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의 꿈의해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이트의 꿈의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 1장 꿈의 문제에 관한 학문적 문헌
1) 꿈과 각성 상태와의 관계
2) 꿈의 재료 - 꿈속에서의 기억
3) 꿈의 자극과 원천
4) 잠을 깬 후 꿈을 잊어버리는 이유

2. 제2장 꿈-해석의 방법: 꿈 사례 분석

3. 제3장 꿈은 소원 성취다

4. 제4장 - 꿈-왜곡

5. 제5장 꿈-재료와 꿈-출처
1) 아직도 해명하지 못한 꿈-기억의 세 가지 특성
2) 꿈에서 최근의 것과 사소한 것
3) 꿈-출처는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4) 꿈-출처로서 유아적인 것
5) 신체적 꿈-출처
6) 전형적인 꿈들

6. 제6장 꿈-작업
1) 압축 작업
2) 이동 작업
3) 꿈의 여러 표현법
4) 표현 가능성에 대한 고찰
5) 꿈에서의 상징적 표현
6) 여러 설명의 실례 ― 꿈에서의 계산과 대화
7) 황당무계한 꿈 ― 꿈에서의 지적 업적
8) 꿈속의 감정
9) 제2의 가공

7. 제7장 꿈-과정의 심리학
1) 꿈-망각
2) 퇴행
3) 소원 성취에 관하여

본문내용

지 새로운 것이 나오지 않는다. 우리가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은 무의식적인 것이다. 반면에 습관까지는 되지 않고 한두 번 했던 행동은 무의식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이와 비슷하게 꿈도 무의식 가운데 익숙하게 생각되었던 것들이 자연스럽게 꿈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모든 꿈을 소망 충족이라고 해석했는데 이 생각만으로도 프로이트가 훌륭한 의사이자 철학자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프로이트는 소망의 억압과 소망의 충족이라는 명제를 제시해서 우리의 내면 깊숙이 감춰져 있던 무의식의 세계를 세상 밖으로 끌어올렸다. 이로 인해서 꿈의 해석뿐만 아니라 인간 본성에 대한 새로운 각성이 시작된다. 의식의 시대는 가고 무의식의 시대가 온 것이다.
우리는 기쁜 일이 생기면 웃으면서 즐거워 하지만 슬픈 일이 생기면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이는 모두 마음의 상태를 드러내는 행동들이다. 그런데 꿈도 이와 마찬가지로 마음의 상태를 보여준다. 불안한 일이 있으면 그 불안한 심정이 꿈에 나타나고 기쁜 일이 있으면 그 기쁨이 드러난다. 꿈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소망을 드러내게 된다.
결국 우리는 평상시에 의식으로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무의식이 우리의 사고와 행동을 지배하는 비중이 훨씬 큰 것이다. 이는 마치 밤하늘의 빛나는 별들이 의식이고 배경이 되는 까만 밤하늘은 무의식이라고 비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꿈을 통해서 까만 밤하늘과도 같은 무의식으로 들어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꿈을 해석하면 무의식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수면 상태가 되면 우리의 무의식 세계를 통제하고 지배하는 의식의 세계가 느슨해져서 그 틈을 타서 무의식의 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무의식의 소망을 드러내는 꿈이야말로 우리가 평상시에 모르고 있던 무의식의 세계를 보여 준다는 것이다. 물론 꿈을 해석하기란 쉽지 않다. 꿈은 전의식의 단계에서 검열을 받기 때문이다. 이 검열 과정에서 부도덕하거나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것은 왜곡되고 억압된다. 그러므로 꿈은 무의식의 세계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보여 준다. 이를 파악하는 것이 꿈의 해석에서 중요하다고 프로이트는 생각하였다.
프로이트는 내가 생각하기에 열정과 솔직함, 진지함으로 스스로가 20세기의 최고의 심리학자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이 발표 직후에는 헛소리라고 좋지 않게 취급을 받았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이러한 노력은 인정받을 만한 것이었다. 시간에 흐름에 따라 이 책은 인정받기 시작되었고 20세기에 많은 분야에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프로이트의 노력이 없었다면 무의식적인 정신생활에 대해 전혀 알 수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프로이트를 본받을 점이 많다. 그리고 프로이트를 한마디로 부른다면 ‘무의식 속의 창시자’라고 붙이고 싶다. 창조한다는 것 자체가 힘든데 무의식으로 분석했다는 자체가 대단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도 나의 무의식속을 분석해본다면 수많은 것을 경험해 볼 수 있을 것이고 하루하루 꿈꾸기를 기다려 질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16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5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