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개념과 복음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식개념과 복음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II. 안식에 대한 개념 정리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III. 안식의 의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IV. 결론: 안식의 참 뜻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참고문헌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본문내용

을 묘사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누가복음 4장 16-21절에서 선포되고 있는 예수님의 말씀도 마찬가지로 “회복”과 “구속으로부터의 자유와 해방”에 따른 “주의 은혜의 해”를 선포하시고 이 말씀이 예수님이 오신 바로 그 때에 너희 귀에 응하였다고 말씀하신다.
특히 예수님의 설교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구절은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나를 보내사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눈먼 자에게 다시 보게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케 하고”(눅 4:18)와 “이글이 오늘날 너희 귀에 응하였느니라”(눅 4:21)고 하는 부분인데, 이는 시간적인 현재성을 통해서 미래에 성취될 메시야에 대한 종말론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종말에 완성 될 하나님의 구원이 도래한 것이다. 주의 구원의 날이 온 것이다. 예수는 하나님의 종말론 적인 구원을 가져오는 메시야다. 유이근, 38.
예수님은 하나님의 구속과 은혜에 대한 언약인 “안식” 그 자체가 성육신하셔서 오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안식일을 문자 그대로 지켜야 구속의 은혜로 구원을 받고 은혜의 해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 땅에 오심으로 “은혜의 언약”인 “안식”을 몸소 이루신 예수그리스도를 믿고 그를 지켜야(따라야) 구원을 받고 은혜의 해와 영원한 안식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IV. 결론: 안식의 참 뜻
지금까지 우리는 안식이라고 하면 무조건 쉬는 것이거나 이스라엘의 율법에 써있는 글자 그대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안식은 무조건 일을 하지 않고 쉬기만 하라는 법이 아니었다. 안식에는 “쉼”이라는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원래의 질서와 관계대로 “회복”시킨다는 의미도 있었다. 또한, 회복의 과정에서, “치유”와 “해방”, “구원”의 의미가 더해지고, 창조주인 하나님과 타락한 피조물들 간의 관계가 구속적 관계로 재설정되고 하나님의 언약을 기초로 하는 새로운 이스라엘 공동체가 새롭게 만들어지게 되었다는 의미에서 “안식”은 “구속”과 “새 창조”의 의미 또한 반영하고 있었다.
이상으로 볼 때, 왜 이스라엘 민족이 그렇게 “안식”과 관련된 법들을 거룩하게 구별해서 예배의 날과 속죄의 날로 지키려고 노력했으며, 포로로 잡혀가고 이스라엘이 망하게 되었을 때, 그 원인을 하나님의 “안식”을 준수하지 못했다고 고백할 수밖에 없었는지 알 수 있겠다. “안식”의 존재 이유는 하나님의 창조의 완성과 구원과 회복의 은혜를 기억하고 기념하며 천국잔치를 지상에서 맛보고 하나님께 영광 돌리기 위함이었다. “안식”을 하나님이 구별하시고 거룩하게 지키도록 명하신 이유에는 곧, 복음의 궁극적 목적인 창조 질서의 회복과 완성이라는 “하나님의 대의”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창세기 2장에서는 하나님께서 모든 창조를 완성하심을 선포한다. 이것은 곧 하나님의 안식을 선포하는 것이다. 창세기 1장 1절이 창조의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다면, 창세기 2장 1절은 창조의 완성과 그 의미를 부각시키는 것이다. 하나님의 온정 어린 창조의 손길은 암흑과 혼돈뿐 인 우주에 생명과 질서와 조화를 수 놓으셨다. 한편, 창조 사역을 통해 이루어진 환희와 따사로움과 아름다움이 어우러진 피조세계를 만족해하시면서 선포하신 하나님의 안식은 당신의 사랑스런 독생자를 통한 인류 구속의 완성(사 53:10-11), 곧 역사의 종말에 나타날 만물의 회복(롬 8:19-23) 때에 비로소 그 궁극적인 성취를 보게 되는 것이다. 전봉준 편, 「라이프 성경」 (서울: 기독지혜사, 1999), 2.
이것이 바로 복음이 아닐까?
참고문헌
1) 참고도서
정인찬 편. 「성서대백과 사전」 서울: 기독지혜사, 1979.
빅터 헤밀턴, 강성열, 박철현 역. 「오경개론」 고양: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7.
이경숙 외. 「여성이 읽는 성서: 구약성서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2) 성경
전봉준 편. 「라이프 성경(개역 한글)」 서울: 기독지혜사, 1999.
하용조 편. 「비전 성경(개역 개정)」 서울: 두란노서원, 2004.
3) 관련주제 학위논문
유이근. 「희년법과 그에 관한 영적 의미의 고찰」 광주: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2005.
백동흠. 「구약성서의 희년사상에 대한 신학적 고찰」 대전: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5.
김인섭. 「오경에 나타난 안식(Sabbath) 개념 연구」 서울: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4.
이희철. 「이스라엘의 희년제도 연구」 서울: 한신대학원, 1983.

키워드

안식일,   신학,   복음,   안식년,   희년
  • 가격8,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6.21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