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윤리학적 고찰jo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의 윤리학적 고찰j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 기독교윤리학의 형성 과정
1) 한국 기독교윤리학의 태동기
2) 한국 기독교윤리학의 발전기
3) 토착화신학의 윤리적 담론

3. 서구 기독교 전통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1) 복음 전래의 해석학적 한계: 생략의 죄
2) “단순화된 복음”의 윤리적 성향

4. 성성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1) 기독교 성윤리의 문제점
2) 현대 기독교 성윤리의 동향
3) 기독교적 사랑과 성적인 사랑
4) 기독교 성윤리의 문제점위한 목회적 제안

5.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로서 성성 안에 담겨진 인간의 고귀함을 무시하고 억압하였다. 그러나 성은 하나님의 창조의 영역으로서 사적인 영역에서 봉쇄될 수 없는 고귀한 것이다.
셋째는 성육신적 의미로서의 성성 이해이다. 성육신 신학에 의하면 인간의 몸은 하나님이 임하시는 거룩한 곳이다. 그러나 기독교 역사는 인간의 몸을 이분법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몸 안에 담긴 하나님의 성스러움을 망각하고 비하하였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성성은 대표적인 ‘악’으로 인간을 타락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요소였다. 그러나 몸에 대한 성육신 신학적인 이해는 인간의 몸 안에 내재하는 하나님의 이미지와 성성(holiness)을 새롭게 인식하게 한다. 또한 인간의 성은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가장 본질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인식 안에서 인간의 성성(sexuality)은 하나님의 거룩한 이미지(imago Dei)를 담고 있는 존재이며 성적인 교류와 즐거움을 통해서 하나님의 거룩하고 새로운 창조에 함께 참여하는 가장 본질적인 원동력임을 새롭게 조명한다.Y
5. 결 론
한국 교회의 윤리적 성향은 도덕 폐기론적이다. 따라서 윤리적 실천지평을 생략한 죄 (sins of omission)으로 인하여 윤리적인 비판적반성적 사유와 실천에 충실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성향의 이면에 강하게 작용한 요인은 서구 기독교가 전래되면서 서구 기독교의 체험과 아시아의 종교 윤리적 체험을 지성적이며 신학적인 입장에서 종합하기보다는 당면 선교과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단순화된 복음이 전래된 데 크게 기인하였다. 계몽주의와 산업혁명 그리고 시민혁명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서구 기독교의 역사적 자기이해는 생략되고 비정치적, 비사회적, 비지성적 복음의 해석이 전래되어 한국 기독교를 단순한 구원과 은총의 종교로 만들었다. 따라서 기독교인의 정치적 삶의 방식과 사회적 삶의 방식에 대한 기독교 사회윤리학적 안내는 신학교육이나 교회의 사역에서 심각하게 결여되어 왔다. 이 결여된 삶의 영역에 대한 이해는 의식 무의식적으로 기존의 유교의 사회윤리로 대치되었다. 그 결과 오늘의 한국 교회안에는 기독교적 영성 이해가 무색하리만큼, 유교 윤리가 다양한 형태로 힘을 발휘하고 있다. 권위주의, 파벌주의, 성차별주의, 가부장주의적 한국 교회 현실이 바로 이러한 사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단순화된 복음에 대한 해석을 넘어서서 통전적인 복음에 대한 이해를 가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나는 단순화된 복음이 생략했던 두 가지 자원을 회복시키는 방향에서 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토착화 신학과 민중신학은 결여된 것의 회복보다는 단순화된 복음이 결여하고 있었던 문제를 신학적 토론의 장으로 부상시킨 의미가 있었지만 적극적인 의미에서 생략의 죄를 극복할 대안을 제시되지 못했다고 본다. 오랜 역사 속에서 아시아인들의 삶을 인간답게 만들어 왔던 아시아한국적 영성의 회복과 더불어 서구기독교 세계의 체험을 수용하는 종합적 방법이 오늘의 영적이며 윤리적인 위기를 맞고 있는 한국 기독교를 새롭게 갱신할 수 있는 길이라고 나는 믿는다. 동서의 종교적 지혜와 사회적 체험을 종합해 나갈 경우 보다 인간다운 삶의 향상을 이루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 종합을 통하여 자유와 정의와 평등 그리고 유대의 가치를 중층적으로 그리고 개체 자아와 자아들의 관계구조와 나아가서 사회 정치 경제적으로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주의적 해석을 통해서만 교회가 사회를 향한 공적 사역을 감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기 비판 능력을 회복함으로써 새로운 갱신의 길로 나설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 갱신의 길은 교회의 공적 기능을 가로막고 교회의 자기 부패를 초래한 도덕 폐기론을 극복하는 길인 동시에 하나님의 말씀의 자유를 회복하여 새로운 삼 천년 대를 향한 새 영성의 신학을 열어 나갈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라고 본다. 이 과제는 한국 기독교의 갱신을 위한 신학적 과제일 뿐 아니라, 우리의 신학을 통한 세계 교회를 향한 신학적 기여의 길이기도 하다.
참 고 문 헌
김영일, 『그리스도교 윤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맹용길, 『가정과 윤리』, 서울 : 쿰란 출판사, 1995.
박원기, “기독교의 성 이해”,『기독교사상』452. 1996. 8.
박충구, “기독교와 성윤리”, 『신학과 세계』32,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 1996.
박충구, 『21세기 문명과 기독교윤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송인규, 『고립된 성』,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9.
안상님, 『여성 신학 이야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안석모, “ 현대 심리학의 성이해와 기독교”, 『기독교사상』391, 1991.
이상화, 『새로 쓰는 성 이야기』, 서울 : 또 하나의 문화, 1996.
전경연, 『성과 결혼』, 서울 : 대한 기독교출판사, 1992.
Dean Sherman, 『하나님이 디자인하신 性』 박신미 옮김, 서울: 예수전도단, 2000.
Geoffrey Parrinder, Le sexe dans les religions de mond, 김동규 역, 『종교에 나타난 성』, 서울 : 동심원, 1996.
James Nelson, The Church and Sexuality, Embodiment, Aug. 1978.
Lewis B. Smedes, Sex for Christians, 안교신 옮김, 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1997.
수잔 브라운밀러, 『성폭력의 역사』, 서울: 일월서각, 1994.
St. Augustine's Confession ⅠⅡ. (Cambridge : Harvard University Press, 1960), 선한용 역,『고백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0.
The Authorities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Family Pressures, Growing Christian Series (Nashville: UMC Publishing House, 1986) 82, 박원기 “기독교의 성이해”, 『기독교사상』452.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9.01.07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38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