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본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탁본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탁본이란?

2. 탁본의 기원

3. 탁본의 목적

4. 탁본의 종류

5. 탁본에 알맞은 기후

6. 탁본물의 보관방법

7. 탁본 뜨는 방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꾸며놓은 나무)은 넣지 말고 테이프나 압핀으로 붙여서 벽에 붙이면 된다.
표구사에서 꾸미지 않고 집에서도 표구를 하는 방법을 익혀두어 조그마한 작품이나 배접은 손수 해 보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표구에 전문 지식이 없으면 좋은 작품을 꾸밀 수가 없겠지만 설사 어느 정도의 기술이 있다고 하여도 전문 기술이 있는 표구사에 부탁하는 것 일이 순조롭다.
7. 탁본 뜨는 방법
탁본을 뜨는 방법에는 건탁과 습탁이 있다.
건탁은 동화나 은화에 종이를 대고 연필심을 뉘어서 비벼대는 장난과 마찬가지인 방법이다.
종이가 움직이지 않게 누르고 작은 고형의 탁본 먹으로 수 없이 문지르면 문자가 높은 곳은 검게 얕은 곳은 희게 찍힌다. 섬세한 무늬나 잔 글자는 손가락에 헝겊을 감아 이것을 탁본 먹에 문지른 다음 대상물을 세심하게 문질러서 찍을 수도 있다.
습탁은 탁본하려는 물건에 댄 종이 위를 물로 적셔 종이가 대상물에 붙게 하는 것이 특색이며 수탁이라고도 한다.
◆ 탁본에 필요한 도구
-무명천이나 가제천, 명주천
-먹과 벼루
-물 붓(표구 할 때 사용하는 붓), 분무기
-두드리는 솔
-면 수건, 소창
-물통, 먹 접시
-화선지나 탁본용 창호지, 신문지
-좁쌀, 쌀, 콩, 녹두
-칼, 가위, 테이프, 고무줄, 비닐
◆ 먹 방망이 만들기
1)솜이나 좁쌀 노끈 가아제 등을 준비한다. 특히 솜은 잘게 뜯어서 사용한다.
2)솜이나 좁쌀을 가아제 천으로 싸서 꼭꼭 다진다.
3)다시 한 번 무명천이나 견 등에 싸서 끈으로 묶으면 된다.
4)묶기 전 솜방망이 앞을 만져보면 단단하고 탄력이 있어야 한다.
5)크기별로 4 개정도 만들면 적당하다.
◆ 탁본하는 방법
1) 탁본할 원판을 먼저 솔로 깨끗이 청소한다. 구석구석 먼지가 끼어있으면 종이가 붙지 않고 뜨기 때문에 청소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2) 스프레이로 물을 골고루 충분히 뿌려준다. 탁본대상의 성질을 잘 파악한 후 물의 양을 조절한다.
3) 종이를 탁본할 대상물에 정확히 얹어놓고 가볍게 물을 한번 더 뿌려 밀착 시켜준다.
4) 종이가 충분히 젖으면 마른 수건을 덮고 손으로 가볍게 구석구석 눌러 준다.
종이가 물을 먹은 상태에서 늘어난다.
5) 솔로 전체를 두드린다. 종이의 질에 따라 두드리는 강도를 조절한다.
여분의 물은 수건으로 흡수될 것이다.
6) 수건을 조심스럽게 벗긴 후 아직 밀착 안된 부분을 솔로 가볍게 두드린다. 이때 너무 세게 치거나 직각이 아니라 엇각으로 치면 종이가 찢어지기 쉬우니 조심한다.
7) 물기가 충분히 마르면 솜방망이를 준비한다.
8) 솜방망이 하나는 먹을 묻히고 하나는 그것에 비빈다.
9) 간접적으로 먹이 묻은 솜방망이를 먼저 시험삼아 다른 종이에 쳐봐서 희미하게 먹 그을 음이 묻어 나오면 사용해도 된다.
10) 탁본할 대상에 탁탁 가볍게 친다. 양각인 경우 튀어나온 부분만 솜방망이 질 하면 된 다. 세밀한 부분은 작은 솜방망이를 사용하면 된다.
11) 완성이 다되면 원판에서 때어낸다.
8. 참고문헌
1) 탁본의 세계 , 일지사 , 병 진
2) 탁본자료 해제 , 한국학중앙연구원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17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6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