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시의평행법과성경번역의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히브리시의평행법과성경번역의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약성서의 스가랴서 9:9 인용
2. 히브리시의 평행법 해석의 역사
2.1. 평행법을 잊은 시대
2.2. 평행법을 발견한 시대
2.3. 평행법을 재발견한 시대
2.3.1. 의미론적 관점에서 새롭게 본 평행법
2.2.1.1. 쿠컬의 평행법 이해
2.3.1.2. 알터의 평행법 이해
2.3.2. 구문론적 관점에서 새롭게 본 평행법
2.3.2.1. 콜린스의 평행법 이해
2.3.2.2. 겔러의 평행법 이해
2.3.2.3. 오코너의 평행법 이해
2.3.2.4. 벌린의 평행법 이해
나가는 말

본문내용

우리말 번역 중 오직 『개역』과 영어 번역 대부분은 ‘손’과 ‘오른손’을 제시하고, 『공동』, 『표준』과 NAB는 ‘왼손’과 ‘오른손’으로 의역한다. 다후드(Dahood)는 우가릿의 한 본문을 논거로 이 둘이 함께 나타날 때, 첫 손을 ‘왼손’으로 번역하도록 처음 제안하였다. 쿠걸은 두 손의 동일한 가치를 배제할 수 없다고 했고, 알터는 다른 본문에서는 이 둘이 유사어로 사용되지만 여기서는 명백히 왼손이라고 했다. 그러나 벌린은 이 둘을 ‘용어’와 ‘하위어’의 관계로 보아 전자를 ‘좀 더 일반적인 용어’로, 후자를 ‘손의 하부 범주’로 해석한다. 그는 다른 세 개의 본문(시 138:7, 사 48:13, 시 89:25)에서 두 손은 분리된 손이 아니며 동사와 연관된 행동도 두 개의 동작이 아니라 둘이 합하여 ‘능숙하게’(handily)로 번역될 수 있는 정황을 묘사한다고 보았다. 언어학적으로 보면 첫 행에서 ‘일반적 범주’가 제시되고, 둘째 행에서 첫 행과 연관된 ‘하위 범주’가 나타날 때, 이런 관계를 포의어(hyponym)라고 말한다. 이 말은 첫 행의 손은 ‘넓은 범주’이고, 둘째 행의 오른손은 ‘좁은 범주’라는 것이다. 따라서 왼손과 오른손이 아니라 ‘손’과 ‘오른손’으로 번역하여야 한다.
4.2. 머리와 정수리
시스라의 죽음을 묘사하는 사사기 5:26에는 ‘머리’와 ‘관자놀이’가 대구를 이루지만, 일반적으로 ‘머리’와 ‘정수리’가 대구를 이루면서 나타난다. 우리는 창 49:26, 신 33:16, 시 7:16, 시 68:21의 용례로 머리와 정수리 사이에는 특별한 관계가 있고, 일반적인 머리에서 구체적으로 정수리로 넘어가는 종속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발바닥에서 정수리’까지는 사람의 인체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머리와 정수리는 포의어의 관계이다.
5. 결론
몇 개의 대표적인 평행법의 사례들을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으로 동일 어휘의 반복을 통한 점층 효과, 생략을 통한 이중 효과, 음성학적 유사성을 통한 극대화, 의미론적인 확대 효과, 동심구조, 점강법, 절정 후의 전락, 포의어 동의 기법을 살펴보았다. 열거된 기법들은 종합적인 것이 아니며, 몇 개의 샘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기법들은 독자적인 범주를 가진 것이라기보다, 쿠걸이 밝힌 ‘연관된 강조적 재진술’(related emphatic statement)의 범주 안에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03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0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