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의 원인 및 결과(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혼의 원인 및 결과(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이혼의 정의
-이혼의 현황
-이혼율 증가의 원인
-이혼후의 문제점들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녀와 아동을 책임져야 할지도 모른다는 부담감, 자식의 이혼은 곧 부모로서의 실패라는 비난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혼을 승인하지 않고, 자녀의 이혼에 대한 불행감, 슬픔, 혼돈 등의 강한 감정을 보이기도 한다. 또 기혼친구들은 결혼기간동안 기존의 관계망이 단절된 점, 생활환경이 변화되었기 때문에 그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없는 점, 친구 남편의 이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사회적 지지망이 협소해진다. 이에 따라 외로움을 경험하게 되며 따라소 종교단체에 출석하거나 다른 사회적 단체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또 다른 문제는 이와 같은 단체들이 대부분 이혼 및 한부모 가정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혼여성들이 소속감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5)역할 변화의 문제
1) 이혼 여성들의 역할 변화
대부분의 이혼여성들은 이혼으로 인해 아내와 어머니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정체성과 자존심을 잃기 쉽다. 특히, 이혼 이후의 새로운 삶의 요구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가정주부의 역할에만 충실해 왔던 여성들은 자신의 감정과 자발적인 능력이 억압되었기 때문에 이혼에 따른 역할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는 것이다.
2)가족구조 내에서의 역할 변화 문제
이혼으로 인해 가족 구조가 변하면 이전의 가족구조는 해체되고 가족 구성원들은 새로운 역할들을 경험하게 된다. 자녀들과 가사를 공유하게 됨으로써 모자관계는 기존의 상하관계에서 동등한 협력관계로 변한다. 또한 아버지의 부재로 인해 어머니의 역할은 아버지의 역할과 동일시된다. 이런 과정에서 이혼여성은 자신과 아이들의 생존을 보장해야 하는 가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자녀훈육에 대한 단독의 책임을 지게 된다. 이런 변화는 그들로 하여금 역할 과부담을 경험하게 되며 두려움과 부적절감을 갖게 한다. 경제적인 압박을 받는 경우에 편모들은 제한적, 거부적 훈육을 사용할 경향이 더 높아지게 되고 부모 역할에 할애하는 시간이나 노력이 심각하게 제한된다. 또한 가족의 조직력과 지지가 전반적으로 감소되며 통제력도 약화되면서 이혼한 어머니는 기존에는 아버지의 역할이었던 가장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없게 된다.
(6)낙인의 문제
이혼여성에 대한 낙인화 현상은 대중매체의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온 의료기관, 학교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이런 이유로 이혼여성들은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문제있는 여자로 인식되거나 동정심을 받게 될까봐 그리고 무시당할까봐 본인이 편모라는 사실을 주위에 알리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것들이 결과적으로는 자립을 방해한다.
(7)주거의 문제
이혼여성들은 대부분 이혼 이후 이사를 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이혼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 속으로 편입되어 이혼으로 인한 사회적 편견과 과거로부터 자유로와지기 위해서이다. 또 현실적으로는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사람에게 주거권을 양보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주거권이 남성들에게는 당연한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여성들의 경우에는 인정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혼시점부터 주거가 불안정하고, 심지어 재산분할을 받지 못한 경우는 오갈 데가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결론
지금의 많은 여성들이 자신들의 권리를 찾고자, 이혼을 하게 되고 따라서 이혼율의 증가라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우리는 ‘나혜석 이혼 사건’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신여성’이었던 나혜석과 출세한 총독부 관료 김우영, 그리고3.1운동 당시 민족대표33인의 한사람으로 천도교 신파의 거두였던 최린 등 당대의 유명인사들 사이에서 일어난 이 스캔들은 세속적인 흥미를 한껏 붇돋우며, 두고두고 가십거리로 인구에 회자 되었다. 나혜석은 파리에서 최린을 만나게 되었고 사랑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성에게 정조를 강요하는 조선 사회가 그녀의 ‘일탈’을 놓치지 않았다. 결국 1930년 10월, 이혼서류에 도장을 찍고 네 아이와 모든 세간을 남겨둔 채 집에서 나오게 되었다. 그 후, 1934년 나혜석은 ‘이혼고백장‘을 발표하고 정조를 지키지 못했음을 문제삼아 이혼을 강요했던 남편 김우영이 이혼이 성립되기도 전에 다른 여성과 동거에 들어간 사실을 지적하며, 남성 중심의 조선 사회에 대해 통렬히 비판을 가했다. 이렇게 나혜석이라는 인물은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차별받고 있던 여성들의 입장에서 권리를 찾고자 한 신여성운동가라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도 이혼이란 여성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하지만, 지금의 여성들은 그저 주저앉지 않고 자신들의 권리를 찾고자 한다. 불합리한 사회적인 구조와 성차별에 대하여 반대하며 남녀평등을 지향하게 되었고, 따라서 폐미니즘이라는 말도 나오게 되었다. 결국 우리는 과거에서부터 뿌리박힌 인식을 바꿔야 한다.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인간이다. 따라서 가족의 틀을 유지하고자 할 때 필요한 것은 개인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상호배려와 책임 윤리를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연대라는 조건이 필요한 것이다.
참 고
[참고 자료]
http://100.naver.com/100.php?&mode=all&id=128769
http://krdic.naver.com/krdic.php?where=krdic&docid=138658
http://sigma101.nazip.net/clinic/ehonyun.htm
http://www.cuusa.net/cu-hagga-b-sw/b-sw-6-4.hwp
http://www.kwf-top.or.kr/counsel/counsel01.asp
http://wwwsearch.stat.go.kr/search/search2/stat/SearchR0.jsp
< 참 고 문 헌 >
1. 새 여성학 강의 2005 한국여성연구소
2. 20세기 여성 사건사 2001 여성사 연구 모임
3. 사잇소리 엮음, 1994, 『이혼 또 하나의 선택』
4. 이동원, 김현주 외, 2002, 『한국가족의 현주소』, 학지사
5. 조정문, 장상희, 2001,『가족사회학』, 아카넷
6. 한국가족학연구회, 1993,『이혼과 가족문제』, 하우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2.02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4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