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교육과정과 내용체계표,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컴퓨터활용,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개연적 추론학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교육과정과 내용체계표,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컴퓨터활용,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개연적 추론학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수학교육(수학과)의 성격

Ⅲ.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교육과정

Ⅳ.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내용체계표

Ⅴ.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운영
1. 차상급 단계의 진급을 위한 자격 기준
2. 차상급 단계의 진급 여부를 결정
3. 단계형 교육과정의 운영에서 고려할 점

Ⅵ.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컴퓨터활용

Ⅶ. 중학교(중등) 수학교육(수학과)의 개연적 추론학습
1. 이론적 배경
1) 논증적 추론과 개연적 추론
2) 귀납적 추론
3) 유추
4) 시각적 추론
2. 연구문제
3. 연구 결과 및 해석
1) 연구 문제 1
2) 연구 문제 2, 3, 4, 5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할 활동지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교과서 분석 결과를 이용하기 위함이었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중학교 수학 7-가, 7-나, 8-가, 8-나, 9-가, 9-나 교과서를 귀납적 일반화, 특수화, 유추, 시각적 추론의 개연적 추론의 관점에서 분석해 본 결과, 비록 일반화나 특수화, 유추, 시각적 추론 등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추론 과정들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추론 방식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같이 작용하기도 하고, 같은 내용이라 하더라도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른 개연적 추론이 적용된다고 할 수도 있었지만, 중학교 수학에서도 개연적 추론에 관한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은 분명히 알 수 있었다.
2) 연구 문제 2, 3, 4, 5
연구 문제 2의 실험 결과 개연적 추론 학습-지도가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 문제 3의 결과 개연적 추론 학습-지도를 실시한 실험그룹과 문제풀이 위주의 설명식 학습-지도를 실시한 통제그룹간에 개연적 추론 능력인 귀납, 유추, 공간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그룹의 점수가 더 높게 나왔다. 그러나 문장제의 시각적 해결 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귀납, 유추, 공간적 추론 능력에서는 상위그룹간, 하위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문장제의 시각적 해결 능력에서는 상위그룹간, 하위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연구 결과는 개연적 추론 학습-지도가 학생들의 개연적 추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문제 4는 개연적 추론 학습-지도를 받은 실험그룹 학생들과 그렇지 못한 통제그룹 학생들 간에 수학적 추론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으리라는 가정 하에서 진행되었으나, 연구 결과 수학적 추론에 대한 태도 중 연역, 유추, 시각적 추론에 관한 태도에서만 실험그룹과 통제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신념, 학업 목적의식, 귀납에 관한 태도에서는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문제 5의 결과 수학적 추론 선호도에 있어 개연적 추론 학습-지도를 받은 실험그룹 학생들은 귀납과 연역을 유사하게 선호하였으나, 통제그룹 학생들은 연역을 주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학적 추론에 대한 태도에서 실험그룹 학생들이 통제그룹 학생들보다 연역적 추론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더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던 연구 문제 4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실험그룹 학생들이 수학적 추론에 대한 태도에서 통제그룹보다 연역이 중요하고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태도를 갖고는 있었으나, 실제 상황에서 어떤 추론을 선호하는지에 관한 수학적 추론 선호도에 있어서는 귀납과 연역 추론 둘 다를 유사하게 선호하는 응답을 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Ⅷ. 결론 및 제언
우리 학생들은 학교와 가정에서 수학을 공부하는데 제일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는데도 불구하고 수학을 제일 싫어하고 어려워한다. 다른 교과에 비해 수학에서 제일 융통성 없고 고정된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다. 배운 것을 다른 상황에 활용하지도 못하고, 이전에 풀어 보지 못한 문제를 새로운 방법을 구안해서 풀지도 못한다. 수학은 재미있게 배울 수 없는 것인가?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적합한 내용을 흥미 있게 배우면서 창조적인 수학적 능력을 키울 수는 없는 것인가?
수많은 정보가 창출되는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한 가지 정보를 알고 사용하는 능력보다 여러 분야의 다양한 정보를 서로 연결하고 스스로 정보를 창출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수학에서도 이러한 능력을 자극하고 키워 줄 수 있어야 한다. 즉, 한 영역에서의 암기된 전략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보다는 여러 영역의 정보를 서로 연결하여 전략을 창출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어야 한다. 현재의 학교 수학은 이러한 능력을 신장시켜 주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고차적인 사고력을 키워주는 다양한 평가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ⅰ. 교육부(199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ⅱ. 교육부(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서울 현대문예사
ⅲ. 교육부(1999),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부
ⅳ. 교육부(1997), 수학과 교육 과정, 서울 교육부
ⅴ. 서울교육대학교 1종 도서편찬위원회(2000),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방안 연구, 서울 교육부
ⅵ. 우정호(1998),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