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인 사상(仁 思想)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자의 인 사상(仁 思想)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자의 삶과 철학

2. 공자의 사상과 이론
(1) 공자의 교육사상
(2) 공자의 정치사상
(3) 공자의 종교사상
(4) 공자의 덕치주의 사상
(5) 공자의 개혁주의 사상

3. 공자의 인사상
(1) 인사상의 정의
(2) 대기(對己)의 인(仁)
(3) 대인(對人)의 인(仁)
(4) 대친(對親)의 인(仁)

4. 인 사상의 원리

5. 공자의 인과 예

6. 맺음말

7.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는 뜻이 된다. 그러므로 이것의 목적은 모순을 조화시키고 주례의 구질서를 개선, 유지하는 데 있을 뿐이다. 공자는 당시 두 가지 종류의 소유제에 대한 모순을 반영하는 통치계급 사이의 투쟁을 모두 노예소유주 귀족들 사이의 군신 내 부의 모순으로 보았다. 그는 정치적으로는 "禮"에 의한 제재, 사상적으로는 "仁"의 고취로써 이와 같은 모순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이것이 공자가 제창한 "충서의 도"의 역사적 내용이자 계급적 정체이다. 공자는 결코 모든 사람을 사랑한 것이 아니며, 심지어는 착취계급 전부를 사랑한 것도 아니다. 그가 사랑한 것은 오직 착취계급 가운데 일부분인 노예소유주 귀족에 지나지 않았다. 공자는 노예소유주 귀족의 입장에 서서 "자기가 서려고 하면 남을 서게 해주고 자기가 이루려고 하면 남이 이루도록 해주어야 한다."고 허풍을 칠 수는 있어도 내가 참월을 생각한다면 남 의 참월도 지지해주고 내가 반란을 꾀한다면 남의 반란에도 공감해야 한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충서의 도는 공자에게는 결코 허락될 수 없다. 일정 계급적 도덕이론은 이 계급의 정치제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공자의 "인"도 "예"에 종속되는 것이다.
공자는 "인"을 "復禮"를 추진하는 일종의 도덕적 동력이자 사상적 근거로 보는 한편, "인"의 실행 은 잠시라도 떨어질 수 없다고 강조하였다. "인이 어찌 멀리 있으랴? 내가 인을 바란다면 그 인 은 이미 와 있다."라고 공자는 말한다. 자신이 "인"은 바로 온다는 것이다. 이는 사실상 "인"을 행하려고만 한다면 "인"은 바로 온다는 것이다. 이는 사실상 "인"을 양심이나 자아의식의 산물을 보는 것이다. 이러한 유심주의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공자는 주관적인 도덕동기와 소위 "내성적"인 자아수양의 역할을 크게 내세웠다. 그는 "인의 실천은 자기로부터 말미암는 것이지 어찌 남에게 서 비롯되랴?"라고 강조하였다. 이는 "인"의 실천이 바깥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개인의 자각과 주관에 따른 노력에 의거할 뿐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공자는 노예소유주 귀족들이 오직 "인"을 실행하고 자각적으로 자기를 억제하며 주례의 규정을 준수할 수 있으면 "인"의 원칙 이 실현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례 또한 옹호되고 회복될 수 있다고 보았다.
노예제 사회가 해체되어 봉건적 소유제 사회로 나아가는 역사적 변혁기에 위치하는 공자의 인에 대한 학설은 한 역사시대의 복잡한 사회모순, 특히 통치계급 상층에서 발생한 모순으로서 분화와 투쟁을 반영한다. 공자가 중국 철학사에서 처음으로 통치계급의 내부관계를 조정하는 원칙으로서 하나의 도덕범주인 "인"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통치계급 내부에 새로운 위기가 출현했음을 나타내 는 것으로 불가결한 새로운 조치였다. 그러나 공자는 노예제 사회의 종법제도를 옹호하는 반동적 입장에 서 있었기 때문에 그의 도덕학설도 위선과 기만적 성질을 띠지 않을 수 없었다. 바로 이 같은 본질이 일체의 반동계급의 수요를 충족시켰으며 이로써 그는 중국 역대의 반동통치자나 모 든 착취제도의 옹호자로 채용되었던 것이다. 공자의 "인"의 학설은 역대 봉건지주계급 사상가에 의해 지지, 보완되어 "三綱五常"과 "忠孝節義"를 중심 내용으로 하는 봉건 예교사상으로 발전하여 봉건통치를 옹호하는 냉혹한 사상적 압박도구가 되었다. 이리하여 중국 역사상 공자 때까지 "仁 慈"의 의미밖에 없었던 "인"이 봉건지주계급의 독재를 위한 마취제이자 항상 노동인민의 신체를 얽어매는 보이지 않는 족쇄가 되었던 것이다.
6. 맺음말
공자는 인의 학설을 애써 전파하였다. ‘인’은 곧 ‘남을 사랑하는 것’(愛人)이라고 말하였으며 “자신이 바라지 않는 것은 남에게 시키지 말라”,“자신이 서고 싶으면 남도 세워 주고, 자신이 영달하고 싶으면 남도 영달하도록 해준다”는 등 이른바 ‘충서’(忠恕)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자신을 극복하고 예로 돌아가는 것이 인이다”라고 하여 인의 실천은 예를 규범으로 할 것을 주장하였는데, 인은 실제로 귀족 계급의 질서를 수호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세계관에 관해서 “삶도 아직 모르는데 어떻게 죽음을 알겠는가?”,“사람을 잘 섬기지도 못하면서, 어떻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는가?”라고 하는 등 은,주(殷,周)이래의 귀신, 종교, 미신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를 받아들이면서도, 규명되지 않는 무제들은 보류하는 태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여전히 “천명을 알지 못하면 군자라고 할 수 없다”라고 강조하였다. 인식론과 교육 사상에 관해서 ‘배움’(學)과 ‘사유’(思)의 결합을 중시하여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소득이 없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과거의 지식을 궁구하여 새로운 지식을 안다”는 등의 명제를 제시하였다. 개인이 제자들을 모아 가르치는 풍토를 창시하였고 ‘차별 없이 가르침’을 주장함과 동시에 배우는 사람의 능력에 맞게 가르쳤다. 교육에 있어 “배우기를 싫어하지 않고, 가르치기를 게을리 하지 않는”정신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학문 내용에 관해서 농업과 같은 기술 습득을 천시하였고 “군자가 도(道)를 배우면 남을 사랑하고, 소인이 도를 배우면 부리기 쉽다”고 강조하였다.
귀족 통치의 기초로서 덕에 의한 정치(征治)와 교화(敎化)를 제창하여 가혹한 정치와 임의로 형벌을 자행하는 것을 반대하였으며 “모자라는 것을 염려하지 않고 공평하지 못한 것을 걱정하며, 가난한 것을 염려하지 않고 공평하지 못한 것을 걱정하며, 가난한 것을 염려하지 않고 편안치 못한 것을 걱정한다”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한(漢)이후 이 학설은 2천 년 동안 봉건 문화의 정통으로 인정되어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볼 때 공자가 세운 가치의 체계는 인의예의 체계이다. 아울러 인의예는 사람을 본으로 하는 것이기에, 그의 인의의 가치는 유가의 이상적 인간상인 군자와 成聖을 지향하는 데 있고, 사회적으로 자각된 도덕세계를 실현하는 데 근본이 있다 할 것이다.
7. 참고자료
김능근, 중국철학사, 장학출판사
전세영, 공자의 정치사상, 인간사랑
김학주, 공자의 생애와 사상, 명문당
이성규 역, 공자(인간과 신화), 지식산업사
김태길, 공자사상과 현대사회, 철학과 현실사
  • 가격1,4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8.1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1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