대한 정확한 투자 정보를 신속하게 입수해야 할 것이다. 한편 중국에 대한 한국의 수출의존도가 심화될수록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 시장에서 우리 제품의 수출비중은 점차 낮아질 가능성도 높다. 따라서 향후 지나친 중국 위주의 수출의존도에서 탈피하여 수출선을 다변화 하는 한편 우리 제품의 수출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국 첨단기술 제품에서도 점차 세계시장에서 수출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우리 제품은 이에 대응하여 중국이 쉽게 국산화할 수 없는 제품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IT제품의 고부가가치화 전략 외에도 새로운 기술 분야의 산업화와 수출 동력화를 추진하여 수출품목의 다변화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중국부상에 따른 위협요인은 한국경제의 노력 여하에 따라 기회요인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국 경제의 부상을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경쟁력 향상, 수출시정 확대 등 기회요인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정부와 기업의 부단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 부품산업의 전문화 및 대형화 필요
부품산업의 글로벌 아웃소싱에 대응한 전문화 및 대형화가 필요하다. 국내 부품산업은 기업규모가 영세한 자금조달 및 전문생산체제 구축이나 연구개발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관련기업 대형화를 위해 투자펀드를 확대하고 제조전문회사 육성책이 필요하다. 특히 중국의 추격을 고려하여 중국제품과의 차별화 및 고급화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6) 안정적인 수출구조 구축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수출구조 구축을 위한 수출품목 및 시장의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다. 국내 부품 · 소재 수출 중 상위 3개 품목비중은 61.4%로 중국(60.0%), 일본(5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특히 한·중·일 최대 수출품목인 전자부품의 경우 한국이 33.9%로 중국(25%)과 일본(24.6%)에 비해 크게 높다. 이 같은 편중현상이 심해지면 특정품목이나 시장의 경기 변동 및 외국의 통상압력에 따라 전체 수준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출시장 다변화 정책이 시급히 필요하다.
Ⅴ. 결론
중국경제의 부상은 특히 인접국인 한국의 경제에 크나큰 도전이자 기회로 작용할 것이 분명하다. 저임금에 기초한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상품은 국내외에서 우리상품과 경쟁하게 될 것이며, 중국경제의 성장으로 중국 산업이 고도화함에 따라 양국 상품 간 경쟁영역은 점차 중·저가제품에서 중·고급기술을 요하는 제품으로 변해 갈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중국경제의 부상으로 우리 기업에게는 지근거리에 빠른 속도로 확대되는 거대한 상품시장 및 투자대상지가 열리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중국은 동아시아와 그 안에 속한 한국에게 무시하지 못할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은 한국 경제에게 기회 요인과 위협요인의 이중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의 경제의 고성장 전망과 소비의 고급화, WTO 가입에 따른 시장경제화와 개방화 확대 등으로 향후 10-15년간 7% 이상의 고성장률을 유지할 전망이며, 세계은행과 미국 CIA에 의하면, 2020년 중국의 구매력은 20조 달러로 미국을 능가하는 세계 최대의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으로 한국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그러나 이런 긍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한국경제의 높은 대중 의존도와 중국의 기술 경쟁력 향상에 따른 한·중 간 경합 차이 등으로 중장기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우려하게 하고 있다.
한국의 제조업 공동화 가속화는 무론, 중국 경제가 장기적으로 저성장 기조에 진입할 경우에는 한국의 주요 수출품이었던 중간재, 소재가 오히려 역수입되어 국내시장을 잠식하는 ‘부메랑 효과’가 우려되는 등을 부정적인 영향을 무시 할 수 없다.
이런 중국 경제의 위협 요인이 현실화되기까지에는 일정한 시간이 있으므로, 동북아 경제권이란 큰 틀 속에서 한국의 생존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런 방안은 앞에서의 제시처럼 기업적인 측면에서는 기술 수준 격차를 유지하고, 고급이미지 마케팅 전략 수립, 시장별 차별화된 전략 모색, 중장기 전략을 모색하며, 정보화 격차 유지, 핵심부품·소재 원천기술 개발 등으로 대응하며, 정보는 국내 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중국에 대한 투자를 추지하며, 한·중간의 교류확대하고 FTA를 추진하다. 또한 중국 역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부품산업의 전문화 및 대형화 한다. 마지막으로 안정적인 수출구조를 구축하면서 중국의 영향을 대비한다.
즉, 고부가·고기술 부문의 신 성장 동력 산업을 육성하는 한편, 한·중간 경쟁 관계를 고려한 시장별 차별화된 전략을 모색한다. 또한 직접적 경쟁보다는 효율적인 분업 구도를 모색하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보화의 비교 우위를 유지·확대하는 한편, 금융과 유통 등 서비스 부문의 진출을 통해 제조업과 연계 발전 전략을 모색함으로서 중국의 경제성자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대응해야 할 것이다.
참조: http://www.kita.net
http://www.koreaexim.go.kr
개혁의 덫 (장하준)
10년 후 한국 (공병호)
http://www.naver.com
http://www.donga.com
http://www.chosun.com
현대 중국 경제 (유희문)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9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