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유산을 찾아서-한국의범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종의 기원
◎ 명칭과 구조
◎한국 범종의 특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그 46년 뒤인 771년(혜공왕7)에는 사상 최대의 걸작인 성덕대왕 신종이 탄생하였다. 범종은 불교의 상징물이며 강력한 왕권전제 국가의 산물이다. 종을 만들어서 부처님의 진리나 자비를 담아서 온 누리에 퍼지게도 하고, 역사에 기록될만한 대왕의 공격과 위업을 종에 담아 그것을 국토에 퍼지게 하여 호국의 수단으로 삼기도 하였으며, 중생들은 부처에 종을 만들어 시주함으로써 소원을 빌기도 하였던 것이다. 결국 종소리야 말로 높은 세계의 뜻을 아래로 하달할 수도 있고, 아래 세계의 뜻을 높은 세계로 상당할 수도 있는 신구였던 것이다. 부처님의 진리와 자비를 담아서 호국사상을 고취하는 경우(연복사종), 대왕의 공덕을 종에다 담아서 호국을 꾀하려는 경우(성덕대왕신종), 일반 중생들이 종을 만들어서 발원한 것 등이 범종의 의미라고 하겠다.
한국의 종은 매우 과학적이면서도 모든 형태가 이치에 합당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와 같은 슬기는 오늘날에도 마땅히 계승되어야 할 것이다. 그들의 후손인 우리는 보다 깊은 사색과 정진을 통하여 범종의 참된 의미를 최대한 되살리고자 했던 선조들의 정신을 반드시 물려받아야 한다. '한국의 종'속에 담겨져 있는 그 깊은 뜻, 그렇지만 아직도 우리의 사색밖에 있는 그 숨겨진 의미를 발견할 때 한국의 종은 더욱 생명을 더할 것이고, 오늘의 우리는 더욱 좋은 종을 탄생시킬 수 있을 것 이다.
※ 참고문헌
→ 국립문화재연구소 / 한국의 범종 / 국립문화재연구소 / 1996 / P. 15 - 40
→ 염영아 / 한국의 종 / 서울대학교출판부 / 1991.09.01 / P. 215 - 224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5.25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7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