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범죄발생에 대한 통계적 연구(구미시를 대상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의 범죄발생에 대한 통계적 연구(구미시를 대상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5
5309.833
1999
18805.78
15133.03
16494.15
5784.818
6188.1
2000
18946.33
15213.24
16646.08
5676.545
5998.1
<그림 2>
3. 통근통학 인구와 범죄 발생 수
통근·통학 인구와 범죄 발생 수를 비교함에 있어 2000년도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자료만을 사용하였다. 이는 인구주택총조사가 매5년마다 실시하므로 가장 최근 자료인 2000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2000년도 통근·통학인구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3>
행정구역
인? 구
통 근 통 학 인 구



통근
통학
포항시
405454
252251
165537
86714
177510
74741
구미시
239218
149427
95829
53598
116996
32431
상주시
104865
74719
39897
34822
57694
17025
경산시
141468
90622
55246
35376
61228
29394
예천군
53355
37992
20286
17706
29984
8008
통근·통학으로 인한 범죄 발생 수가 증가할 것이란 가설아래 범죄발생수를 종속변수로 통근·통학인구를 독립변수로 하여 아래와 같이 회귀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다. (단, 유의 수준은 0.1로 하며, 인통비 : 인구1000명당 통근통학인수, 범죄인비 : 인구1000명당 범죄발생수.)
이 회귀분석에서 R
`^{ 2 }
값은 .743이고 수정된 R
`^{ 2 }
값은 .657이다. 이 모형으로 회귀식이 종속변수를 설명하기에 유의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단순회귀식을 세워보면,
y = + y : 인구1000명당 범죄발생수
: 상수
: 인구 1000명당 통근·통학인구 비율
y = 128.160 + -0.137 로 표현된다.
따라서
범죄발생건수 = 128.160 + -0.137 * 통근·통학인구 수
로 나타난다. 즉, 우리가 세운 가설과는 달리 통근·통학인구가 많을수록 범죄 발생수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은 통근·통학은 범행기회이론
) 도시성장과 범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4
범행기회이론은 비교적 최근에 주목받는 이론으로, 범죄행위가 발생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동기화된 범죄자, 적절한 범죄의 대상, 효과적인 보호수단의 부재를 논의한다.
에 의해 통근. 통학인의 수가 많을수록 범죄발생수가 많다는 이론을 어긋나는 것으로 아무래도 이 분석의 표본의 수가 적음으로 인하여 혹은 지역특성으로 인한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4. 인구의 연령비율과 범죄 발생 수
여기서는 각도시의 35세와 64세 사이의 고령인구와 15세에서 34세까지의 인구비율을 조사하여 각도시의 인구1000명당 범죄 발생 수와의 인과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범죄 발생 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연령별 인구비율을 종속변수로 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단, 유의 수준은 0.1로 하며, 연령인비 : 노령인구에 대한 청·중년층의 비율, 범죄인비 : 인구1000명당 범죄발생수.)
이 회귀분석에서 R
`^{ 2 }
값은 .829이고 수정된 R
`^{ 2 }
값은 .687이다. 이 모형으로 회귀식이 종속변수를 설명하기에 유의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단순회귀식을 세워보면,
y = + y : 인구1000명당 범죄발생수
: 상수
: 35-64세 인구/15-34세 인구
y = 67.104 + -26.150 로 표현된다.
따라서
범죄발생건수 = 67.104 + -26.150 * 35-64세 인구/15-34세 인구
로 나타난다. 즉, 우리가 세운 가설과 같이 젊은 인구가 많을수록 인구에 대한 범죄발생수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도시일수록 젊은 인구가 농촌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남에 따라 범죄발생이 더 많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는 요즘 범죄연령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과 관련해 서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Ⅳ. 결론
위에서는 전체적으로 도시와 농촌지역을 구미와 비교하기 위해 임의로 두 개씩 뽑아 구미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구미의 범죄발생이 왜 많은가하는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비교,분석의 방법으로 해답을 도출하려 하였다. 위에서 4가지 가설중 가설에서 내새웠던 관계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은
첫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범죄발생도 증가한다는 것.
둘째, 파출소당 담당인구수가 많을수록 범죄발생수가 높아진다는 것
셋째, 노령층인구에 비해 청·중년층인구가 많을수록 범죄발생이 증가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인구에 대한 통근·통학인구의 비율은 예상과는 달리 반대의 결과를 나타냄으로서 기존의 연구에 위배되는 결과가 도출됨으로써, 의미가 반감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선방향을 도출해보자. 범죄발생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인구에 증가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도시의 경우 대부분 인구가 증가한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른 적절한 치안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겠으며, 둘째, 근래에 실시된 파출소 통·폐합 결과 파출소당 담당인구는 증가하였다. 위 결과에서 나타났지만 파출소당 담당인구가 증가할수록 범죄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물론 파출소를 통·폐합함으로서 업무와 운영을 효율성을 기할 수 있음은 사실이다. 하지만 치안의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며, 나날이 범죄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지금 시점에서 파출소수의 감소는 좀 더 많은 고민을 해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요즘 범죄연령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으며, 사회전체의 도덕성의 부재는 범죄를 증시키고 있다,. 또한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인한 세대간의 사고의 차이는 범죄를 더욱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세대간의 공감대를 형성시킬수 있는 사회구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사회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체계가 빨리 정비되어야 하겠다.
이 4가지 변수외에도 종속변수를 설명할 수 있는 많은 변수들을 찾아내어 다양한 분석기법을 통하여 종속변수를 설명하려 하였지만 표본이 적은 관계로 대부분의 결과가 예상과는 달리 도시·농촌 구분 없이 엇비슷하게 나왔으며 예상과 같은 결과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유의수준을 만족하지 못하여 의미없는 것들이 상당수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5.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