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맨의 죽음 감상 및 분석 - 작품 내용요약, 사실주의 비극을 통해 본 현대사회의 아이러니, 등장인물에 대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일즈맨의 죽음 감상 및 분석 - 작품 내용요약, 사실주의 비극을 통해 본 현대사회의 아이러니, 등장인물에 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저자 아서 밀러

2. 작품 내용요약

3. 아서 밀러의 사실주의 비극을 통해 본 현대사회의 아이러니

4. 죽음에 투영되어 있는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의미

5. 등장인물들에 대한 분석

6. 윌리의 소외 양상과 주제의식

7. 맺음말

본문내용

금만능의 현대사회에 아직 인간미가 상실되지 않았음을 보여 주며, 어두운 현실 속에서도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반면, 하워드 와그너는 탐욕스럽고 무자비한 자본가의 전형적인 인물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업은 사업이다.”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 물질문명이 낳은 대표적인 인물이다. 윌리는 항상 그의 친구인 찰리에 대해 라이벌이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아들에 의해 극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비프는 인생에서 낙오되고, 성공한 버너드에게서 윌리는 그의 성공의 비결을 묻게 되고 버너드는 윌리에게 진실을 깨우쳐 준다. 결국 윌리의 고독감과 소외감의 해소를 위한 불륜관계는 자신을 죄의식으로 몰아 넣고, 아들의 아버지에 대한 믿음과 희망과 포부를 꺾어 버리는 주원인이 되고, 아들의 실패는 자신의 실패를 가져온다.
6. 윌리의 소외 양상과 주제의식
이 작품은 물질주의에 의해 희생이 된 윌리 로먼의 인생을 보여 주면서 산업화의 첨단을 달리는 미국 사회에 살면서 사라져가는 구세대의 가치관에 집착하는 시대착오적인 사회부적응자의 내부적인 절망적인 심리상태를 극화하고 있다. 윌리는 과거의 꿈을 현실에서 실현시키고자 하지만 사회의 냉대에 의해 달성하지 못한다. 그가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여러가지를 들 수 있겠지만 우선 벤의 환상적인 부의 획득은 윌리에게 비현실적인 꿈을 심어준다. 이것이 결국 아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또한 84세의 늙은 세일즈맨의 전설적이고 비현실적인 인물의 존재이다. 그 때문에 윌리는 세일즈맨이 되고자 했지만 극히 허황된 것에 불과했다. 더 근본적인 원인을 살펴보면, 윌리 자신이 처음부터 물질적 성공으로 행복을 꿈꾸었다는 것, 그 꿈을 시대 착오적인 방법으로 추구했다는 점이다.
윌리는 사회가 주는 환상, 즉 물질적 성공의 꿈을 위해 일생동안 노력하지만, 잘못된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꿈이 좌절되고 만다. 윌리의 파멸은 미국 자본주의 기업 윤리를 대표하는 하워드에 의해 가속화되는데, 더이상 회사에서 일할 필요가 없다는 말에 윌리는 그의 선친 와그너 사장과의 친분, 그에게 이름을 지어 주었던 옛일, 34년 간 회사를 위해 일한 것들을 이유로 내세워 근무를 하게 해달라고 간청하지만, 하워드에게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인간관계가 아니다. 자본주의의 관점에서 볼 때 그는 더이상 투자가치가 있는 사람이 아닌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의 현실은 회사의 고용주인 하워드와 종업원인 윌리 사이의 대화에서 잘 알 수 있는데, 하워드가 자랑하며 보여주는 Tape Recorder는 기계문명에 의해 지배받는 현대사회를 풍자하고 있다. 이 극에서 밀러는 노동력을 착취당한 뒤 이용가치가 없을 때, 퇴직 후의 적당한 보상도 없이 팽개쳐 버리듯 하는 자본주들의 잔인성을 고발하고 있다. 결국 주인공의 자살로 끝이 나는 이 작품은 그 당시 “미국인의 성공의 꿈”(Amercian Success Dream)에 사로잡힌 사회와 그 성공의 꿈을 맹목적으로 신봉하는 일반 소시민의 생활태도를 반영하고 있는데, 특히 어떠한 사회공학으로도 경감시킬 수 없는 고독을 야기 시킨 소외의 문제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윌리를 통해 드러나는 소외 양상은 다양한데, 처음으로 드러나는 것은 그가 그 자신의 주변과 일상적인 공간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모습이다. 윌리의 주변환경은 그가 거의 무의식적으로 갈구하고 있는 자연 속에서의 활기찬 생활환경과는 거리가 멀다. 그는 이러한 이질감으로부터 오는 불만을 계속 토로하는데, 이는 그가 일상적인 삶으로부터의 소외를 보여준다. 마지막 부분에서 그는 회사에서 해고당하고, 자식에게서도 버림받은 가장 절박한 순간에 거의 무의식적으로 씨앗 뿌리는 일에 몰두한다. 결국 윌리는 한밤중에 인공의 빛(플래쉬)을 비추어 가며 씨앗을 뿌리는데, 이는 윌리가 자신의 삶의 진정한 욕구로부터 소외되어 있다는 것을 드러내 주는 단적인 증거이다. 이 극이 시사해주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극중 린다의 대사에도 있듯이 “공수래 공수거”라는 말이 많은 걸 함축해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7. 맺음말
현실은 비하되고 과장되는 것보다 에누리없는 사실로 표현될 때 가장 잔인하다. 인간은 거대한 음모보다 간단한 구조조정으로 쓰러질 때 가장 비참하다. 사랑은 증오보다 무관심으로 멀어질 때 가장 쓰라리다. 인간의 비극을 낳는 것은 항상 사소한 것들이다. 패기만만한 때라면 거들떠보지도 않았을 작은 불공평, 말다툼, 부정한 처신이 모든 것을 망쳐버린다. 그 모든 것을 겪는 이가 노년의 문턱에 다다른 세일즈맨이라면 더 말할 것도 없다. 그렇다고 이 비극의 주인공인 윌리 로먼을 전적으로 동정하고 그를 위해 울게 되냐하면 그건 아니다. 그리스 비극에 심취했던 아서 밀러였기에 윌리의 비극은 반은 운명이요, 반은 과거에 뿌린 씨앗의 인과관계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그는 평생 성실했음에도 최근 나빠진 실적으로 젊은 사장에게 해고당한다. 늙음. 그가 버림받은 것은 늙음을 이기지 못했기 때문이다. 돈을 잔뜩 벌고, 사람들을 많이 고용하고, 멋지게 외모를 가꾸며 늙음에 대비하지 못하고 할부금을 갚느라 시간을 흘려버렸기 때문에 세상에서 외면당한 것이다. 그런 그를 보는 것은 마음이 찢어진다. 나도 아버지가 있으니까. 하지만 두 아들이 어렸을 때부터 외모와 인기의 중요성을 불어넣으며 겉멋이 들게 하고 결국 변변찮은 성인이 된 아들에게 끊임없이 허황된 기대를 걸며 모두를 불행하게 만드는 윌리 로먼을 나는 비난하는 마음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다. 나도 아버지가 있으니까. 그런 아버지를 원망하며 밖으로만 도는, 그리고 영원히 가족에게서 떠나려 하는 큰아들 비프. 나도 형제가 있다.
그 모든 모습이 자신의 가족과 일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해하지 못할 사람이 있을까. 물론 나는 그들과는 다르다. 유미리가 말한 대로 세상에 똑같은 가족이란 없으니까. 하지만 내가 윌리였다면, 비프였다면 바로 그들이 행동했던 그대로 했을 것 같다. 이 희곡은 굉장하다. 하지만 아서 밀러를 칭송하는 건 그만두는 게 좋을 것 같다. 그는 재능에 합당한 찬탄을 받아왔다. 하지만 그는 너무 리얼한 글을 써버렸다. 그를 존경하지만, 좋아하지는 말아야겠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8.06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2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