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엔진 분해 순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동차 엔진 분해 순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엔진의 분류

(1) 연료에 따른 분류
1) 휘발유 엔진
2) LPG 엔진
3) 직분사 휘발유 엔진
4) 디젤 엔진
5) 가스터빈
6) 증기기관
7) 직접연료분사/커먼레일
8) 다중시점 분사 전자엔진

(2) 실린더 레이아웃에 따라

1) 직렬
2) V형
3) 수평대향
4) 로터리 엔진

(3) 사이클(행정)에 따라

1) 2사이클 엔진
2) 4사이클 엔진

(4) 냉각방식에 따라

1) 수랭식
2) 공랭식

(5) 밸브 구조에 따라

1) SV
2) OHV
3) OHC
4) DOHC

2. 가솔린엔진 구조

(1) 4행정 엔진
(2) 흡입행정 (흡기)
(3) 압축행정
(4) 폭발행정 (팽창)
(5) 배기행정

3. 엔진 내부 구성품

(1) 실린더 헤드 (Cylinder head)
(2) 실린더 블록 (Cylinder block)
(3) 피스톤(Piston)
(4) 크랭크 축(Crank Shaft)
(5) 커넥팅 로드(Connecting Load)
(6) 전체 구조

4. 자동차 엔진 분해 순서
5. 자동차 엔진 조립 순서

본문내용

Shaft)
1) 기능
크랭크 축(Crank shaft)은 크랭크 케이스 안에 설치된 메인 베어링과 캡에 지지되어 각 실린더의동력행정에서 발생한 피스톤의 직선운동을 커넥팅 로드를 통해 회전운동으로 바꾸고, 반대로 다른행정에서는 피스톤에 운동을 가해 연속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구조
(5) 커넥팅 로드(Connecting Load)
1) 기능
커넥팅 로드는 피스톤과 크랭크축을 연결하여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크랭크축의 회전운전으로바꾸어 준다..피스톤 핀에 연결되는 부분을 소단부(small end)라 하고 크랭크 축에 연결되는 부분을대단부(big end)라고 하며, 축 부분은 I형 단면으로 되고 축 부분의 대단부에서 소단부까지관통하는 오일구멍이 뚫어져서 소단부의 윤활과 피스톤의 냉각을 돕도록 한 것도 있다.. 커넥팅 로드는 운전중 압축력, 인장력 및 굽힘 등의 하중을 반복하여 받기 때문에 이것에 충분히 견딜 강도와 강성이 있어야 한다. 대단부와 소단부의 축심 사이의 거리를 커넥팅로드의 길이라 하고 이 길이는 일반적으로 피스톤 행정의 1.5~2.3배 정도된다.
2) 재질
니켈 크롬강, 크롬 몰리브덴강 등의 특수강이 재료로 사용되며 형타단조(drop forging)에 의해 만들어진다.. 커넥팅 로드 베어링에는 큰쪽에 직접 배빗메탈(babbitt metal)을 주입한 것, 또 강제의 쉘(shell)에 배빗메탈이나 켈밋 합금(kelmet alloy)을 녹여 붙인 것이 사용된다.
3) 구조
(6) 전체 구조
4. 자동차 엔진 분해 순서
1) 전기 장치 탈거
2) 발전기 고정볼트를 풀고 벨트 장력 제거
3) 펜 벨트 탈거
4) 알토네이터 탈거
5) 배전기 탈거
6) 배전기 캡 및 고압케이블 탈거
7) 고정볼트를 푼 뒤 고압케이블 제거
8) 배전기 탈거
9) 점화 코일 탈거
10) 시동 전동기 탈거
11) 오일 빼기
12) 드레인 플러그를 풀어 오일 방출
13) 오일필터체인 이용하여 오일필터 탈거
14) 기화기 탈거
15) 흡기 다기관 탈거
16) 연료 펌프 탈거
17) 푸쉬 로드 탈거
18) 배기 다기관 탈거
19) 물펌프 풀리 탈거
20) 크랭크축 풀리 탈거
21) 어퍼 커버 탈거
22) 로워 커버 탈거
23) 로커암 커버 탈거
24) 리어커버 탈거
25) 타이밍 벨트 탈거
26) 텐셔너베어링 장력 제거
27) 텐셔너베어링 탈거
28) 물펌프 탈거
29) 엔진지지대 탈거
30) 로커암어셈블리 탈거
31) 캠축 스프로킷 탈거
32) 캠축 탈거
33) 크랭크축 스프로킷 탈거
34) 실린더 헤드 탈거 (밖에서 안으로, 대각선으로 번호에 유의하여 작업)
35) 실린더 헤드 게스킷 탈거
36) 오일팬 탈거
37) 오일 스트레이너 탈거
38) 프론트 게이스 탈거
39) 커넥팅로드 베어링 캡 탈거 (밖에서 안으로, 대각선으로 실린더 번호에 유의하여 작업)
40) 피스톤 탈거 (실린더 번호에 유의하여 작업)
41) 플라이 휠 탈거
42) 오일실 리테이너 탈거
43) 메인 저널 베어링 캡 탈거 (밖에서 안으로, 대각선으로 번호에 유의하여 작업)
44) 크랭크 축 탈거
5. 자동차 엔진 조립 순서
1) 크랭크 축 조립 (저널베어링의 방향에 유의, 베어링의 위치에 유의)
2) 메인 저널캡 장착 (방향과 순서에 유의, 안에서 밖으로 조립)
(토크렌치 이용 규정토크로 잠금, 메인저널 캡 규정값 4.9-5.3kg.m)
3) 오일 리테이너 장착
4) 플라이 휠 장착
5) 피스톤 장착 (방향과 순서에 유의, 피스톤 링 콤프레셔를 이용, 실린더 블록에 장착)
(BDC 피스톤을 밀어넣음), (토크렌치로 규정토크로 잠금, 커넥팅로드 캡 규정값 4.5kg.m)
(피스톤 번호에 맞춰 캡 장착, 베어링 위치에 유의, 안에서 밖으로 조립)
6) 프론트케이스 장착
7) 오일 스트레이너 장착
8) 오일 팬 장착
9) 드레인 플러그 장착
10) 오일 필터 장착
11) 실린더 헤드 가스킷 장착
12) 실린더 헤드 장착 (안에서 밖으로, 대각선으로)
(토크렌치 이용, 규정토크로 잠금, 헤드볼트 조임토크7-7.5kg.m)
13) 캠축 장착
14) 로커암 어셈블리 장착 (안에서 밖으로 조립)
15) 캠축 스프로킷 장착 (다우얼 핀에 맞춤)
16) 크랭크축 스프로킷 장착
17) 엔진 지지대 장착
18) 물펌프 장착
19) 타이밍 벨트 텐셔너 장착
20) 장력 스프링 장착
21) 타이밍 벨트 장착
22) 텐셔너 베어링의 장력 제거
23) 캠축 스프로킷 마크 일치
24) 크랭크축 스프로킷 마크 일치 (벨트 방향에 유의하여 장착)
25) 고정볼트 풀어 장력 조정
26) 로워커버 장착
27) 크랭크축 풀리 장착
28) 물펌프 풀리 장착
29) 어퍼 커버 장착
30) 리어커버 장착
31) 로커암 커버 장착
32) 배기다기관 장착
33) 푸쉬로드 장착
34) 연료펌프 장착
35) 흡기다기관 장착
36) PCV 홋흐 장착
37) 기화기 장착
38) 엔진 오일 주입
39) 전기장치 장착
40) 시동전동기 장착
41) 점화 코일 장착
42) 배전기 장착 (표시를 일치시킴)
43) 배전기 캡 장착 (각 단자를 연결)
44) 발전기 조립
45) 팬 벨트 장착
6. 자동차 엔진 분해조립시 주의사항
1. 분해 조립작업을 반드시 엔진의 정면에 서서 하도록 한다.
2. 분해된 순서로 정리 정돈을 한다
부품은 분해한 순서로 정리하였다가 조립하도록 한다.
3. 접촉면이 바닥으로 향하지 않도록 한다.
실린더 헤드의 접촉면이 바닥에 닿지 않게 한다.
4. 알맞은 공구를 선택하고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5. 작동상태, 오염상태, 소손상태등을 점검한다.
6. 개스킷, 오일실케이스(크랭크축 리테이너), 오일팬은 모두 신품으로 교환한다.
7. 볼트및 너트는 반드시 토크렌지로 조인다.
볼트 및 너트를 풀 때는 바깥쪽에서 중앙을 향하여, 조일 때에는 중앙에서 바깥을
향하도록 한다.
볼트 머리 및 너트의 지름과 공구의 크기를 잘 숙지한다.
8. 크랭크축 메인저널 베어링캡의 방향은 화살표가 프런트쪽을 향하도록 한다.
9. 부품과 볼트, 너트가 서로 바뀌지 않도록 주의한다.
푼 볼트 및 너트는 빼내지 말고 끼워진 채로 부품을 탈착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4.24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