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관련법의 실효성과 인권 보장 기능의 강화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성폭력의 실태
1. 성폭력이란 무엇인가?
2. 성폭력 범죄의 실태
3.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들


Ⅱ. 성폭력특별법의 시행 실태
1. 법의 개요
2.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3. 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처벌
4. 성폭력범죄의 신고와 고소
5. 성폭력범죄의 사법처리와 피해자보호
6. 상담소․보호시설․의료기관의 피해자 보호실태



Ⅲ. 성폭력관련법의 실효성과 인권보장 기능의 강화방안
1. 성폭력에 관한 현행법과 수사․재판절차의 개선
2. 피해자보호시설의 기능활성화와 지원확대
3. 사법기관의 개선
4. 여성인권과 여성폭력관련법률의 체계적 교육강화
5. 법의 시행평가와 폭력철폐운동을 위한 대중매체․시민단체의 연대활동

본문내용

의 문제를 개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 행정고시와 외무고시, 7급 행정직 공무원에게 실시되는 여성 채용목표제가 사법공무원에게도 실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여성폭력사건을 다루는 수사 부서와 재판부에 여성을 가능한 많이 배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나. 여성 폭력전담 부서의 설치
여성폭력문제에 대해 피해자들의 접근가능성을 높이고 사건을 전문적이고 중점적으로 수사하고 재판할 전담 부서를 수사기관이나 법원에 설치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가정법원은 서울지역에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방에는 지방법원이 관할하도록 되어 있어 가정폭력문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마련된 특별한 사법서비스를 지방거주자들이 받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수사기관이나 법원에 여성 폭력전담 부서를 설치하거나 확대하고 피해자들이 대다수 여성인 점을 고려하여 가능한 여성을 많이 배치할 필요가 있다.
다. 정확한 통계의 구축과 공포
북경여성행동강령과 많은 외국의 정책은 여성폭력철폐를 위한 주요한 전략으로서 여성폭력의 발생과 그 원인, 사법처리에 관한 통계를 국가기관이 작성, 공표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우리 나라 정부와 사법기관에서 여성폭력에 관한 정확하고 성별 분리된 통계가 제대로 공표 되지 않고 있다. 여성폭력에 관한 입법, 사법, 행정적 대책을 마련하거나 이에 필요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경찰, 검찰, 법원이 서로 협조하여 여성폭력에 관한 일관성 있고 정확한 통계의 작성, 공표가 필요하다.
4) 여성인권과 여성폭력관련법률의 체계적 교육강화
성폭력특별법의 시행의 주체는 국민, 정부, 사법기관(경찰, 검찰, 법원), 상담소·보호시설·의료기관(이하 '피해자보호시설')이다. 그러므로 국민들의 여성폭력문제와 여성인권에 대한 인식, 여성폭력사실의 신고와 사법기관과 피해자보호시설의 활용,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폭력예방과 피해자보호의 책무, 사법기관의 인권보호관점에서의 사건처리, 피해자보호시설의 상담과 보호·치료가 상호 유기적으로 잘 연계되고 그 역할을 잘 해야 법의 실효성과 인권보장기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러한 법의 시행주체들에 대해 인권과 남녀평등의식, 여성폭력관련법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 법의 홍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5) 법의 시행평가와 폭력철폐운동을 위한 대중매체·시민단체의 연대활동
법의 실효성 있는 시행을 위해서는 민간시민단체가 주축이 되어 법의 시행에 관한 지속적인 감시와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정부와 사법기관에게 책무의 이행을 촉구하고, 입법기관에게 법의 개정을 지속적으로 촉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폭력철폐의 과제는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고 우리사회를 민주적이고 평등하게 만들기 위한 사회변혁과제이므로 여성들만이 논의하고 추진하는 운동이 아니라 시민단체와 남성들과 협력하여 추진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또한 언론기관과 협조하여 사회인식과 환경을 추진력 있게 개선하고 여성폭력철폐운동을 전 국가적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참 고 문 헌>
김엘림·윤덕경·박현미(1999), 「성폭력특별법 제정이후 성폭력범죄에 관한 판례연 구」,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대검찰청,「검찰연감」, 1998, 1999.
-------,「범죄분석」, 1995, 1996, 1997, 1998, 1999.
법무부(1998), 「여성에 대한 폭력의 실태 및 대책 - 여성과 성폭력·가정폭력」 세 미나 자료, 1998. 7.
-----(1999), 「가정폭력관련법 시행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세미나 자료).
법무연수원(1996), 「범죄백서」.
법원행정처, 「사법연감」, 1995, 1998.
이영란(1998), "폭력 등 여성피해자에 대한 법의 보호 -성폭력범죄와 가정폭력범죄를 중심으로-", 「한국법학50년-과거·현재·미래, 대한민국 건국 50주년 기념 제1회 한국법학자대회논문집」, 한국법학교수회.
이찬진(1999), “가정폭력방지법 적용의 현실태와 개선방안”, 「가정폭력방지법, 그 평가 및 대안」, 가정폭력방지법 시행 1주년 기념토론회 자료,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정현미외(1999), 「성폭력범죄 형사절차상 피해자보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가정법률상담소(1998), 「가정폭력특별법」토론회자료.
한국성폭력상담소(1999a), 「성폭력에 관한 서울 심포지엄 '99」(심포지엄 자료).
--------------(1999b) 「성폭력 피해자지원체계의 현황과 과제」(세미나자료).
--------------(1999c), 「성폭력사건 지원체계확립을 위한 경찰간담회자료」.
한국여성의전화연합(1999), 「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울아카데미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9), 「보호관찰제도의 회고와 전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개원 10주 년 및 보호관찰제도 시행 10주년 기념세미나자료,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인섭(1994), "성폭력특별법과 피해자보호 : 그 문제와 개선점", 「피해자학연구」, 제3호.
-----(1996), "성폭력의 법적 문제와 대책", 「인간발달연구」,제3권 제1호.
______(1998) , "가정폭력법의 법적 구조와 정책지향에 대한 검토", 「법학」, 제107호, 서울대법학연구소.
Anne D. Lopatto·James C. Neely(1995), Lawyer's Manual on Domestic Violence: Representing the Victim, Supreme Court of the State of New York.
Swedish Government Offices(1998), Violence against Women - Government Bill 1997/98:55, Fact Sheet from the Swedish Government Offices.
Australia Working Group of Commonwealth, State and Territory Officials(1997), Model Domestic Violence Laws, Discussion Paper, Domestic Violence Legislation Working Group,

키워드

,   폭력,   성폭행,   성범죄,   인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2.24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