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자][공리주의][묵자의 원류와 사회적 배경][묵자의 학설][묵자의 공리주의]묵자의 원류와 사회적 배경, 묵자의 학설, 묵자의 공리주의 분석(묵자, 공리주의, 묵자의 학설, 묵자사상, 묵자철학, 묵자의 원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묵자][공리주의][묵자의 원류와 사회적 배경][묵자의 학설][묵자의 공리주의]묵자의 원류와 사회적 배경, 묵자의 학설, 묵자의 공리주의 분석(묵자, 공리주의, 묵자의 학설, 묵자사상, 묵자철학, 묵자의 원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묵자의 원류와 사회적 배경
1. 狩野直喜의 설
2. 馮友蘭의 설
3. 中國思想通史의 설

Ⅱ. 묵자의 학설
1. 새로운 신분계급사회로의 지향
2. 논의의 표준
3. 천론
4. 유신론
5. 겸애
6. 근면과 검소
1) 절용
2) 절장
3) 비악

Ⅲ. 묵자의 공리주의
1. 상애사상
2. 평등사상
3. 相補相助 사상
4. 경제적 평등

참고문헌

본문내용

뜻을 따르는 것이 평등이요 평등을 도리로 하는 것이 의로운 정치라고 하였다. 또한 경제적 불평등의 원인인 사적 소유를 반대한다. (경제론 참고) 즉, 재물의 저장은 자기를 위한 것 같지만 사실은 자기뿐만 아니라 인민에게도 해가 된다. 모든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게 살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相補相助 사상
묵자는 인간의 평등을 주장하지만 그것은 수단일 뿐 그 목표는 인류해방 공동체였다. 그의 목표는 모든 인민의 자유롭고 안락한 삶이었었으며 그 모습은 大同 社會였다. <예기>에서 말하는 대동 세계란 大道가 행해지는 세계 즉 묵자의 겸애가 행해지는 세계이며 천하는 천자의 사유물이 아니고 하느님의 것 즉 온 인민이었으므로 통치자는 인민에 의해 선출되며 신뢰와 화목이 깃든 평등공동체이다. 귀머거리와 봉사가 상보하면 귀머거리도 들을 수 있고 봉사도 볼 수 있는 것이다. 힘이 있으면 서로 도와주고, 재산이 있으면 서로 나누어주고, 배운 자는 서로 인도해 주어야 한다. (有餘力以相勞, 有餘財以相分, 有道以相敎 ...... 天志中, 尙同上) 이러한 상보야말로 누구나 안락할 수 있는 도이다. 그래서 배고픈 자가 먹을 수 있고, 헐벗은 자가 입을 우 있고, 피로한 자가 쉴 수 있으며, 어지러운 것은 다스려져 모든 인류가 자유롭고 편안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태평한 사회를 대동사회라 하는 것이다.(若此則飢者得食 寒者得衣 勞者得息 亂者得治 此安生生 ...... 尙賢下) 그래서 묵자는 남을 위하는 것은 자기를 버리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자기를 위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4. 경제적 평등
묵자가 경제적 평등을 달성시키기 위해서 노력했다. 국가의 소극적 목표는 인민을 이롭게 한 공적이 없는 자가 상속으로 인해 부귀하게 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또한 빈부귀천의 신분이동을 그 자신의 선한 행동의 결과에 따라 언제나 가능하도록 하는 일이다. 그래서 관리는 대를 이어 또는 평생을 높은 자리에 있을 수 없고, 인민은 대를 이어 또는 평생 동안 천하게 지내지 않도록 기회를 보장하는 일이다. (官無常貴 而民無終賤) 또한 인간들이 서로 평등하게 두루 사랑해야 하며, 서로에게 이롭게 하는 것이 하느님의 뜻이라고 말한다. 국가는 굶주린 자를 먹여 주어야 하며, 헐벗은 자를 입혀 주며, 피곤한 자에게 쉴곳을 주고, 위험에 처한 자에게 편안함을 주어야 한다. (尙賢下) 하느님은 인민에게 힘이 있으면 서로 돕고 새물이 있으면 서로 나누어주고 길이 있으면 서로 가르쳐 주어 인도해 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김학주(1998), 묵자 그의 생애 , 사상과 묵가, 민음사
기세춘(1995), 묵자사상의 해석학적 고찰 우리는 왜 묵자인가, 초당
기세춘, 묵자, 도서출판 나루터
묵적 저, 박재범 역(1999), 묵자, 홍익 출판사
묵적 저, 박영하 역(2006), 묵자, 사랑, 그리고 평화를 향한 참지식인의 길, 풀빛
윈버그채, 중국 철학 이야기, 성우
장용숙, 묵자 사상의 현대적 의의, 한신대학교 대학원 윤리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1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