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급학생들의 신뢰도가 성취감에 미치는 사례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급학생들의 신뢰도가 성취감에 미치는 사례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연구주제
Ⅱ. 연구 대상과 연구기간
Ⅲ. 연구의 필요성
Ⅳ. 연구의 목적
Ⅴ. 실행과제
Ⅵ. 검 증
Ⅶ. 개선방안



Ⅷ. 맺음말

본문내용

어 보면서 맑고 착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⑦ 교내 체육대회 행사 때 1학년인 반 아이들은 처음 체험하는 행사라서 낯설어 하였지만, 곧 행사에 열중하며 응원과 대회에 적극성을 보였다. 그러나, 모래조각 때와 마찬가지로 주위에서 겉돌거나 아예 모습이 보이지 않다가 끝날 때 쯤 나타나는 아이들도 있었다.
Ⅶ. 개선방안
1. 청소구역 재배정
개별적으로 상냥하고 착한아이들이 대부분이지만, 몇몇 겉도는 학생들의 학급활동에 대 한 참여도가 저조하여 전체학생들의 피해의식으로 이어지는 것 같다고 판단된다.
청소 담당 구역에 있어서 구역배정을 조정할 필요성을 느꼈다. 늘 지각하거나 맡은 임 무에 불성실한 학생은 동료 학생들이 지켜볼 수 없으며, 교사가 감독 할 수 있는 구역 으로 배정하여 학생들의 피해의식을 개선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2. 학교교칙 기본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1학년 이래서 그런지 몰라도 교칙을 지켜야 한다는 당위성과 필요성을 인식 하지 못하 는 것 같다. 앞으로 장차 어떠한 형태의 조직이나 단체에서 활약해야 할 미래의 역꾼 들이 조직과 단체에 대한 적응을 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좋은 실력을 갖춘다 해도 사회성에서는 불리 할 것이다. 비단, 사회성뿐만 아니다, 인성의 척도는 기본 예의를 갖춘 사람이고, 그런 예의를 갖춘 사람은 교칙 따위는 아무런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 즉, 학교 교칙은 인성교육의 바탕위에 세워진 규칙이므로 반드시 아이들에게 유익하고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사용하여 생 활 지도를 모든 선생님이 관심을 가지고 적극성을 보여야 할 것이다. 생활지도가 안되 면 학업신장이 어렵기 때문이다.
3. 작은 선행에도 칭찬과 관심
사례연구를 통해 틈틈이 학생들과 대화를 하면서 개인적인 경험 사례를 많이 들려주었 다. 주로 미래에 대한 준비와 열정과 끼를 깨우라고 이야기 했던 것 같다.
그리고 그들의 작은 선행에 칭찬을 되도록이면 반 아이들이 다 듣도록 크게 칭찬을 해 주었다. 역시 덩치만 컸지 맘은 아직 어린아이였다. 평소에 잘 웃지 않는 아이인데 연 신 싱글벙글 이였다. 그리고 스스로 무척 뿌듯해 하는 것 같았다. 어쩌면 우리 아이들 은 덩치가 크니 다 컸다고 어른들이 미리 선을 긋고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야단만 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저렇게나 여린 마음을 가진 아이인데, 맘을 조금이라도 열게 되면 아침에 볼 때마다 어제 뭐했냐? 오늘 기분은 어떠냐? 오늘 하루도 파이팅 하자. 등 지속적인 관심을 보였더니 이제는 스스로 아이들이 다가 오는 것을 체험 했 다. 칭찬 한마디가 맘을 담은 작은 말 한마디가 아이들을 바꿀 수 있다면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4. 성취감 고취 프로그램
설문 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입학 전 무엇인가에 매진해서 성취감을 맛본 경험이 없 는 아이들이 많았다. 물론 그렇지 않는 아이들도 있었지만, 반 전체 분위기에 휩싸여 열정을 가지고 도전하고자하는 목표를 찾지 못하는 아이가 될지도 모른다.
아이들의 흥미를 이끌 수 있는 그리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작은 목표를 가지도록 해 야 할 필요가 가 있다.
예를 들면,표현력을 기르게 하기다. 친구들과의 관계가 항상 문제인 성격을 가진 학생 대부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서툴러서 발생하는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남 앞에서 말을 잘 하기 위해선 일단 많이 알아야 하므로 책, 신문, 잡지, 인터넷 등을 통해 친구 들이 좋아하고 관심을 많이 가지는 사실들을 메모하게 하고 그렇게 메모한 사실들을 바 탕으로 친구들에게 발표를 할 수 있게 하는 시간을 가진다.
- 친구들과 내가 관심 있어 하는 내용에 대하여 조사하게 하기
- 학생에게 발표하기 전 연습으로 집의 강아지, 혹은 농구공을 사람의 머리라고 생각하 고 메모한 내용 을 말해보는 연습을 해보도록 하기
또, 학생 자신만의 장기나 특별난 점을 개발하게 하기는 공부도 좋고, 운동도 좋고 장기 도 좋고 뭐든 남의 이목을 끌 수 있는 자신만의 특출 난 점을 하나 갖게 하는 것이다. 자신이 한 가지를 정해서 열심히 하고 그것에 열심히 열중하다 보면 자신에 대해 자아존 중감도 생기게 되고 자연스럽게 타인에 대한 존중감도 생기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나 자신만 보게 하지 말고 주위의 친구들에게 관심을 가지게 하기
친구들은 뭘 하나, 뭘 좋아하고 뭘 싫어하나, 뭘 필요로 하나? 계속 관심을 갖고 관찰하 고 알아내고 친구들을 도와주게 한다.
- 어려움이 있는 학생 찾아 학생이 도와줄 수 있는 부분을 찾아 도와주는 행동을 실천해 보도록 하기
- 다른 학생의 성격이나 취미, 학교생활 등을 관찰하여 자신의 성격이나 행동과 비교하 여 보기 등이다.
Ⅷ. 맺음말
사례연구 주제가 너무 어려웠던 것 같기도 하지만, 나름대로 좋은 경험을 하게 되었다고 생 각 한다. 교생 신분이라서 학생들의 가정사라든지 이성관계라든지 하는 부분은 부딪혀보지 못했지만, 학교 생활지도의 중요성과 그에 따라 현 교직에 몸담고 있는 수많은 선생님들의 고충과 애로사항을 간접적이나마 느껴볼 수 있었던 것 같다. 여러 가지 교생실습생으로 수 행해야 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사례조사를 한 것이라 부족하고 미비 한 점도 있지만, 학생 들과 친밀해지고 교생실습을 실감나게 체험하는 것 같았다. 앞에도 언급 했지만,“생활지 도가 되지 않으면 학업정진이 안된다.”는 것이 앞으로 교육현장의 중요과제 인 것 같다.
교권의 추락도 이 부분과 연결되어 있지 않나 생각해본다. 미래의 주인공이자 우리나라를 주도해갈 정말 중요한 인재들이 아닌가? 모든 교육과정이 다 중요하겠지만, 사춘기를 겪는 중등교육과정이야 말로 한사람의 인격체로 어엿한 성인으로서의 가치관과 자아가 만들어지 는 시기가 아닐까. 1학년5반 학생들은 나의 첫 교실 경험이고 오랫동안 잊지 못 할 좋은 공 부를 시켜준 스승이다. 그들이 장차 성인으로서 떳떳하고 열정이 넘치는 에너지로 미래 를 향해 거침없이 달려가는 모습을 상상해보며, 이글을 맺을까 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사 례연구를 위해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주신 1학년 5반 담임선생님 윤 미희선생님께 지 면을 통해 진심 으로 감사드린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8.19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7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