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기업조직-DHL사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래의 기업조직-DHL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문 - 조직의 변화

제 2 장 본문
제 1 절 환경변화의 추세
1. 현대사회 기업환경 변화의 성격
2. 현대사회 기업환경 변화의 특징
제 2 절 조직의 변화
1. 현대의 조직변화
2. 새로운 조직 유형과 특징
제 3 절 네트워크 조직과 사례
1. 네트워크 조직
2. 초우량 기업의 네트워크
조직-DHL

제 3 장 결문

본문내용

로그램을 통해 버튼 하나로 다양한 DHL 발송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어, DHL 서비스를 자주 이용하는 고객들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DHL코리아측은 설명했다.
DHL은 또 웹 기반의 운송 관리 솔루션인 `DHL 웹 쉬핑(Web Shipping)`을 운영하고 있다. DHL 웹쉬핑은 온라인 전용 통합 발송관리 프로그램으로, DHL 홈페이지(www.dhl.co.kr) 또는 Web 쉬핑 홈페이지(www.dhlwebshipping.dhl.com)에 접속해 온라인상으로 항공 운송장 출력 및 예약, 주소록 관리, 보고서 출력, 배달결과 조회 등 모든 발송 관련 작업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온라인 상으로 모든 발송 관련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 없이 언제ㆍ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DHL 서버에 고객이 입력한 수취인 주소, DHL 항공운송장 기록 등 모든 내용이 저장되어 고객이 따로 데이터 관리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준다. 이에 따라 고객은 DHL홈페이지ㆍ이메일ㆍ전화 등을 통해 어디서나 발송물의 운송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DHL은 자사 홈페이지(www.dhl.co.kr)에서 항공운송장 번호(DHL Airway Bill No.)를 입력하면 발송물이 배달되는 즉시 휴대전화, 또는 이메일 등으로 배달 결과(배달 일시 및 수취인 성명)를 알려주는 실시간 배달 정보 문자 시스템인 m트랙(m―Track)을 구축했다.
또 이메일을 통한 추적 조회 서비스인 e트랙(e―Track)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이는 고객이 직접 이메일을 이용해 발송물의 항공운송장 번호를 입력해 전송하면 DHL 전용 전산망(DHLNET)과 연결되어 단 몇 초 내에 발송물의 운송과정, 배달결과 등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배달 정보 조회 시스템이다.
DHL은 또 ATS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이는 DHL 고객번호를 가지고 있는 E클럽 회원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발송물에 대해 일일이 항공운송장 번호를 기입할 필요 없이 자신의 고객번호를 DHL 홈페이지에 입력함으로 발송물에 대한 배달 현황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다. 따라서 많은 양의 발송물을 취급하는 고객의 경우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수입화물에 대한 배달현황 조회도 가능하다. 또한 항공운송장을 분실한 경우에도 고객번호를 이용해 발송물의 현황을 조회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밖에 전화(02―710―8282)로 항공운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발송물 조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자동음성정보 서비스인 IVRS 서비스도 제공중이다.
DHL은 이밖에 은행에서 발송하는 수출 서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다중 추적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발송물 추적 조회 서비스`(BRS; Bank Reference System)도 시행하고 있다. BRS는 은행에서 발송하는 수출 서류 추적ㆍ조회 서비스로, 인터넷에 항공운송장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은행에서 발행하는 서류의 조회(Reference) 번호만 입력하면 발송된 모든 서류의 발송과정을 추적ㆍ조회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은행에서 수출 서류를 발송할 때는 개인 고객들에게 일일이 고객번호나 운송장 번호를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이 BRS 시스템이 개발되기 전까지 고객들이 서류 발송과정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은행측에 다시 문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BRS 시스템의 개발로 고객들은 직접 인터넷에서 발송과정을 추적ㆍ조회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DHL은 첨단 바코드 스캐너를 업무현장에 도입해 발송물의 픽업에서부터 배달까지 모든 운송과정을 관리하는 화물추적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로 인해 화물 픽업 요청 및 고객의 특별 요청사항 등을 업무직원에게 문자메시지로 전할 수 있으며, 현장의 업무직원은 픽업 여부 및 특이사항을 DHL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통보할 수 있어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12만개 도시 연결…작년 31조원 총수익
DHL은 지난 1969년 세계 최초로 미국에서부터 특송 업무를 시작했으며 2003년 4월 독일 우정국인 `도이체 포스트 월드넷(Deutsche Post Worldwide Net)`에 인수됐다.
DHL은 미국의 법률가 출신인 `Dalsey` `Hillblom` `Lynn` 세 사람의 이름 첫 글자를 따서 설립됐으며, 지난 1969년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와 하와이 간 항공특급 송배달 업무를 최초로 시작했다.
이 회사는 현재 전세계 220여 개국 12만여 도시를 연결하는 전 세계 최대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16만여 명의 최우수 정예 인력, 최고의 시설 및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신속ㆍ정확ㆍ안전을 모토로 발송인의 책상에서 수취인의 책상까지(Desk to Desk) 서류 및 소화물, 중대형 화물을 특급 배달하는 국제 항공특급 송ㆍ배달 서비스를 전문으로 한다.
DHL은 지난 해 약 220억 유로(약 31조원)의 총수익을 기록했다. 전세계 특송 및 종합 물류산업의 마켓리더로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혁신적인 물류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이체포스트 월드넷은 지난해 DHL 월드와이드 익스프레스, 유럽 육상 운송의 선두 기업인 유로 익스프레스, 세계 항공, 해운 운송업계 1위인 단자스(Danzas)를 인수해 DHL이라는 단일브랜드로 통합했다. 이로써 DHL은 국제 특송ㆍ항공ㆍ해운ㆍ육상 운송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참고 사이트 & 서적
www.dhl.com
www.dhl.co.kr
www.daum.net
www. naver.com
각종 신문 관련 사이트
『미래의 조직』 피터드러커
『새 조직 행태론』 김호섭 외 5인
『조직론』 박우순
『경영 전략』 장세진
= 목 차 =
제 1 장 서문 - 조직의 변화
제 2 장 본문
제 1 절 환경변화의 추세
1. 현대사회 기업환경 변화의 성격
2. 현대사회 기업환경 변화의 특징
제 2 절 조직의 변화
1. 현대의 조직변화
2. 새로운 조직 유형과 특징
제 3 절 네트워크 조직과 사례
1. 네트워크 조직
2. 초우량 기업의 네트워크 조직 사례 -DHL
제 3 장 결문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0.05.04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7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