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의 간호 및 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당뇨병 환자의 간호 및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술을 받는 당뇨병 환자의 간호

2. 당뇨병 환자의 간호및 교육

3. 간호진단 중재

본문내용

마십시오.
⑧ 음주는 심한 저혈당을 불러온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⑨ 저혈당의 초기증상이 나타날 때 놓치지 마십시오.
⑩ 항상 저혈당에 대처하기 위한 탄수화물이 함유된 식품을 휴대하십시오.
6. 표준 체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1) 당뇨병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표준체중을 유지 하는 것
- 일반적으로 알려진 표준체중 계산법(자신의 키에서 100을 뺀 수치에서 0.9를 곱한 수치)은 경우에 따라 잘 맞지 않는 수 도 있다. 따라서 특별히 비만이나 발육부진이 없었던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성장이 끝난 20대 초반의 체중을 표준체중으로 보면 된다. 표준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일은 섭취한 음식의 열량과 하루 소모 열량 사이에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필요한 열량만큼 먹는 것이 중요하며, 여러 가지 종류의 음식을 골고루 먹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현미, 율무, 잡곡 등을 비롯하여 당뇨병을 예방하는 음식으로 알려졌거나 선전되고 있는 식품을 과신해서는 안 된다. 이들 중 일부는 장에서 영양분이 섭취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지만 그 효과는 어디까지나 제한적이다.
- 당뇨병 환자들은 발병초기에 갈증으로 인해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 량이 증가한다. 이런 경우를 주위에서 본 사람들이 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당뇨병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하는 수가 있다. 이는 사실과 전혀 다르다. 당뇨병이 있기 때문에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므로 목이 마르면 마음대로 물을 마시고, 당뇨병을 조절하면 자연히 물을 마시지 않게 된다. 억지로 목마른 것을 참는 것은 오히려 혈당을 더 올리고 해롭다.
7. 필요시 여행시의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한다.
1) 여행할 때 준비 사항
본인이 복용중인 약물(인슐린, 경구혈당강하제 등)
혈당측정기
비상약품
당뇨병환자 인식표, 당뇨수첩, 진찰기록
편안한 신과 양말
저혈당 대비 간식
2) 여행에서의 보관
- 요즈음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인슐린은 정제가 잘 된 제품들 이어서 보관 상태도 비교적 안정하기 때문에 1~2주간 정도의 여행 시에는 병 인슐린을 실온에서 깨지 지 않도록 보관하여도 전혀 문제가 없으며 인슐린 펜을 이용해 보는 것이 훨씬 편리할 수도 있다. 인슐린 펜 역시 실온에서 1달 간 안전하므로 사용하려면 여행 전에 미리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고 펜 사용법에 대해서도 익숙해진 뒤 떠나면 된 다. 인슐린 주사를 할 때는 밝은 곳, 그리고 청결한 곳에서 맞는 게 좋다.
2) 인식표
Ⅲ. 간호진단과 중재
1. 당뇨병에 관한 지식 부족과 관련된 건강 유지능력의 변화
간호중재
① 환자나 가족에게 당뇨병의 기본 병태생리를 설명한다.
② 처음 진단된 환자는 진단에 대한 분노나 부정 등의 감정이 있는지를 잘 사정하고 이에 대해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환자가 자기의 감정을 다 이야기 하도록 기회를 준다.
③ 어느 기간이 지난 환제에게는 병태 생리에 대한 질문을 하고 이에 대한 대답이 부족하면 자료를 주고 다시 기억할 수 있게 도와준다.
2. 당뇨병 식이요법에 관한 정보부족과 관련된 지식 부족
간호중재
① 환자와 가족에게 당뇨식이가 아닌 균형된 식이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② 각 개인에 따라 영양사나 당뇨교육자에게 본인의 식사에 대한 상담과 교육을 받도록 한 다.
③ 당뇨병 환자가 고려해야 할 식이에 대해 알려준다.
- 커피 등의 음료를 마실 때는 프림 및 설탕을 첨가하지 말 것
- 단당류 및 설탕, 꿀, 물엿, 설탕을 넣고 만든 과자, 시럽, 가당된 과일 통조림류, 단 후 식,가당된 껌, 가당 우유는 피할 것
- 청량 음료수, 강장제는 피할 것
- 혈당은 정규적으로 검사할 것
- 식이요법시 영양소의 양, 배분, 섭취시간 등은 일정하게 유지할 것
- 운동을 계속할 경우에는 당질의 양을 증가시킬 것
- 포화지방산으로 지방 당산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제한할 것
④ 당뇨병 식생활의 요령에 대해 알려준다.
- 식품은 만복감이 있는 것으로 선택하고 채소군을 섞어서 조리한다.
- 자극성 있는 것을 피하고 조리를 싱겁게 하며 국과 반찬을 먼저 섭취한다.
- 되도록이면 섬유질이 많은 섭취를 하도록 한다.
⑤ 알코올 음료는 필요한 영양소가 없이 열량만 내므로 제한한다.
⑥ 외식시에는 기름, 설탕을 많이 사용한 음식은 피하고 식품 종류가 골고루 포함된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3. 인슐린 자가 주사와 관련된 치료적 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간호중재
- 인슐린을 정확히 투여하기 위하여 인슐린 농도, 인슐린 주사기 , 인슐린 저장 ,인슐린 투
여를 위한 준비, 주사부위의 선정과 부위의 회전, 인슐린의 자가투여 등에 관하여 알려 준다.
교육
- 상온에서 1개월간 인슐린을 사용할 수 있으며 1개월 이상 보관해야 할 경우에는 냉장고 에 보관하도록 교육한다.
- 인슐린을 열게 되면 강한 빛과 어염을 방지하기위하여 상자 안에 저장한다.
- 여행시 인슐린은 수화물로 부치지 말고 가지고 비행기에 타도록 한다.
4. 운동요법과 관련된 건강유지 능력의 변화
간호중재
① 당뇨병 환자의 식이, 인슐린 용량, 운동을 균형에 잘 맞도록 계획한다.
② 운동시에는 운동 전과 후에 혈당을 측정한다.
③ 제 2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고 체중 감소를 촉진시키고 혈당조절을 증진시키며 과다한 칼로리를 소모하기 위해 온동하는 것을 장려한다.
5. 혈액과 소면검사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치료 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간호중재
① 먼저 혈당검사와 소변 내 케톤 검사의 정확한 방법을 시범해 주고 규칙적으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검사시간표를 준다.
② 손가락에서 혈액 채취 시 손가락 엎을 찌르도록 한다.(손가락 옆을 찌르는 것이 신경 분 포가 적고 혈액을 더 많이 취할 수 있다.)
③ 혈당이 250mg/dl이상으로 상승할 대나 다른 질병으로 아플 때는 소변내 케톤검사가 필요하다.
④ 검사 후에는 반드시 기록해 두도록 하고 검사시 약 및 strip은 열 , 빛, 습도에 접 하지 않도록 보관하고 여행시에도 검사는 정규적으로 하도록 한다.
⑤ 24시간 소변검사는 검사 시작시간에 본 소변은 버리고 그 다음 소변부터 24시간 끝에 본 소변은 모아서 검사실에보낸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11.19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1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