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 분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절염 분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류마티스성 관절염
1) 원인과 증상
2) 진단
3) 운동요법
4) 운동 프로그램
2. 골관절염
1) 원인과 증상
2) 진단
3) 운동요법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라켓운동을 제외한 그밖의 운동은 해도 된며 보통 자전거 운동과 빠르게 걷기운동이 알맞은 운동이다. 자전거 운 동은 매주 3~5일 이상, 처음에는 25W부터 시작하여 조금씩 무게를 늘려 75W 정도까지 하고 시 간도 하루에 15분정도 시작허여 2주간격으로 조금씩 운동시간을 늘린다.
등급2에 속하는 환자들은 자전거 운동, 걷기가 알맞고 소수의 등급3에 속하는 환자들은 가벼운 정도의 자전거 운동이나 일주일에 3회정도로 15~20분간 수영을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등급3과 등급4에 속하는 환자들은 쉽게 피로를 느끼고 운동후 동통이 발생하거나 염증이 나타 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1일 1~2회정도 맨손체조를 하는것이 좋다. 신체활동과 건강,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년, 최무현 198p
2. 골관절염
1) 원인과 증상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 또는 퇴행성 관절 질환, 노인성관절염등으로 분류되며 중년혹은 노년기에 주로 발생되고 체중이 부하되는 관절에 대체적으로 침범하여 관절연골의 퇴행성 변화와 관절면의 과잉 골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가장 많이 발병되는 부위의 관절은 하지의 슬관절, 고관절이며 척추에서는 요추와 경추 그리고 상지에서는 견관절과 손의 원위및 근위의 지절관절등에서 발병이 많으며 일반적으로 여자가 남자의 환자보다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그리고 골관절염은 일반적으로 2가지 형태로 분류되는데 원발성 관절염의 경우는 확실한 손상의 원인이 없이 정상이던 관절연골이 퇴행성 변화를 일으킨것을 말하며 이차성 골관절염의 경우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반복적인 외상등에 의하여 발생한것을 말한다.
원발성 골관절염의 원인으로는
20대 에서도 발병되지만 퇴행성의 변화가 중년기 까지 분명히 않다가 55~65세 사이에 85%정도 에서 방사선 학적 근거가 나타난다.
연령이 많을수록 여성에서 심하게 나타난다.
비만자에서 정상인보다 2배정도 많고 주로 체중부하 관절에 나타난다.
이차성 골관절염의 원인으로는
관절의 연골에 손상을 줄수있는 모든 외상, 기형질환등을 들수있다.
관절의 선청성 이상(고관절 탈구)
관절의 감염증(화농성, 결핵성 관절염)
관절내 혈증(혈우병)
외상(골절)등을 들수 있다. 현대인을 위한 뼈의 건강과 운동처방, 보경문화사, 1995년 김태홍, 211p
2) 진단
① 초기 퇴행성 관절염
- 계단을 내려올 때 통증을 느낀다.
-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할 때 힘들 때가 있다.
② 중기 퇴행성 관절염
- 집안일을 하고 난 뒤 무릎이 붓고 아프다.
- 걸을 때 무릎에서 소리가 나면서 아프다.
- 울퉁불퉁한 길을 가면 주저앉고 싶다.
③ 말기 퇴행성 관절염
- 일주일에 3일 이상 자다가 무릎의 통증으로 깬 적이 있다.
- 절뚝거리며 걷는다.
- 외관상 다리가 O자로 휘어져 있다.
- 평지를 걸을 때도 아프다.
- 계단을 오르내리기가 힘들다. http://himchanhospital.com/mokdong/board/health.php
3) 운동요법
① 벽에 등을 기대고 앉는다. 두 다리를 뻗은 채 한쪽 발목을 몸쪽으로 젖힌다. 무릎 뒤쪽이 바 닥에 닿도록 내려본다. 뻗은 채 천천히 다리를 올렸다가 내린다. 양다리를 10회 반복하는데, 아침과 저녁 두번 실시한다.
② 의자에 앉는다. 한쪽 다리를 천천히 뻗어 올린 후, 발목을 몸쪽으로 젖히고 나서, 서서히 내 린다. 허벅지가 뻐근해 질 때까지 실시하는데, 양쪽 모두, 수시로 운동한다.
③ 두발로 선 자세에서 서서히 무릎을 구부렸다 편다. 이때 약 20도 정도만 구부려야 무릎에 무 리가 가지 않는다. 허벅지가 뻐근해 질 때까지 반복하며 수시로 실시한다.
운동은 무릎 주위 근육을 유연하고 강하게 단련시킴으로써 무릎 관절이 제대로 움직이게 해준다. 하지만 과다한 운동은 통증을 유발하므로, '조금씩 자주' 운동하는 것이 좋다. 운동 도중이나 다음 날 아침에 통증이 느껴지면 운동량을 반으로 줄여서 실시하고, 괜찮아지면 다시 조금씩 운동량을 늘인다. http://blog.paran.com/oksu0728/24985985
관절 부위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운동방법을 제시하면 <그림2>에서 보는 것과 같으며 이를 위한 운동의 실천내용은 <표3>에서 보는 것과 같다.
<표3> 운동처방의 실제 현대인을 위한 뼈의 건강과 운동처방, 보경문화사, 1995년, 김태홍, 213p
구분
운동형식
운동처방
운동
종목수
비고
강도
빈도
시간
기간
A형식
부드럽고 강하게
8~15회
15분
12주
10
B형식
부드럽고 강하게
8~15회
15분
12주
8
<그림 2-1> A형식운동 上, 214p
<그림 2-2> B형식운동 현대인을 위한 뼈의 건강과 운동처방, 보경문화사, 1995년, 김태홍, 216p
Ⅲ. 결 론
관절염 환자의 운동효과는 다음과 같다.
최대산소 섭취량이 증가한다.
등척성, 동적 근력이 증가한다.
피로간이 저하된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증가한다.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안정된다.
이미 위에서 설명했듯이 관절염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낮은 운동능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단 시간의 운동이라도 관절염 환자들은 운동을 함으로써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많은 발전이 나타 난다. 결론적으로 관절염환자들의 아픔은 신체적 고통 이외에 끝없이 계속되는 투병의 지루함 과 이에 따르는 심리적 갈등, 사회적 문제로 인한 고통이다.
그러한 이들에게 운동은 고통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가능한 한 정상생활을 할 수 있도 록 도와주는 신체적 치료이다. 관절염 환자들의 치료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환자의 환부, 즉 관절의 병소를 치료한다라는 개념보다는 질병을 가진 한 인간을 도와주고 교육한다는 마음 자세가 더 중요하다 신체활동과 건강,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년, 최무현, 198p
Ⅳ. 참고문헌
신체활동과 건강,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년, 최무현
운동재활 및 처방론, 신교당, 2004년, 이경렬 외
현대인을 위한 뼈의 건강과 운동처방, 보경문화사, 1995년, 김태홍
http://blog.paran.com/oksu0728/24985985
http://himchanhospital.com/mokdong/board/health.php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6.0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8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