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 전염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염 경로 : Mansonia와 Anopheles 모기에 의해서 주로 전파
다. 회선사상충증
- 열대, 아열대 아프리카의 저지대의 강유역과 중남미의 고산지대에서 유행
-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 감염 경로 : 먹파리(black fly, Simulium spp.)가 흡혈할 때 사상유충이 감염
라. 로아사상충증
-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의 늪지에 분포
-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 감염 경로 : 흡혈성 등에(Chrysops spp.)가 흡혈할 때 유충이 감염
(3) 임상 소견
가. 반크롭프트사상충증
- 급성 림프사상충증
· 사상충 발열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식욕부진, 구토 등의 증상이 3-7일간 있다가 저절로 소실됨
· 림프관염 및 림프선염
팔, 다리는 물론 정삭염, 부고환염 등 발증 범위가 넓음. 음낭 부종, 발적 등이 반복됨
· 남자에서는 음경, 음낭이 침범되어 유미뇨(chyluria)가 있을 수 있으며, 여자에서는 유방, 대음순
등에 병변이 나타날 수 있음
- 만성 림프사상충증
· 상피증 : 팔, 다리, 음낭의 림프부종이 비가역적으로 형성된 경우
나. 말레이사상충증
- 반크롭프트사상충 감염시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나 체간을 침범하는 경우가 없고 유미뇨의 배출도 없으며 전반적으로 증상이 가벼움
- 상피증 : 비가역적인 림프부종이 주로 팔과 다리에 국한되어 나타나 피부와 팔, 다리가 두꺼워짐
다. 회선사상충증
- 피부 증상 : 피하결절, 발진, 소양감, 피부노화, 피부탄력 소실로 인한 탈장 등
- 안과 증상 : 각막염, 맥락막염, 치료하지 않고 장기간 지속될 경우에는 실명
라. 로아사상충증
- 성충이 피하조직을 이행하면서 특징적인 calabar swelling(일시적 부종) 또는 fugitive swelling (도망 다니는 부종)이라고 불리는 피하 부종이 가장 특징적 주로 손등과 팔에 잘 나타나고 피하나 결막 아래로 충체가 기어가는 것을 환자가 발견할 수도 있음
(4) 검사실 소견
가. 반크롭프트 및 말레이사상충증
- 야간 혈액의 후층도말(thick smear) 염색에서 microfilaria를 확인하면 진단
- 면역학적 진단 : 보조적인 방법으로 혈액내 항원이나 항체를 검사
나. 회선사상충증
- 호산구 증가
- 피하결절 생검에서 성충이나 자충을 증명하면 진단
- 각막 세극등 검사에서 자충을 검출하여 진단
다. 로아사상충증
- 호산구 증가
- 결막이나 피하를 기어가는 충체를 확인하여 진단
- 낮에 채취한 혈액에서 자충을 확인하여 진단
(5) 치료 및 환자 격리
가. 반크롭프트 및 말레이 사상충증
- Diethylcarbamazine (DEC)
· 6mg/kg/day 용량으로 12일간 경구투여
·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죽이며 성충은 일부에만 효과가 있음
· 사상충발열과 림프관염의 재발을 방지하고 림프부종이나 초기 상피병에도 효과가 있음
- 상피병의 치료 : 취침시 하지를 올리는 방법, 압박붕대, 감염방지, 이뇨제의 사용 등으로 림프부종이나 상피병의 악화를 최대한 지연시킴
나. 회선사상충증
- Ivermectin 150mg/kg를 1회 투여하며, 유행지에서는 1-2년에 한 번씩 복용
- Diethylcarbamazine (DEC)은 자충을 너무 빨리 죽여 충체가 있는 각 부위의 염증을 급속히 악화시키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함
다. 로아사상충증
- 성충을 병변에서 발견하면 즉시 외과적으로 제거
- Diethylcarbamazine 6mg/kg를 3주간 투여하면 자충은 죽지만 성충에 대한 효과는 불확실함
자충의 농도가 높을 경우 대량으로 죽으면서 중추신경계 경색을 일으킬 수 있음
- Mebendazole 100-500mg을 매일 3회, 4-6주간 사용하면 성충은 죽지 않으나 자충은 서서히 죽어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적게 발생함
(6) 예방
-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5. 포충증 (Hydatidosis)
(1) 정 의
- Echinococcus granulosus(단방조충)의 유충에 의한 감염증
(2) 역학적 특성
- 목축업이 발달한 지역에서 목장을 중심으로 유행 :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북부 및 남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중동, 일본, 필리핀 등
- 국내에서 보고된 예중 대부분이 외국에서 감염되어 귀국한 수입 증례이나, 1예는 외국에 나간 경험이 없는 환자여서 국내에서도 감염 가능성이 있음
- 목동과 어린이에서 호발
- 종숙주 : 육식성 동물인 개, 이리, 늑대, 여우, 퓨마, 하이에나, 쟈칼 등
- 중간숙주 및 보유숙주 : 주로 초식동물로 원숭이, 비비, 코끼리, 영양, 사슴, 순록, 들소, 야생라마, 기린, 캥거루, 얼룩말, 양, 소, 돼지, 말, 염소, 낙타 등
- 감염 경로 : 주로 감염동물, 특히 개와의 접촉에 의해 충란이 경구적으로 섭취되어 감염되거나, 충란에 오염된 먼지, 채소, 가구 등이 감염원이 됨
(3) 임상 소견
- 낭종 형성 : 간(66%), 폐(22%), 신장, 뇌, 근육, 비장, 안구, 심장, 골수 등
- 발열, 황달, 복통, 무력증, 기침, 객혈, 호흡곤란, 흉통 등 낭종 형성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남
- 합병증 : 색전, 농양, 전이, 쇽(anaphylaxis)
(4) 검사실 소견
- 백혈구 증가(호산구 증가)
- 각종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낭종을 발견
- 수술후 낭종을 적출하여 낭액으로부터 원두절을 검출하여 확진
- 생검시 낭액이 주변 조직으로 유출되면 daughter cyst를 만들기도 하고 쇽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생검은 하지 말아야 함
(5) 치료 및 환자 격리
- 외과적으로 낭종을 적출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 방법
- Mebendazole이나 albendazole을 수개월간 사용하여 효과를 보았다는 보고도 있으나 입증되지 않았으며, 다만 낭종 적출후 복용하는 것은 추천되고 있음
(6) 예방
- 유행지역에서는 개와의 접촉을 피하고,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을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것이 최상의 예방책
  • 가격2,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