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중등)의 교육목표, 중학교(중등)의 시간배당, 중학교(중등)의 제7차교육과정, 중학교(중등)의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 중학교(중등) 심화보충형수준별교육과정, 중학교(중등) 재량활동, 중학교(중등) 특별활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학교(중등)의 교육목표, 중학교(중등)의 시간배당, 중학교(중등)의 제7차교육과정, 중학교(중등)의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 중학교(중등) 심화보충형수준별교육과정, 중학교(중등) 재량활동, 중학교(중등) 특별활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중학교(중등)의 교육목표

Ⅲ. 중학교(중등)의 시간배당

Ⅳ. 중학교(중등)의 제7차교육과정
1.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구분되어 있다
2. 수준별 교육 과정을 도입하였다
3. 재량활동을 신설하거나 확대하였다
4. 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 체제를 도입하였다
5. 교육기관 및 교육행정 기관의 교육과정 관련 역할을 구분하고 명확히 함으로써 교육과정 분권화를 강화하였다
6.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을 높였다

Ⅴ. 중학교(중등)의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
1. 성격
2. 목표
3. 특별 보충 과정
1) 기본 방침
2) 특별보충과정 대상자 선정
3) 평가

Ⅵ. 중학교(중등)의 심화보충형수준별교육과정

Ⅶ. 중학교(중등)의 재량활동
1. 국가수준 재량활동 편성․운영지침
2.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재량활동도입의 의미

Ⅷ. 중학교(중등)의 특별활동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그러나 줄어든 수업 시수로 인해 요구되는 교과 활동에 대한 심화나 보충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보다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주었다.
교과 활동의 심화보충을 위해서는 학교급이나 학년에 따라 다양한 수준에서 학기별, 학년별로 교과를 설정하거나, 학교의 여건에 따라 학생이 자기 수준에 맞추어 심화나 보충하고자 하는 과목을 학기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2.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재량활동도입의 의미
제 7차 교육과정의 가장 중점 개정사항이며 중학교에 처음으로 도입된 재량 활동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첫째, 재량 활동은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흥미적성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재량 활동은 학교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셋째, 재량 활동은 학교의 독특한 문화 풍토에 따른 특색 있는 학교로 바꾸어 나가기 위한 것이다.
넷째, 재량 활동은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섯째, 교육 내용에 대한 학생의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여섯째, 재량 활동은 학생의 직접적인 체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곱째, 재량 활동은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기 위한 것이다.
여덟째, 재량 활동은 교과서 중심의 교육 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다.
Ⅷ. 중학교(중등)의 특별활동
특별 활동에 배당된 시간 수는 학생의 요구와 지역 및 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 재량으로 배정하되, 학생들이 모든 영역의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두 가지 이상의 영역을 통합하여 시간을 배정할 수 있다.
행사 활동과 시간 수가 배정되지 않은 영역 및 추가 시간이 필요한 영역의 활동은 학교의 실정에 따라 별도의 시간을 확보하여 운영한다.
특별 활동은 학교의 필요에 따라 시간 배당 기준보다 더 많은 시간을 확보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시간 운영을 통합하거나 분할하여 융통성 있게 할 수 있다.
각 학교에서 융통성 있게 시행되는 특별 활동은 관련 법령, 특별 활동의 목표, 학생의 발달 단계 등에 부합되는 것이어야 한다.
특별 활동은 학생들의 흥미와 소질, 지역 사회의 실정을 고려하여 연간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하되, 가능한 한 지도 교사와 학생이 함께 참여하여 활동 계획을 수립하고, 역할을 분담하여 자율적으로 실천하며, 사후 반성과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운영한다.
각 학교별로 특색 있는 중점 영역을 설정하여 육성함으로써 학교의 전통을 가꾸어 나가도록 한다.
지역 사회의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계획적으로 활용하고, 학생의 개성, 취미, 흥미, 특기 등이 충분히 신장될 수 있도록 배려한다.
공동체 의식과 민주 시민의 자질이 형성될 수 있는 자율적인 집단 활동이 되도록 한다.
학생의 적성과 능력에 적합한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담의 기회를 마련한다.
학교의 여건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특별 활동의 결과를 발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부여하고, 이를 통하여 활동 내용을 반성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계기로 삼는다.
Ⅸ. 결론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을 기본 방향으로 하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이나 학교 실정에 알맞은 학교 교육과정이 다양하고 특색 있게 운영되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의 교육과정에 대한 사고와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첫째, 교과서 중심, 수업자 중심의 학교 교육 체제가 교육과정 중심, 학습자 중심의 교육 체제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둘째, 학교의 경영 책임자인 교장과 수업 실천자인 교사가 교육 내용과 방법의 주인이 되고 전문가의 위치를 확보하게 됨을 의미한다.
셋째, 지역 및 학교의 특성, 자율성, 창의성을 충분히 살려서 다양하고 개성 있는 교육을 실현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결국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주어지는 교육과정’의 틀에 안주해 있기보다는 교육 실천이 이루어지는 학교 현장에서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의 흐름으로 교육을 이해해 나가는 인식과 구조의 전환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경기도 교육청 - 중등 열린 교육의 실제, 1998
교육부 - 중학교 교육 과정, 1995
교육부 - 제7차 교육과정 연수자료, 1998
교육인적자원부 -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1999
손병길 외 - 초·중등정보 교육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999
조영달 - 한국 중등학교 교실수업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2001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1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