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식물][식물][야생식물][야생초][야생화][야생꽃][야생풀]자생식물의 분류와 별꽃, 애기메꽃, 한라산 말나리, 털중나리, 유채, 으름난초, 벌노랑이, 초종용, 꽃범의 꼬리(야생식물, 야생초, 야생화, 야생꽃)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생식물][식물][야생식물][야생초][야생화][야생꽃][야생풀]자생식물의 분류와 별꽃, 애기메꽃, 한라산 말나리, 털중나리, 유채, 으름난초, 벌노랑이, 초종용, 꽃범의 꼬리(야생식물, 야생초, 야생화, 야생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자생식물의 분류
1. 산지에 자생하는 야생화
2. 들이나 길섶에 자생하는 야생화
3. 계곡 또는 바위틈에 자생하는 야생화
4. 숲 속이나 나무 그늘에서 자생하는 야생화
5. 시냇가에 자생하는 야생화
6. 습지나 수중에 자생하는 야생화

Ⅲ. 별꽃
1. 특성
2. 약효 또는 용도
1) 약용
2) 식용

Ⅳ. 애기메꽃

Ⅴ. 한라산 말나리
1. 인경
1) 직경
2) 인편
2. 줄기
3. 잎
1) 윤생엽
2) 호생엽
4. 꽃
1) 수 및 크기
2) 화서
3) 화피
4) 수술
5. 삭과
6. 분포

Ⅵ. 털중나리

Ⅶ. 유채

Ⅷ. 으름난초

Ⅸ. 벌노랑이

Ⅹ. 초종용

Ⅺ. 꽃범의 꼬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 campestris)이 포함된다. 보통종은 지중해 연안에서 중앙아시아 고원 지대 원산으로, 꽃은 황색이고 종자는 적갈색이라 적종(赤種)이라고도 한다. 서양종은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시베리아 및 카프카스 지방에 걸친 지역이 원산지로, 꽃은 황색에 약간 녹색을 띠며 종자는 흑갈색이다. 이들 지방에서 유채를 채유(採油)의 목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경부터라고 한다.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것은 서양종이며 유료작물(油料作物)로서 본격적으로 재배한 것은 1962년경부터이며, 주요 유료작물로서 역점을 두게 된 것이다.
줄기는 높이 80130cm이고 표면은 매끄러우며 녹색이다. 원줄기에서는 15개 내외의 제1차곁가지가 나오고, 제1차곁가지에서 다시 24개의 제2차곁가지가 나온다. 잎은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다. 아래쪽 줄기잎은 긴 잎자루를 가지며 잎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지고, 위쪽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줄기를 둘러싸고 그 끝은 가늘다. 서양종의 잎은 두껍고 혁질이며, 표면에 납질물이 있고, 보통종은 담녹색이고 잎살이 비혁질이며 납질물이 없다.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다. 꽃은 총상꽃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린다. 성숙한 이삭의 길이는 가지의 위치, 재식방법, 품종 등에 따라 다르나 3545cm이고 한 이삭에 3040개의 꼬투리가 달린다. 꽃은 배추꽃과 비슷하며 약 10cm 길이의 꽃자루를 가진 홑꽃이 핀다. 꽃잎·꽃받침은 각각 4개로 갈라져 있으며 수술 6개, 암술 1개, 그리고 4개의 꿀샘으로 이루어져 있다. 꼬투리는 길이 8cm 가량의 원통형으로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으며 완숙하면 봉합선이 갈라져서 종자가 떨어진다. 꼬투리 속은 2실로 되고 투명한 격막으로 갈라져 있으며 1개의 꼬투리에는 보통 20개 가량의 종자가 들어 있다. 유채의 품종간에는 파성(播性)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데,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서양종은 맥류와는 달리 감광성이 약하고 감온성의 차이에 의해서 파성 정도가 달라진다. 유채는 수확량이 많고 품질이 좋으며 조생·내한·내습성이 강한 것이 우량품종이다. 현재 장려되고 있는 품종에는 아사히·유달·목포11호·용당 등이 있다.
종자에는 3845%의 기름이 있으며 1520%의 가용성 질소질과 20% 가량의 단백질이 들어 있다. 유채 꽃은 밀원식물(蜜源植物)로서 식용유로서 콩기름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깻묵은 사료 및 비료로 사용된다. 그 밖에 양봉업자들이 꿀을 따 모으고 있다. 종자로부터 분리한 지방유(脂肪油)를 유채기름이라 하며, 연고기제(軟膏基劑)·유성주사약(油性注射藥)의 용제로 쓰이는 외에 기계유로도 쓰인다.
Ⅷ. 으름난초
으름난초(Galeoa septentrinalis Reichb. fil)
해발 800m 이하의 숲속에 드물게 썩은 균사에 기생하는 식물로서 녹색이 없으며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고 비닐 같은 삼각형잎이 달리고 길게 뻗은 뿌리 속에 Armillaria라는 버섯의 균사가 들어 있다. 줄기는 곧추 서고 높이는 50~100cm이며 윗부분에 가지가 갈라지며 갈색의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며 색깔은 황갈색이다. 으름같은 열매가 달리기 때문에 으름난초라고 한다.
Ⅸ. 벌노랑이
요약 :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과명 : 장미목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타이완·히말라야산맥
자생지 : 산과 들의 양지
크기 : 높이 약 30cm
노랑돌콩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30cm이다. 밑동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비스듬히 자라거나 퍼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는데, 5개의 작은잎 중 2개는 원줄기에 가까이 붙어 턱잎같이 보이고, 3개는 끝에 모여 달린다. 길이 7·15mm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작거나 없다.
꽃은 6·8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꽃줄기 끝에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그 조각은 줄 모양 바소꼴이다. 화관은 기판(旗瓣:콩과 식물의 나비 모양 화관을 이루는 5잎의 꽃잎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유난히 큰 꽃잎이 가장 크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열매는 협과로서 줄 모양이고 길이 3cm 정도로 곧다. 종자는 검은빛이다. 포기째 사료로 쓰거나 뿌리를 강장제나 해열제로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타이완·히말라야산맥 등지에 분포한다.
Ⅹ. 초종용
초종용(Orobanch oerulescons Stephan.)
바닷가 모래에서 자라는 사철쑥에 寄生하고 연한 자주빛이 돌며 근경이 굵고 육질인 잔뿌리로 기주의 뿌리에 붙으며 원줄기는 가지가 없고 굵으며 높이가 10~30cm이다. 꽃은 5~7월에 피며 색깔은 담자색이다
. 꽃범의 꼬리
딴이름 : 피소스테기아
분 포 : 전국의 화단이나 공원
꽃 색 : 연한 보라빛
개화기 : 7월에서 9월
크 기 : 높이 80cm 안팎
용 도 : 관상용
꽃의 모양이 특이해서 눈길을 끄는데 금붕어가 입을 쩍 벌린 듯한 모습(입술처럼 생긴 것이 아래 위에 있다고 양순형(兩脣形)으로 부르지요)이 아래위로 쭈욱 한 줄로 이어져 있는데, 네모난 줄기의 각 면을 따라 정확히 네 방향으로 꽃이 핀다. 네모 난 줄기에 잎이 마주 나는데 줄기와 잎 사이에서 가지가 갈라져 나와서 또 꽃을 피운다. 그래서 한 포기에 대략 800-1000 송이 정도의 꽃이 핀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숫자로는 엄청난 규모이다. 그 많은 꽃이 한꺼번에 피는 것이 아니고 각 가지마다 아래에서부터 하나씩 피어 올라가서 맨 위의 꽃이 피고 나면 끝이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원예용 식물로서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화단에서 잘 자란다. 배수가 잘 되는 습한 곳을 좋아하며 너무 건조하면 견디기 못한다고 한다. 한 포기만 심어도 뿌리가 옆으로 자라면서 새순을 많이 내기 때문에 대개 무리지어 자란다. 물론 꽃이 진 뒤에 씨로도 번식이 되는데 한 번 심어 놓으면 해마다 잡초가 자랄 사이도 없이 무성하게 자란다.
참고문헌
김태정(1993) : 한국의 야생화, 서울 : 교학사
서재철(2004) : 제주도야생화, 서울 : 일진사
예지각(2002) : 요점 자원식물학
자생식물학(1997) : 서일출판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4.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9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