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토론][토론][토의][현장토론의 사례][현장토론의 효과]현장토론의 정의와 현장토론의 준비, 현장토론에서의 역할 및 현장토론의 사례로 본 현장토론의 효과 그리고 현장토론의 시사점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장토론][토론][토의][현장토론의 사례][현장토론의 효과]현장토론의 정의와 현장토론의 준비, 현장토론에서의 역할 및 현장토론의 사례로 본 현장토론의 효과 그리고 현장토론의 시사점에 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토론의 정의

Ⅲ. 현장토론의 정의

Ⅳ. 현장토론의 준비
1. 현장토론조 구성
2. 현장토론 진행자에 대한 교육 및 훈련
3. 현장토론 안건지 제작

Ⅴ. 현장토론에서의 역할
1. 참가자 전원의 역할
2. 사회자의 역할
3. 서기의 역할
4. 소위원의 역할

Ⅵ. 현장토론의 사례
1. 현장토론(분임토의) 진행방법
2. 현대정공 노조 현장토론 진행안

Ⅶ. 현장토론의 효과와 시사점
1. 장점
1) 보다 많은 정보와 대안
2) 의사결정의 이해와 수용
3) 보다 많은 관여
2. 단점
1) 동조압력
2) 개인의 지배
3) 많은 시간 소요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소집단 토의에 의한 집단 의사결정의 유효성은 일차적으로 소집단 토의에 의한 의사결정의 과정에서 볼 수 있는 ‘과정상의 이득‘ (process gains; Steiner, 1972) 또는 ’조립 보너스’ (assembly bonuses; Nisbitt & Ross, 1980)에 기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집단은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집단에 속하는 어떤 개인의 의사결정 보다도 매우 우수한 집단 의사결정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Hill, 1982).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소집단 토의에 의한 의사결정이 지니는 “과정상의 손실‘ (process losses; Steiner, 1972)을 지적하는 연구도 많이 이루어졌다. 그 대표적인 연구가 \'집단 극화’ (group polarization; Myers & Lamm, 1976)와 \'집단사고‘ (groupthink;. Janis, 1972)에 관한 것이었다.
현대 조직활동에서의 이러한 소집단 토의의 중요성은 수평적 조직 내지는 팀 제도의 활성화로 인하여 앞으로 더욱 더 높아질 전망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구성원간에 상호 작용하는 소집단에서의 업적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요인을 찾아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의사결정과 소집단 토의를 통한 의사결정의 업적 차이, 집단 규모 차이에 따른 소집단 토의의 업적 차이, 그리고 팀원들의 분임 토의시 밀폐된 공간에서 다른 집단을 의식하면서 합동으로 소집단 토의를 하는 것이 더 생산성을 올리는 것인지 아니면 개방된 장소에서 자유스럽게 개별적 소집단 토의를 하는 것이 더 생산성을 올리는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소집단 회의의 소프트웨어의 수립에 실무적 시사점을 던져줄 수 있다.
Ⅷ. 결론
현재의 조/반장 체제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조/반장 체제의 문제점 개선을 위해 기존의 관리중심적 현장 조직체계를 참여 중심적 현장 조직체계로 바꾸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조/반장 제도를 없애고 노동자들의 책임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하는 팀장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팀 체제는 장기적으로 비인간적인 테일러주의적 작업조직 원리를 팀 작업 중심의 인간적 작업조직 원리로 개편하는 것을 지향하는 제도이다.
이를 위해 현장의 작업조직에 대한 획기적인 권한위양이 이루어짐으로써 노동자들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높여 가야 한다. 예를 들어 작업방법, 직무할당, 업무수행 등에 대해 팀 단위 작업팀에 대해 과감한 권한위양이 필요하다. 이와 동시에 팀은 자율성에 상응하는 철저한 책임성을 공유해야 한다. 팀의 규모는 작업장의 현실적 조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결정되지만, 약 10명 내외 정도가 적합할 것이다. 현재의 조/반장 체제를 팀장 체제로 바꾸고자 할 기존의 직제상 조/반장층의 기득권을 존중해야 하며, 지위의 저하를 초래해서는 결코 안될 것이다. 따라서 조장은 자동적으로 4급 팀장이 될 수 있고, 반장은 3급 기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팀장의 선임은 팀의 자율성에 맡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참고문헌
경상남도초등특별활동교육연구회, 회의 및 토론 진행지도 자료, 삼흥인쇄, 2001
문화체육부, 바람직한 토론 문화, 서울 : 범심사, 1995
복거일, 보다 나은 토론 문화를 위하여, 교육월보, 1998
부산교육, 토론문화 정착을 위한 현장지도 방안, 2000
임학중학교, 학생토론활동의 이론과 실제, 학생토론활동 운영자료집, 2000
전영우, 토의토론과 회의, 서울 집문당, 1996
하병학, 토론과 설득을 위한 우리들의 논리, 철학과현실사, 2001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3.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