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의 질에 대한 이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료의 질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의료의 질
1. 의료의 질(quality)의 정의
2. 의료의 질의 구성 요소
3. QA와 TQM
3.1 QA(Quality Assurance)
3.2 TQM/CQI
4. PI(Performance Improvement : 업무수행 향상)
5. 관련 용어의 정의

Ⅱ. 역사
1. 의학교육 개혁(medical education reform)
2. 병원 표준화(hospital standardization)와 병원 신임(hospital accreditation)
3. 관리의료(managed care)
3.1 개 념
3.2 관리의료의 기전 및 기능
3.3 관리의료가 의료서비스 시장에 미친 영향
4. 질 관리와 연관되는 미국의 법령들
5. 의료의 질 관리 이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data analysis, user feedback)의 기능이 통합되는 체계로 정의하였다.
5.4 Joseph M. Juran
Juran은 Deming과 같이 1950년대 일본 산업계의 질 관리 활동에 관여하였다. 그는 질 관리 프로그램이 포함해야 할 3요소를 주장하였다.
질 관리는 세 가지 밀접한 연관을 가진 기본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계획(planning), 관리(control), 개선(improvement)이다.
쥬란은 질 관리의 과정을 3단계로 나타내는 유용한 도표를 개발하였다(이 도표를 쥬란의 트리올로지(Juran Triology)라고도 한다. .
질에 대한 기획은 질을 개선하기 위한 과정을 기획하고 설계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의 주안점은 질과 관련된 문제가 야기되지 않도록 업무과정, 제품, 서비스를 설계하는 데 있다. 질에 대한 기획은 그림에 나타난 도표의 전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질 관리는 현재의 업무과정을 통해 성취 가능한 한도 내에서 질을 감독하고 관리하는 과정이다. 그림에서 그래프의 왼쪽부분은 현재의 업무과정에서의 질 관리현황을 나타내고 있으며, 오른쪽 부분은 질 개선 노력 후의 질 관리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질 개선은 현재의 업무과정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는 일반적으로 질을 개선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들을 통해 성취된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전통적인 부서의 편성이나 지휘체계를 바꾸는 것이다. 그림에서 꾸준히, 그리고 급격히 감소하는 부분은 질 개선 노력의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QUALITY PLANNING
QUALITY CONTROL (DURING OPERATIONS)
쥬란의 질 관리 트리올리지
5.5 Philip Crosby
1980년대 활동하였던 Crosby는 질 증진에 있어 통계적 방법보다는 조직과 경영이론을 강조하여 무결점(Zero Defect)의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다.
Crosby's Fourteen Steps
1. Management commintment
2. Quality improvement team
3. Quality measurement
4. Cost of quality evaluation
5. Quality awareness
6. Corrective action
7. Establish an adhoc committee for zero defects program
8. Supervisor training
9. Zero defects day
10. Goal setting
11. Error cause removal
12. Recognition of success
13. Quality councils
14. Do it over again
여기에는 무결점이란 완벽한 것이 아니라 표준과 규격에 맞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이러한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4-step을 제시하였는데 14-step과정의 수행이 조직의 문화와 태도에 있어서의 변화를 강조하였다.
5.6 Ishikawa
미국에서는 1980년대까지 질 관리의 개념을 무시한 반면 일본에서는 많은 개념과 방법, 기술이 개발되었다. 가장 유명한 사람은 Ishikawa로 그는 어떤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조직적이고도 압축된 형태로 제시하는데 사용되는 인과관계도(Cause and Effect Diagram)를 제시하였다.
어골도(fishbone diagram 혹은 Ishikwa diagram)라고 부르며, 우리말로는 ‘특성요인도’로 번역하기도 한다. 화살표의 끝에는 결과가 표시되고 선행하는 원인들이 화살의 가지로 붙게 된다.
대기 시간에 대한 원인효과 다이어그램
이러한 자료제시 방법의 창안자인 Ishikawa는 인과관계도의 장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이 그림을 만드는 것 자체가 교육적 효과가 있다. 토론을 가능하게 하고 그림을 만드는 과정에서 서로 배울 수 있게 한다.
한 집단이 불평과 부적절한 토론을 줄이고 문제를 집약할 수 있게 한다.
원인에 대한 적극적인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
자료를 수집하여야 하는 경우가 흔하다.
과정에 대한 이해의 수준을 나타낸다. 그림이 복잡할수록 작업자들이 과정에 대해 많이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종류의 문제에 대해서도 활용할 수 있다.
5.7 D*A*T
Joseph G. van Matre(1992)의 제시한 DAT 모델은 QI 철학에서 핵심적 개념과 중요한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한다.
자료(Data), 태도(Attitude), 도구(Tool)의 세 요소가 상호 작용을 하여 지속적 질 향상이 이루어진다는 것으로 그 개념은 겹쳐지는 세 개의 원으로 설명한다.
세 가지의 원이 동시에 맞물리는 점에서 지속적 질 관리운동이 발생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어느 한 요소라도 결핍되면 지속적 질 향상을 이룰 수 없는 것으로 설명한다. D*A*T 모델에서 *표시는 곱하기 표시로서 지속적 질 향상운동이 세 가지 요인의 곱하기라는 상징적 의미를 내포한다. 즉 한 가지 요소라도 빠지면 값이 0이 되기 때문에 지속적 질 향상운동은 의미가 없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한 가지 요인만 있거나 두 가지 요인만이 작용하면 지속적 질 향상운동은 실패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 질 향상운동이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세 가지 요인 중 빠진 요인을 찾아보면 원인을 알게 된다. 그러므로 질 향상운동에 성공하려면 지속적인 질 향상을 위한 태도를 갖추고 자료에 근거한 통계학적 도구를 사용하여 과학적인 의사결정을 통한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D*A*T Model
참고문헌
의료의 질에 대한 세계학회를 통해 본 의료의 질 향상 활동 동향
한국의료QA학회 ㆍ 김창엽
종합적 의료의 질 경영 이론(Total Quality Management)과 적용에 대한 고찰
신흥전문대학 ㆍ 김미숙
군 의료의 질 향상 방안 연구
국방대학원 ㆍ 장만생
의료의 질 향상활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전대 대학원 ㆍ 구인선
군병원 의료의 질 향상방안 연구
한남대 행정정책대학원 ㆍ 이성학
전산화를 통한 군 병원 의료의 질 관리방안 연구
대한군진의학협회 ㆍ 엄기성
당일수술과 입원수술에서의 의료의 질과 비용 비교
고려대 대학원 ㆍ 김경자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0.01.29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9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