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병의 진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병의 진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방법 및 순서
1) 식물병의 진단(diagnosis)
① 진단 및 동정
: 발병상황, 환경조건, 식물의 종/품종, 식물의 노유(老幼), 재배환경 등을 검토.
☞동정(同定, identification) : 병원체를 분리 배양하고 접종시험을 거치는 등 복잡한 실험 을 거쳐 병명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
*koch의 3원칙
① 병원체는 반드시 병환부에 존재한다
② 병원체를 순수배양하여 접종하면 같은 병을 일으킨다
③ 접종한 식물로부터 같은 병원체를 다시 분리할 수 있다
②포장진단
③식물세균병의 진다
☞유출검사법(ooze test) : 줄기를 잘라 물에 넣었을 때 단면에서 스며나오는 분비물(ooze) 로 세균병을 진단하는 방법. 병원세균을 분리할 때는 배지(培地=배양액)선택이 중요하며, 병든 식물체 조직에서 병원세균을 분리할 때는 2~3종의 배지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④ 식물바이러스병의 진다
☞바이로이드병 진단 : 지표식물검정법(눈접), RT-PCR법
⑤ 파이토플라스마병의 진단
⒜전자현미경으로 사부 내의 세포 관찰
⒝이병절편을 Dienes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
→ 푸르게 염색되고 집락의 형태가 유지되면 파이토플라스마병으로 판정
2)식물병 진단법의 종류
①육안적 진단 : 병징과 표징에 의한 진단 및 습식처리에 의한 진단(진균병 진단에 이용)
②해부학적, 현미경적 진단
⒜현미경 관찰
⒝봉입체(X-body)의 형태를 이용해 바이러스종을 동정
⒞침지법(DN) : 바이러스에 감염된 잎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올려놓고 염색하여 관찰
⒟그람염색법 : 감자둘레썩음병 등 그람양성 병원균 진단
⒠초박절편법(TEM) :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면역전자현미경법(ISEM) : 혈청반응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③물리, 화학적 진단 : 황산구리법(감자바이러스병에 감염된 씨감자 진단)
④병원적 진단(koch) : 병든 부위에서 미생물의 분리→배양→인공접종→재분리
ex) 소나무잎녹병, Fusarium 등
⑤생물학적 진단
⒜지표식물법
⒝즙액접종법(오이노균병, 세균성점무늬병)
⒞최아법(괴경지표법)
⒟박테리오파지법 : 벼흰잎마름병균 진단
⑥혈청학적, 면역학적 진단
: 한천겔면역확산법(AGID), 형광항체법, 효소결합항체법(ELISA), 직접조직프린트면역분석 법(DTBIA), 적혈구응집반응법
⑦분자생물학적 진단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RT-PCR)
⒝PAGE분석법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9.17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