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신공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 신공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20m(H-PILE + GROUTING, 지중연속벽)
(6.2) 정차장 : 205.50m(지중연속벽 + TOP-DOWN)
(6.3) 부대시설
(6.3.1) 본선부
- 변전실 1개소
- 환기실 2개소
(6.3.2) 정차장부
- 문화전시 공간(A=3,169㎡, 지하2층)
- 출입구 6개소
- 환기실 1개소
- 정화조 1개소
- 물탱크 1개소
(6.4) 정차장부는 기존 1호선 하부로 관통하는 순환역임.
2. 위치적 현황 (부산지하철 222공구)
부산시 서면 5차선 교차로 중심부인 교량량이 많고 복잡한 도로에서 지하철 정거장을 건설할 경우, 극심한 교통체증 유발과 안정성 확보가 심히 우려되어 당 장에서는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 내지 극복하기 위하여 그동안 건축공사에만 적용되던 본 TOP-DOWN 공법을 교차로에서 혼잡한 교통과 상재통행(8차선 5가지 교차로)하중상태에서 국내최초로 성공적으로 시공한 사례가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3. TOP-DOWN 공법 현황
3.1 공법개요
TOP-DOWN 공법이란 지하외벽(지중연속벽) 및 구조체 중앙 기둥을 선시공한 후 단계별로 상부에서 하부로 토공작업과 슬래브 등 구조물 시공을 반복하면서 위에서 아래로 구조물을 완성해 나가는 공법을 의미한다.
3.2 공법특징
(1) 본 공법은 개착식(OPEN CUT)공법으로는 계획하기 어려운 심도굴착, 협소한 대지, 인접건물이 많고 도로폭이 좁은 도심지 구간에서 민원발생을 줄이고, 인접건물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2) 지하구조물과 부대시설물 시공을 병행하여 공기단축 효과가 크며 지중연속벽 가시설로 사용하므로 굴착으로 인한 붕괴사고 방지 및 지하공간의 작업장 및 야적장 활용이 가능하다.
(3) 불투성의 지붕연속벽 시공으로 지하수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주변지반의 침하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다.
4. TOP-DOWN 공법의 시공방법
지하철 공사에 적용할 수 있는 TOP-DOWN 공법은 완전 역타공법(FULL TOP DOWN)과 부분 역타공법(PARTIAL TOP DOWN)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공법별 특징은 아래와 같다.
4.1 완전 역타공법과 부분 역타공법 비교
4.2 서면정거장 TOP-DOWN 공법의 주요 시공순서
5. 공법의 특성 및 기대효과
5.1 기존 가시설 흙막이 버팀 처리방법 문제점
(1) 도심지 교통체증 유발(강재버팀, 구조물 가설재 투입 설치시)
(2) 강재 가설버팀 변이 누수우려(장 SPAN버팀 처짐, S/W PANEL 이격)
(3) 인접 고층빌딩 심도 굴착시 주변 침하 민원발생
(4) 강재 및 가설재 야적장 및 작업장 협소
(5) 제반 문제점으로 공기 지연
5.2 TOP-DOWN 공법적용 전체적인 효과
(1) 교통체증 조기회복(복공 후 즉시 교통처리)
(2) TOP-DOWN 조기시공으로 인접건물 안정성 확보 및 민원예방(S/W PANEL 이완방지, 배면지하수 유출방지)
(3) 강재절감(2,500TON)
(4) TOP-DOWN 중간 SLAB 완료시 야적장, 작업장 활용효과, 우천시 작업가능
(5) 부대공사(출입구, 정화조, 연결통로) 병행시공으로 공사기간 단축
5.3 공정관리 효과
(1) 공정대비표
(2) 본 공사 공정현황
- 당초 공법 : 가시설(9단) + 동바리설치 구조물시공 : 23개월
- 변경 공법 : TOP-DOWN(토공면위 구조물 직접시공) : 13개월(당현장 실시공 공기)
※ 약 10개월 절감효과
(3) 부대공사 공정현황
- 당초 공법 공사착수 시점 : 15개월 후(본 구조물 완료 후)
- 변경 공법 공사착수 시점 : 4개월 후(TOP-SLAB 완료 후)
※ 약 11개월 조기착수
(4) 전체공기 절감효과 : 11개월
5.4 시공관리 효과
(1) 토공면위 직접 시공하므로 동바리설치 시공방법의 문제점 완전해소
(2) 넓은 작업공간 확보와 안정성 있게 대량의 콘크리트 타설(당 현장 시공사례 : 1회 1,400㎥ 타설)
(3) 토공굴착과 병행 구조물 연속 공정 추진
(4) 동절기와 우천시 계속 작업 진행하므로 공기절감 및 인원수급 효과
(5) 가설재 및 강재투입 감소로 작업공간 확보 및 현장관리 용이
(6) 안전시공 효과
5.5 품질관리 효과
(1) 구조물 품질 : 일반적으로 개착부에서 상부 SLAB 콘크리트를 타설시 동바리설치 및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데 거푸집사이 연결부위에 탈수현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 재료분리로 인한 강도저하
- 침하 붕괴사고 발생
- 방수가 잘 안되어 누수현상을 일으킴
- 양생온도 일정치 않아 크랙발생 소지
(2) TOP-DOWN 공법은 동바리가 필요 없고 현 지반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현장의 품질관리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5.6 안전관리 효과
(1) 안전사고 예방(상부SLAB 완성 후 하부로 굴착 진행되는 현장조건임)
- 강재작업 위험요소 해소
- 굴착용이 붕괴 해소
- 낙하물 추락방지
- 수방대책 용이
- 소음, 진동, 분진 해소
3) RC 적층 공법
철근콘크리트 라멘(Rahmen)구조의 건물을 PC화하는 첨단공법으로, 공장에서 제작한 PC기둥, PC보, Half Slab 등 PC부재를 현장으로 운송, 양중하여 조립한 후 부재간 접합부와 Half Slab 상부에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구조체를 일체화시키는 복합화 공법으로 일반 RC조의 강성을 가진다.
1. 공법의 특장점
- 공기단축 및 품질 확보
고도의 품질관리하에 공장제작된 PC부재를 사용함으로 고품질 건물 완성
1개층 공정이 7~8일 Cycle로 시공되므로 공기단축이 가능
기계화시공으로 생력화가 이루어지며, 동바리등 가설재 사용감소로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
- 생산성 향상
현장투입인원을 70%이상 절감가능
단순공정의 반복작업과 기계화시공으로 생산성 향상
- 안전성 확보
외부 비계 및 가설재가 거의 필요없는 안전작업이 가능
현장투입인력 절감과 작업환경 개선으로 사고예방
- 환경보호
건설폐기물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폐기물 발생률 80% 저감) 현장이 깨끗하고 폐기물 처리비용 절감 및 환경보호 부응
2. 시공 공정도
3. 공법적용 사례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4.08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1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