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ro Deck, Win Deck, JIF Deck, ABM 공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Ferro Deck, Win Deck, JIF Deck, ABM 공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Ferro Deck
1. 정의
2. 특징

Win Deck
1. 정의
2. 특징
3. 구조

JIF Deck
1. 정의
2. 특징

ABM 공법
1. 정의
2. 특징

본문내용

교량 상부를 완성하는 공법
7) F.S.M (Full Staging Method)
- 동바리를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구조물을 시공하고, Prestreessing을 도입하는 공법으로 동바리는 교량가설 후 해체한다. 하부 공간의 지장물이 없고, 교각이 낮으며, 지간이 작은 교량에 적합한 공법으로 F.C.M 구조물의 측경간 접속교 시공시에 주로 사용된다.
2. 건물 / 특수구조물
- 건물의 슬래브(Slab) 및 보(Beam or Girder)등의 주부재에 포스트텐셔닝을 적용함으로서 구조춤(Depth)을 줄이거나, 장경간을 계획할 수 있고, 철근 및 거푸집의 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시멘트 싸일로(Cement Silo)나 LNG Tank 등 원형 구조물이나 댐에도 포스트텐셔닝이 적용되는데 이는 구조물의 균열을 억제하고 수밀성으로 확보하는 측면에서 포스트텐셔닝의 장점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분야이다.
※ 김포공항 신청사를 비롯해서 건국대학교 상허 도서관, 한국신용유통, 인천 LNG Tank, 대우 Test Bed등 많은 건물 및 특수 구조물의 시공을 해왔다.
3. 보수 보강 / 중량물 인양
- 기존 구조물에 대한 보강은 P.T Tendon을 구조물의 외부에 설치하고 긴장력을 도입하여 주형의 내하력을 증진시키는 외부강선(External Post-tensioning)보강공법을 적용한다. 외부강선보강공법은 구조물 성능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 구조물의 인장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이미 발생된 균열을 폐합시키는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크레인이나 기타 재래식 인양장비를 사용하기에 자중, 크기 또는 공간상의 제약이 따르는 중량물 인양에 포스트텐셔닝 공법을 활용할 수 있다.
※ 삼척 동양시멘트 SILO보강, 청주 쌍용투자증권 사옥 보강, 양구대교 보강, 청풍교 성능개선공사, 왜관낙동강교 성능개선공사, 종로 삼성생명 사옥 3400톤 Top Cloud 인양 등 많은 공사 실적이 있다.
4. External Post-Tensioning System
- 최근들어 External 포스트텐셔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어 교량 구조물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현대식 교량가설 공법과의 접목을 통한 경제성과 수려한 외관확보, 구조물에 도입된 케이블의 인장력 조절이 용이하며 필요시 External 텐던의 조사 및 교체가 용이한점, 기존 구조물의 보강이 용이한점등을 들 수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1.09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