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실습 지침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중환자실의 설비 및 기구

2.Emergency Kit

3.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4.인공호흡기 (ventilator)

5.shock 환자간호

6.동맥혈 가스 분석

7.중심정맥압 (Central venous pressure : CVP)

8.중환자실 의학용어 및 약어

본문내용

n 1,000u, 국소마취제(2% Lidocaine)
삽입방법
● 삽입부위를 선정하여 피부준비(필요시 면도)를 하고 적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합니다.
● 카테터의 삽입 길이는 포장된 상태하에서 삽입부위와 흉골절흔 사이의 수평, 직선거리를 정하여 도자의 길이를 간접 추정합니다.
●정맥내 삽입하여 상대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삽입합니다.
●X-ray를 찍어 카테터 끝이 우심방(RA)위의 상대정맥(SVC)에 위치하도록 확인합니다.
Monitoring 과정
Ocilloscope (Monitor에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한 측정방법
ㆍ준비물품
● Transducer, Holder, IV stand pole, Pressure bag.
● Pressure monitoring kit
● N/S(1,000cc) 1 Pack, Heparin 1,000u, 1% Lidocain 3cc
● Arm board, Plaster
● Vinca needle - 성인: 22G, 20G, 18G, 소아: 24G, 22G
● Dressing set (필요하면 Glove): Arterial monitoring 준비물과 같습니다.
ㆍ측정방법
●Tranducer 의 line 과 CVP catheter를 3-way를 통하여 연결합니다.
●Calibration을 시도합니다(방법은 arterial monitoring 시와 같습니다).
●CVP cath.를 통하여 주입되고 있는 수액의 3-way를 막습니다.
●CVP cath.와 tranducer의 방향이 연결되게 한 후 monitor 에 나오는 wavetorm을 보고 수치를 읽습니다. 단, 여기서의 수치단위는 “mmHg"임을 유의합니다(1mmHg = 1.36cmH2O).
A. 압력계와 정맥관을 연결합니다.
B. 압력계의 용액을 채우기 위해 3-way stopcock을 돌립니다.
C.정맥관 쪽의 stopcock을 잠그고 압력계 안의 용액이 대상자 정맥내로 흐르게 합니다.
D.수액이 대상자에게 흐르도록 stopcock을 엽니다.
F.압력계의 "0"점이 액와 중앙선에 있나 확인한 후 (우심방위치) 측정합니다.
E.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내 우심방과 접한 부위에 놓이게 조절합니다.
정상 중심 정맥압↑
Cardiac insufficieny
CHF, Pul. Edema
Rt. Heart failure
Increased intravascular volume due to IV overload
정상 중심 정맥압↓
순환 혈류량의 감소(Hypervolemia, Shock)
Rt. Ventricular empty (End diastolic volume ↑)
CVP 측정시 주의점
● 3-way 조작에 유의합니다(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고정을 하고, 3-way 연결부위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CVP line이 환자에 의해 당겨지지 않도록 고정에 유의합니다(불안정한 환자의 경우에는 line 고정에 유의하고, 환자의 팔을 묶도록 유도합니다).
● Manometer 의 위치를 확인하고, CVP를 측정합니다.
● side effect 예방 및 증상을 관찰합니다. - 혈흉, 기흉, 말초혈관의 손상, 부정맥, 정맥내의 과도한 수분 유입, 패혈증, Catheter 끝의 응고 혹은 전색
중환자실 의학용어 및 약어
ABR (Absolute bed rest)=절대 안정
ac (before meals)=식전
adm (admission)=입원
abd (abdomen)=복부
amt (amount) 양
AFB (acid-fast-bacillus)=객담검사(결핵균 검사)
CSF (cerebro spinal fluid)=뇌척수액
cath (cayheter, catheterize)=카테터,도뇨관을 삽입하라.
CBR or ABR (complete bed rest)=절대 안정
CVP (central venous pressure)=중심정맥압
D/W (dextrose in water)=포도당 수용액
Dx (diagnosis)=진단
EKG (electro-cardiogram)=심전도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적혈구 침강속도
FBG (fasting blood glucose)=공복시혈당
gtt (drop, drops)=방울
ht (height)=신장
hx (history)=병력
ICU (intensive care unite)=중환자실
I&O (intake and output)=섭취량과 배설량
mEq (milliequivalent)=밀리당량
NPO (nothing by mouth)=금식
od (every day)=매일
op (operation)=수술
OR (operating room)=수술실
os (mouth)=구강
pc (after meals)=식후
ⓐ ampule 앰플
A/B ratio acid-base ratio 산-염기비율
A/G ratio Albumin / Globulin ratio 알부민-글로불린비율
aa of each 각각
Ab antibody (antiplatelet antibody) 항체
Abd abdomen 복부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가스분석
ABO ABO grouping ABO식혈액형
BPH :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전립선비대
Bronchiectasis : 기관지확장증
Bronchitis : 기관지염
BT : 체온
BUN : Blood Urea Nitrogen 혈중 요소 질소
Bx. : Biopsy 조직검사, 생검
C&S : Culture & sensitivity 배양, 감수성검사
C.C. : chief complaint 주호소
Ca. : cancer 암, 종양
CAH : chronic active hepatitis 만성 활동성 간염
Calcium : 칼슘
Cane : 지팡이
CAPD :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복막투석
CBC : Complete blood cell count 전혈구수
Chart : 의무기록철
CHF : congestine heart failure 울혈성심장병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9.03.1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2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