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의 생애와 업적, 진화론, 비글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윈의 생애와 업적, 진화론, 비글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다윈(1809~1882) 의 생애

II. 비글호 항해기
1. ‘비글호 항해기'
2. 항해기에 나타난 다윈의 성격과 태도
3. “비글”호 항해 이후
(1) 삶
(2) ‘비글호 항해기’가 영향을 준 학문 분야에서의 공헌과 비판
4. 비글호 항해기의 영향

III. 종의 기원
1. 탄생 배경
2. 『종의 기원(The origin of species)』내용

IV. 진화론
1. 머리말
2. 고대 및 중세 시대의 형이상학적 진화론
3. 근대의 과학적 진화론
4. 다윈의 진화론
(1) 자연변이
(2) 생존경쟁
(3) 자연선택 또는 적자생존
5. 진화론의 영향
6. 맺는말
7.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

V. 다위니즘

VI. 현대적 관점에서의 다위니즘에 대한 평가

VII. 참고 문헌

본문내용

에야 진화론이 다위니즘이란 공식 명칭 아래 구체화될 수 있었던 것이다. <종의 기원>은 광대하고 무미건조한 내용에도 불구하고, 또 다윈의 예상과도 달리 발간 당일 초판 1,250부가 매진되는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이러한 기현상은 출판사(史)의 또 하나의 미스터리라 할 만한 것으로, 단순히 당시 다윈의 과학자로서의 명성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것이다. 여하간 이 책은 그 후 1872년에 제6판이 나오기까지 각 판마다 내용이 일부 수정되면서도 도합 12,000부가 넘게 팔렸다. 이에 따라 진화론에 대한 비판의 소리도 점점 높아져 갔으나, 진화론은 널리 보급되어가기만 했다. 쿤의 논리를 빌어 말하자면, '위기’와 ‘과학 혁명기’에서 ‘정상 과학(normal science)' 정착기로의 과정이었던 것이다.
현대적 관점에서의 다위니즘에 대한 평가
다윈의 『종의 기원』은 많은 논쟁과 오해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상상력과 객관적 사유과정을 보여주는 탁월한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고전은 우리에게 종교와 과학, 자연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윈의 진화론은 아동발달에 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하고 있지 않지만, 반복의 원칙(principle of recapitulation)을 주장한 헤켈과 같은 그 당시의 생물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헤켈은 발달의 기본법칙으로 개체발생(ontogeny)은 계통발생(phylogeny)의 집약된 반복이라고 주장하였다.
오늘날 이 반복의 원칙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아동발달이 인간의 진화과정을 반복한다는 생각은 초기 아동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리하여 다윈의 저서는 과학적 아동 연구의 초석이 되었다.
진화론에 의하면, 오늘날 인간의 행동은 그 기원이 우리 종이 덜 진화된 형태로 있던 아주 오랜 옛날에 그러한 행동이 중요한 생존기제였던데에 기인한다. 진화론은 현재 동물행동학의 중심개념이 되고 있다.
다윈의 진화론은 완벽한 것이라고 할 수 없으며 후세의 비판을 받고 있으나 생물학은 물론이며 사회과학분야에서까지 그가 끼친 영향은 다윈의 이름을 불후의 것으로 하였다고 하겠다. 다윈의 진화론은 두 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하나는 진화의 증거를 굳힌 점과,
다른 하나는 진화의 요인으로서 자연도태설을 제창한 것이다.
그리고 후세에 있어서의 비판은 주로 자연도태설의 가부에 집중되고 있으며 진화의 증거를 굳히는 일은 이미 다윈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되었다고 하겠다.
세계에 현존하는 생물의 종류는 퍽 많으나 그것들을 분류하면 종류와 종류와의 연관이 명확해지고 생물전체가 계통적으로 배열되게 된다. 또한 화석연구로서 지질시대에 존재하였던 생물의 종류를 알 수 있겠으나 이것들은 모두 비교적 간단한 체제를 하고 있으며 새로운 시대에 이르러서 비로서 복잡한 구조를 가진 생물이 출현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새로운 지층으로부터 나오는 생물은 현존하는 생물의 종류와 가장 비슷하다. 도서의 생물은 그 섬이 근접하고 있는 대륙의 생물과 가장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동식물의 발생초기에는 성체와 거의 상치된 형태를 나타내 보이며 일반적으로 이 초기의 형태는 가장 하등인 생물과의 유사점이 많다.
대체로 이상과 같은 제반점에 입각하여 다윈은 진화의 증거를 들고 있으며 거기에 설명된 일로서 진화의 사실은 충분히 뒷받침되고 있다.
참고 문헌
강빈구(1982). 다윈 100주기 기념 진화론 심포지움 : 식물생리학자 다윈. 한국과학사학회. 4(1), p.137-140.
김영식(1999). 과학사신론. 다산출판사.
김영직(1986). 과학사학의 형성과 발전. 과학사개론, 다산출판사.
로버트 영(1989). 맬서스와 진화론자들: 생물학 이론과 사회이론의 공통된 맥락. (김영식 편; 근대사회와 과학). 창작과 비평사.
류승원(1991). 찰스 다윈의 비글호 항해기. 범양사 출판부.
박희주(1987). 다윈의 자연선택 이론에 대한 고찰 : 사육가(飼育家)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9(1), p.136-139.
안대희(2005). 창밖의 BT 스토리 : 역사속 BT스토리 ; 다윈의 "종의기원"의 탄생에 얽힌 이야기. 한국생물공학회. 12(1), p.48-50.
오진곤(1996). 과학사총설. 전파과학사.
웰스, 조나단(2001). 다윈 이후, 무엇이 이것을 대처할 것인가.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p.143-156.
이성규(1993). 目的論과 다윈의 進化論 = Teleology and Darwin's theory of evolution.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성규(2005). 다윈의 자연선택설과 유전자개념의 역사. 한국과학사학회. 27(1), p.33-57.
이인규(1982). 다윈 100주기 기념 진화론 심포지움 : 종의 개념의 변천. 한국과학사학회. 4(1), p.135-137.
장순근(1993). 찰스 다윈의 비글호 항해기. 전파과학사.
장순근(1999). "비글호 항해기”에 나타난 찰스 다윈의 지질학적 업적. 지질학회지. 35, 167-177.
장순슨(2000). 찰스 다윈의 “비글호 항해기”와 지구과학. 한국 지구과학회. 21(4), p.488-501.
장호상(1997). 브리테니커 백과사전. 웅진출판사.
정용재(1987). 다윈의 생애 및 업적과 사회적 영향. 대우학술총서, 53권, 민음사.
정용재(1988). 인간 다윈과 다위니즘. 서울: 민음사.
콜맨(1986). 다윈과 진화론: 배경 및 영향. (김영식 편). 과학사개론.
Darwin(1994). 종의 기원(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강태정 역). 서울: 신서적출판사.
Darwin(1997). 종의 기원. (이민재 역). 을유문화사.
Gould, Stephen Jay Ever since Darwin(1988). 생물학 사상의 현대적 해석. (홍동선, 홍욱희 역). 서울: 범양사
Miller, Jonathan Loon, Borin Van(1995). Darwin. 서울: 이두
Sproule, anna(1999). 세계의 과학자. 서울: 교원.
  • 가격3,8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0.04.1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8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