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명절 정월대보름][명절 한식][명절 초파일][명절 단오][명절 중양절][명절 추석][명절 동지]명절 정월대보름, 명절 한식, 명절 초파일, 명절 단오, 명절 중양절, 명절 추석, 명절 동지 분석(명절, 전통명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절][명절 정월대보름][명절 한식][명절 초파일][명절 단오][명절 중양절][명절 추석][명절 동지]명절 정월대보름, 명절 한식, 명절 초파일, 명절 단오, 명절 중양절, 명절 추석, 명절 동지 분석(명절, 전통명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명절 정월 대보름
1. 약식
2. 부스럼깨기
3. 귀밝이 술
4. 묵은 나물 먹기
5. 오곡 밥
6. 복쌈
7. 다리밟기
8. 연 날려 보내기
9. 더위 팔기
10. 굿
11. 복토(福土) 훔치기
12. 지신밟기
13. 달맞이

Ⅱ. 명절 한식
1. 유래
2. 의의

Ⅲ. 명절 초파일

Ⅳ. 명절 단오
1. 창포로 머리 감기
2. 그네뛰기

Ⅴ. 명절 중양절

Ⅵ. 명절 추석

Ⅶ. 명절 동지
1. 동지 팥죽
2. 동지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해 사라지고 중앙절부터는 겨울을 날 수 있는 동물들만 남게 된다. 즉 중앙절 이후부터는 가을이 가고 계절이 바뀌는 즉 무르익은 가을을 마지막으로 즐기기 위한 명절이었다.
Ⅵ. 명절 추석
강강술래는 추석날 밤 처녀들이 떼를 지어 춤을 추면서 노는 놀이다. 강강술래는 원래 임진왜란 때에 이순신 장군이 왜적에 비해 우리 병사의 숫자가 적자 머리를 써서 산에 불을 붙여 놓고 마을 여자들을 빙빙 돌게 하면 왜적들이 우리 병사들로 착각하게끔 해서 정말로 왜군을 철수하게 하였다. 그 후로 마을 사람들은 이 날의 기쁨을 기념하기 위해 춥지도 않고 덥지도 않은 달밤을 택해 \"강강술래\"를 부르며 뛰어놀게 된 것이다. 음력 팔월 한가윗날은 날도 좋고 달도 밝아 강강술래를 하기에는 가장 좋은 날이었을 것이다. 추석은 아주 오래 전부터 조상 대대로 지켜 온 우리의 큰 명절로 일 년 동안 기른 곡식을 거둬들인 햇곡식과 햇과일로 조상들에게 차례를 지내고 ,이웃들과 서로 나눠 먹으며 즐겁게 하루를 지냈다. 아무리 가난한 사람도 떡을 빚어 나눠 먹었다고 해서 속담 중에\"일 년 열두달 3백 65일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말도 생겼다. 음력 8월 15일 추석을 다른 말로 한가위라고도 부르는데 \"한\"이라는 말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라는 말은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옛말로 즉 8월 15일인 한가위는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가위\"라는 말은 신라 때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유래한 것으로 \"길쌈\"이란 실을 짜는 일을 말한다. 신라 유리왕 때 한가위 한 달 전에 베 짜는 여자들이 궁궐에 모여 두 편으로 나누어 한 달 동안 베를 짜서 한 달 뒤인 한가윗날 그동안 베를 짠 양을 가지고 진편이 이긴 편에게 잔치와 춤으로 갚은 것에서 \"가배\" 라는 말이 나왔는데 후에 \"가위\"라는 말로 변했다. 추석날에는 강강술래, 씨름대회, 활쏘기 대회, 농악· 거북놀이 등 많은 놀이를 했다. 새로 나온 과일과 곡식으로 차례상을 차려 드려 한 해에 거둬들인 것을 보고들이고 아침을 먹은 후 조상의 산소에 성묘를 하러갔다. 우리의 명절인 추석은 즐겁고 신나는 날인 동시에 그런 즐거움을 얻은 것에 대한 감사를 잊지 않은 날이었다. 햇과일 하나만 보아도 조상들에게 감사드릴 줄 알았던 옛 어른들의 겸손한 마음은 우리도 꼭 배워야 할 것이다.
Ⅶ. 명절 동지
1. 동지 팥죽
동짓날에는 팥죽에 찹쌀 혹은 수수 뭉치를 넣어서 죽을 쑤어 먹는 풍속이 있다. 세시행사의 입법정신으로 볼 때 동짓날은 팥죽을 쑤어 먹는 것이 가장 적합한 행사로 보았던 것이다. 왜냐하면 동짓날에는 해는 짧고 또 추운 때요, 농한기는 대부분의 농민은 휴식상태에 있는 때이다. 이러한 때 농민들을 옥외로 동원하여 행사를 거행하기 보다는 오히려 집안에서 휴식하면 팥죽을 쑤어서 끼니를 떼우게 하면 결국 절미운동은 물론, 부식의 비용까지 절약되는 일거양득의 절약책이 될 것이다.
2. 동지사
삼국 때의 기록을 보면 동짓날에 사절을 상국에 보내서 조공을 했다는 기록은 없다. 이와 같은 풍조는 결국 조정의 백관은 물론 백성들에까지 파급되어 동짓날이 되면 으레 관상감에서 만든 책력 등 역세와 더불어 적게는 한지, 많으면 비단 필육 등을 예물로 교환하는 폐풍 유행된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 우리 문화 길라잡이
김명자, 세시풍속의 기능과 그 변화, 민속연구 2, 안동 : 안동대부설 민속학연구소, 1992
정상진, 우리 민속과 전통문화, 부산 : 부산외국어대 출판부, 1996
조후종, 세시풍속과 우리 음식, 한림출판사, 2002
최운식 외, 한국 민속학 개론, 민속원, 2002
한복선, 명절 음식, 대원사, 1991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4.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7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