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계층][신분][계층][계급][언어사용][학교교육][사교육]신분, 계층, 계급 개념, 사회계층과 언어사용, 사회계층과 교육 평등과 불평등, 사회계층과 학교교육, 사회계층과 사교육, 사회계층과 영어 사교육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계층][신분][계층][계급][언어사용][학교교육][사교육]신분, 계층, 계급 개념, 사회계층과 언어사용, 사회계층과 교육 평등과 불평등, 사회계층과 학교교육, 사회계층과 사교육, 사회계층과 영어 사교육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신분, 계층, 계급의 개념

Ⅲ. 사회계층과 언어사용

Ⅳ. 사회계층과 교육의 평등과 불평등
1. 교육과 평등
2. 교육과 불평등

Ⅴ. 사회계층과 학교교육
1. 사회계층과 학업성적
2. 사회계층과 언어발달
3. 사회계층과 교육의 기회
4. 사회계층과 교육에 대한 태도

Ⅵ. 사회계층과 사교육
1. 사교육 참여 여부
2. 사교육을 받지 않는 이유
3. 사교육을 처음 시작한 시기
4. 사교육 종류별 수강 실태
5. 사교육 종류별 주당 평균 교육 횟수
6. 주당 사교육 시간
7. 주당 사교육 수강 종류

Ⅶ. 사회계층과 영어 사교육
1. 사회계층에 따른 영어 사교육 실시 여부
2. 사회계층에 따른 영어 사교육 유형
1) 사회계층에 따른 영어 사교육 유형별 개수
2) 사회계층에 따른 영어 사교육 유형별 종류
3) 사회계층에 따른 영어 사교육 유형별 비용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으로 1주일에 거의 10시간에 가까운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나 거의 하루에 1시간이상의 시간을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학년 및 계층별로 나누어 비교해 보면, 학년에 따라서는 학습지에 대해서 4학년은 평균 83.8분이었으나 6학년은 평균 55.9분으로 4학년이 더욱 학습지로 사교육을 받는 시간이 많은 경향이었다(P<.05). 사회계층에 따라서는 학원수강에 대해서 상계층은 평균 446.7분으로 조사되었으나 중계층(517.6분), 하계층(555.7분)으로 사회계층이 높아질수록 학원수강에 소요되는 시간은 적은 경향이었다.
7. 주당 사교육 수강 종류
1종류를 받고 있는 경우는 12.2%, 2종류를 받고 있는 경우는 34.3%, 3종류를 받고 있는 경우는 26.1%, 4종류를 받고 있는 경우는 18.5%, 5종류 이상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경우는 8.8%로 조사되어 대체적으로 2종류 이상의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년에 따라서는 그 차이가 없었으나 사회계층에 따라서는 계층이 낮을수록 2종류 이하의 사교육을 받는 경우가 많으며 계층이 높아질수록 2가지 이상의 사교육을 받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Ⅶ. 사회계층과 영어 사교육
1. 사회계층에 따른 영어 사교육 실시 여부
영어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경우는 전체 대상자의 76.7%이었으며 받지 않는 경우는 23.3%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를 사회계층에 따라 비교해 본 결과 하 계층에서는 52.7%, 중 계층에서는 81.4%, 상 계층에서는 90.6%가 영어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사회계층이 높아질수록 영어 사교육을 받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계층에 따른 영어 사교육 유형
1) 사회계층에 따른 영어 사교육 유형별 개수
영어 사교육 유형별 분석은 영어 사교육을 받고 있는 299명을 대상으로 먼저 사교육을 받는 종류의 수를 알아보았다. 영어 사교육을 1종류만을 받는 경우는 76.0%, 2종류를 받는 경우는 18.2%, 3종류를 받는 경우는 5.1%, 4종류를 받는 경우는 0.3%, 5종류를 받는 경우는 0.3%로 각각 조사되어 대체적으로 1종류의 영어 사교육을 받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사회계층이 높아질수록 영어 사교육 종류가 다소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2) 사회계층에 따른 영어 사교육 유형별 종류
영어 사교육 유형별 분석에 의하면 영어 사교육 경험이 있는 전체 296명 중 개인과외를 받는 경우는 15.9%, 그룹과외를 받는 경우는 9.8%, 학원을 다니는 경우는 75.0%, 학습지를 하는 경우는 27.7%, 사이버 공부방을 이용하는 경우는 2.4%로 조사되어, 대체적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영어 사교육 형태는 학원이용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개인과외, 그룹과외, 사이버 공부방의 순이었다.
3) 사회계층에 따른 영어 사교육 유형별 비용
영어 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의 전체 영어 사교육비용을 살펴보면, 평균 173,784원으로 이중 하계층은 평균 144,417원, 중계층은 평균 167,140원, 상계층은 206,844원으로 각각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계층의 경우는 그 표준편차가 적은 반면에 중계층상계층의 경우는 그 편차가 너무 커서 영어 사교육비의 격차는 매우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하계층의 경우는 최소 2만원에서 최대 40만원까지 영어 사교육비로 지출하는 반면, 중계층은 최대 70만원, 상계층은 최대 200만원까지 사교육비로 지출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각 영어 사교육 종류별 사교육비용을 살펴보면, 개인과외는 평균 229,723원, 그룹과외는 평균 175,862원, 학원은 평균 48,198원, 학습지는 평균 70,220원, 사이버 공부방은 평균 42,571원으로 개인과외 비용이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그룹과외, 학습지, 학원, 사이버 공부방의 순서이었다. 이들 비용의 편차는 너무 커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예로 개인과외의 경우 하계층은 평균 113,857원(±71,280)이었으나 중계층은 평균 205,714원(±100,428), 상계층은 평균 298,947원(±430,464)으로 그 편차가 상당히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Ⅷ. 결론
어느 사회에서든 교육은 사회적계층 이동의 통로이다. 학교교육은 개인의 사회적 계층를 결정해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고 그 효과는 매우 크다. 사회적계층 이동은 크게 수직적 이동, 수평적 이동, 경쟁적 이동, 후원적 이동으로 나눌 수 있다.
① 수직적 이동: 사회계층이 상하로 이동한다. ② 수평적 이동: 직종이나 지역적인 이동을 말한다. ③ 경쟁적 이동: 치열한 경쟁의 과정을 통해 사회적 지위가 결정되며 이것은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④ 후원적 이동: ‘부모’, ‘가문’ 등에 의해 결정되어 조기에 사회적 지위가 결정된다.
사회계층과 학업성취의 관계 및 교육유형을 보면 상류계급 출신이 하류계급출신보다 더 좋은 학점과 더 높은 교육을 받고 있다. 그렇다고 교육이 현위치(Stats quo)를 연속시킨다고 결론내리는 것은 단순한 생각이다. 지금까지의 교육기능은 사회계층의 수직적 이동에 공헌했으며, 그 중에서 상승이동(Upward Mobility)에 큰 영향을 주었다. 우리 사회의 일반인들이 자녀교육에 대하여 과도한 교육열을 보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부모는 자녀에게 사회적 상승의 기회를 주려고 높은 수준과 교육을 강요한다. 농민이나 노동자의 자녀가 사무직이나 근로직에 종사하면 이는 세대간 계층이동이며, 상승이동이다. 이런 사회적 계층이동은 학교교육이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여 하류계급 출신 중에 공부에 뜻있는 학생들의 사회적 계층상승의 이동 수단이다.
참고문헌
김영모 - 한국사회계층연구, 일조각, 1982
김신일 - 교육사회학, 서울 : 교육과학사, 1985
김채윤·권태환·홍두승 - 사회학개론, 서울대출판부, 1986
멜빔 M, 튜우민 - 사회계층론, 삼영사, 1986
유은호 - 학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른 교육관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3
홍두승·구해근 - 사회계층, 계급론, 다산출판사, 2001

키워드

사회계층,   신분,   계층,   계급,   평등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4.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0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