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탐구실험 붉은단풍잎으로시약만들기, 과학탐구실험 유리병을들어올리는물풍선, 과학탐구실험 산성비 만들기, 과학탐구실험 회오리 물병 장난감 만들기, 과학탐구실험 광합성 색소분리, 과학탐구연극 과학의 발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탐구실험 붉은단풍잎으로시약만들기, 과학탐구실험 유리병을들어올리는물풍선, 과학탐구실험 산성비 만들기, 과학탐구실험 회오리 물병 장난감 만들기, 과학탐구실험 광합성 색소분리, 과학탐구연극 과학의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과학탐구실험 붉은 단풍잎으로 시약 만들기
1. 학습 문제
2. 학습 자료
3. 학습 활동
1) 활동 내용
2) 활동 결과
3) 활동상의 유의점

Ⅱ. 과학탐구실험 유리병을 들어올리는 물풍선
1. 학습목표
2. 준비물
3. 활동내용
4. 실험방법
5. 원리

Ⅲ. 과학탐구실험 산성비 만들기
1. 학습 문제
2. 학습 자료
3. 학습 활동
1) 활동 내용
2) 활동 결과
3) 활동상의 유의점

Ⅳ. 과학탐구실험 회오리 물병 장난감 만들기
1. 학습목표
2. 준비물
3. 활동내용
4. 실험방법
5. 원리

Ⅴ. 과학탐구실험 광합성 색소분리
1. 목표
2. 준비물
3. 탐구 과정
4. 결과 정리 및 토의

Ⅵ. 과학탐구연극 과학의 발전
1. 목표
2. 준비물
3. 과정
1) 역할극
2) 역할극 대본
4. 결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렇습니다. 바로 그것입니다.
과학자 2 : 음, 이해가 갑니다.
과학자 3 : 슈탈씨, 플로지스톤은 모든 물질에 똑같이 들어있나요?
슈탈 : 그렇지 않습니다. 플로지스톤이 많이 들어 있는 물질도 있고 적게 들어있는 물질도 있지요. 많이 들어 있는 물질은 더 잘 탑니다. 기름은 아주 잘 타지 않습니까? 기름에는 플로지스톤이 많이 들어있습니다.(과학자들이 돌아가며 한 마디씩 한다)
과학자 3 : 맞는 말이군요.
과학자 4 : 나는 이해가 되지 않는군요.
과학자 5 : 금속을 태워 플로지스톤이 들어있는지 알아보아야겠어요.(과학자들의 웅성거림 속에 도우미가 등장한다. 과학자들은 조용해진다)
도우미 : 그 이후, 과학자들은 100여년 동안 플로지스톤 이론을 믿었습니다. 연소에 관한 과학 이론은 플로지스톤이 매우 우세했거든요.(슈탈과 도우미는 퇴장한다)
제 2 막
(라운드걸이 “100년 후”라는 팻말을 들고 장내를 한바퀴 돌고 나간 후, 도우미가 등장한다)
도우미 : 그 후 많은 세월이 흘러 1700년대가 되었습니다. 또 다시 과학자들의 회의가 열렸습니다.(뒤에 앉은 과학자들을 가리킨 후 퇴장한다)
제 2차 회의장 : (라브와지에와 프리스톨리가 등장하여 자리에 앉는다)
과학자 1 : (일어서서)여러분, 조용히 해 주십시오.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은 과학자 라브와지에씨의 연구 발표가 있습니다. 자, 라브와지에씨 말씀하시죠.(앉는다)
라브와지에 : (일어서서)저는 연소에 대해 실험을 하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우리는 그 동안 잘못된 이론을 믿어 왔습니다. 물질을 태우면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산소가 들어와 물질과 결합합니다. 저는 이렇게 구멍이 없이 꽉 막힌 유리기구를 사용했습니다.(실험도구가 그려진 그림을 보여준다) 이 속에 물질을 넣기 전에 유리기구의 무게를 저울로 쟀습니다. 물질의 무게는 연소 후에 늘어났습니다. 그리고 유리 기구 안에 있던 공기의 무게가 줄어들었습니다. 여러분, 우리는 드디어 연소가 무엇인지 알게 된 것입니다.
과학자 4 : (손을 들어 질문한다) 구멍이 없는 유리 기구를 어떻게 만드는가요?
라브와지에 : 금속을 넣은 후 유리 기구의 입구를 불로 녹여 막아버린 것입니다.
과학자 5 : 물질이 공기 속의 산소와 결합하는 현상이 바로 연소라는 거군요.
라브와지에 : 예 그렇습니다.
과학자 3 : 실험으로 확인했다니 믿을 만 하군요.
프리스톨리 : 하지만 실험에도 오차라는 것이 있지 않습니까? 라브와지에씨가 실수를 했을 수도 있고요.
과학자 1 : 하하하, 당신은 갑자기 다른 이론을 믿기가 힘든 모양이군요.
프리스톨리 : 그러나, 나는 우리가 지금까지 믿었던 플로지스톤 이론이 맞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연소 후 무게가 늘어났다는 것은 다르게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플로지스톤은 틀림없이 있을 것입니다.
라브와지에 : 그렇지 않습니다.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간다면 무게는 줄어야 하는데, 실제로 무게는 늘어났습니다. 플로지스톤이라는 것은 없습니다.(과학자들의 웅성거림 속에 도우미가 등장하면 과학자들은 조용해진다)
도우미 : 자, 이제 여러분의 선택이 남았습니다. 여러분이 과학자라면 어떤 과학 이론을 믿으시겠습니까? (잠시 후) 아! 그 이론을 믿으시겠다고요! 이유가 뭐죠? (잠시 후) 그 이후 과학자들은 어떤 이론을 진실로 받아들였는지 궁금하시죠? 과학자들은 어떤 이론을 받아들여야 할 지 고민에 빠졌습니다. 많은 논쟁이 있었습니다. 또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요. 결국 사람들은 라브와지에의 연소설을 받아들여 지금까지 믿어 왔습니다. 라브와지에의 이론이 이긴 것이지요?(심각한 얼굴로) 그렇다면 여러분,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고개를 갸우뚱하며) 미래에 사는 사람들도 라브와지에의 이론을 진실이라고 생각할까요? (막이 내린다)
4. 결과
1) 우리 친구들이 공연한 역할극을 감상하고 과학 지식과 관찰의 변화 가능성에 대하여 토의해 보자.
(1) 다른 과학 이론을 믿는 두 과학자의 관찰 결과는 어떠한가?
과학자가 믿는 과학 이론이 다르면 과학자가 관찰한 결과도 다르다. 이를 관찰의 이론의존성이라고 하며 우리가 믿는 대로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2) 우리가 배운 지식은 200년 후에도 같을 것인가?
200년 후면 과학이 더 발전하여 지금과는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과학이 계속 변화하고 발전하는 학문임을 의미한다.
2) 토의가 끝난 후 역할극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을 발표하고 정리하자.
(1) 똑같은 금속이 타는 현상을 보고 슈탈과 라브와지에 두 과학자는 어떻게 생각했는가?
슈탈은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가 질량이 가벼워지는 것으로, 그리고 라브와지에는 산소와 결합하여 질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서로 다르게 생각했다.
(2) 연소에 관한 과학적 사실이 100년 사이에 어떻게 변화되었나?
플로지스톤설에서 라브와지에의 연소설로 그 이론이 변화되었다.
(3) 플로지스톤설이 믿어졌던 시대의 프리스톨리와 라브와지에는 사회적으로 어떤 지위에 있던 과학자인가?
프리스톨리는 권위 있는 유명 과학자였고 라브와지에는 이름 없는 무명의 과학자
(4) 프리스톨리는 플로지스톤설을 어떤 방법으로 연구했을까?
귀납적인 탐구방법. 즉 물질이 연소하는 경우를 많이 관찰하였는데 그 결과 모두 질량이 가벼워졌다. 그러므로 이를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가서 생긴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5) 라브와지에는 연소설을 어떤 방법으로 연구했는가?
연역적 탐구 방법.
문제인식 : 밀폐된 유리관 속에서 연소 실험을 한 결과 연소 후 질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가설 설정 : 물질이 연소하면 산소와 결합하여 그 질량이 증가한다.
실험 설계 및 수행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참고문헌
◈ 광주교육대학교 광주부설초등학교, 각 교과별 학습 방법의 학습실제, 문현각, 1991
◈ 변영계,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학지사
◈ 윤광보,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이해, 2003
◈ 윤기옥 외 2인, 수업모형 Joyce B & Weil, M. Model of Teaching, 형설출판사, 1987
◈ 조희형·박승재, 과학 교수-학습, 교육과학사
◈ 하병권, 과학과교육, 형설출판사, 1997
◈ 한방교·윤길근, 교육방법론, 동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87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