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의 모든것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백질의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단백질의 정의,구조,특징,성질.종류.....

본문내용

째, 증세는 간에 장애가 생기는 것으로 간에 지방이 끼고, 간세포는 사멸하고 섬유조직이 증식 하여 간이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셋째로는 머리털 색이 변한다. 대개 동양 사람의 머리는 검은데 이 증세가 나타나면 오렌지색으로 변한다. 그러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기 시작하면 다시 검은색으로 되돌아간다고 한다.
넷째로는 피부염이 생긴다. 즉 피부가 약해져 조금이라도 세균과 접촉되면 염증을 일으키고 잘 아 물지 않는다.
다섯째로는 소화기에 장애가 생겨 소화,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섯째로는 신경계통에 장애가 와서 신경질적이 되고 후에는 무감각해진다.
일곱번째로 이 증세가 심해지면 부종이 생겨 일단 말랐던 조직에 수분이 고여 붓고 드디어는 죽음.
그러나 콰시오커는 다른 영양결핍증과 마찬가지로 죽기 전에 원인을 확인하여 영양소를 공급하면 완 치될 수 있다. 이 증세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환자에게 탈지분유를 먹이는 일이다. 탈지분유 는 환자가 거의 절망적이라고 생각되는 상태에 있을 때에도 2∼3주 내에 거의 완전히 건강상태로 회 복시켜 준다. 우유 구입이 힘들거나 우유값이 비싼 지역에서는 다른 고단백질 식이를 먹이면 된다. 대 두분이나 두유는 좋은 단백질 보충음식이다. 생선가루도 양질의 단백질급원이다.
2) 마라스무스(marasmus) 아프리카 지역은 식량부족으로 이유기와 유아기에 이 영양결핍증에 걸리는 일이 흔하다. 마라스무스 증상은 대체로 콰시오커와 비슷하나 다른 점이 있다. 모발의 색이 변하지 않으며 부종이 일어나지 않고 극도로 체중이 감소한다. 또한 얼굴과 몸은 살이 없어서 애늙은이와 같은 형상이 된다.
9.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필요량
단백질 필요량은 생리적 상태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히 성장과 신체 크기는 질소필요량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식품의 종류와 단백질 급원에 따라서도 단백질필요량이 달라지며 식사내의 열량섭취량도 영향을 준다. 그러면 이러한 요소들이 단백질필요량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본 후 실제 단백질필요량과 권장량을 다루기로 한다.
1) 단백질 필요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생리적 상태
체격이 크거나 근육조직이 많으면 단백질필요량은 커진다. 연령이 어릴수록 체중당 단백질필요량이 높다. 성장기나 임신·수유기에는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을 위해서 단백질필요량이 증가한다. 이러한 사람들에서는 대체로 질소흡수량이 소변 중 배설량보다 많아서 신체내에 단백질이 축적되는‘+’평형을 나타낸다. 단백질필요량을 섭취하지 못하면 신체내 체단백질이 분해되어 외부로 방출되는‘-’평형이 일어난다.
(2) 식사내의 열량섭취량
체내 열량필요량보다 에너지를 적게 섭취하였을 때, 질소평형은 ‘-’가 되고 단백질필요량은 증가된다. 이것은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즉 적절한 에너지섭취는 단백질의 체내 열량원으로써 이용에 대하여 절약작용을 하기 된다. 그러나 열량섭취량을 높여 주면 질소평형은 호전된다.
다음 <그림>의 윗선이 보여주듯이 열량섭취와 질소평형은 연관이 깊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아랫선은 단백질이 부족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도 열량섭취가 증가하면 질소평형이 호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B 이상에서 호전되지 않는 것은 절대적인 단백질필요량이 부족할 때, 에너지의 과잉섭취도 이를 방어해 주지 못함을 뜻한다.
(3) 필수아미노산의 양과 총질소섭취량
에너지와 영양섭취량이 적절하다면 질소평형은 필수아미노산의 양과 총질소섭취량에 달려 있다. 셔만에 의하면 곡류식이의 10%를 우유로 대치했더니 질소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추정단백질 필요량이 10g이나 줄었다.
생물가가 즉 아미노산조성이 높을수록 단백질필요량은 감소되었다. 또한 식품의 혼합으로 아미노산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단백질필요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필수아미노산의 조성뿐만 아니라 총단백질섭취량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단백질급원의 종류나, 같이 섭취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필요량이 달라진다. 단백질의 급원식품과 같이 섭취하는 식이 종류에 따라서 소화흡수율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소화율이 낮으면 그만큼 필요량은 증가된다. 섬유소의 양이 많을수록 소화흡수율은 감소된다.
2) 단백질의 필요량
① ② ③
0.82 × 1.25 × 1.1 = 1.13g/ ㎏/ day
① 단기 질소균형 연구에 기초한 한국인 혼합식이로서의 평균 단백질 필요량 ; 0.82g/ ㎏/ day
② 개인간 변이계수에 의한 안전율 ; 25%
③ Stress에 의한 가산치 ; 10%
성인남성을 위한 자료는 우리나라에 많지 않으나 1971년 FAO/ WHO 위원회에서는 기초 대사 에너지당 뇨중의 불가피 질소손실은 성인남자와 여자가 다르지 않다고 결론 내렸으며 최근의 연구(Bodwell등, 1979)들은 이 결론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즉 여러 가지 다른 급원으로부터의 단백질을 섭취한 단기 질소균형연구를 보면, 생리적 필요량을 만족시키는 식이단백질의 이용효율을 체중단위당으로 표현했을 때 성인여자에 비해 성인남자가 본직적으로 다르다는 증거가 없다(Calloway와 Kurzer, 1982).
따라서 본 분과에서는 단백질의 안전섭취 필요량 책정에 있어서 성인 남자와 여자사이에 차이를 둘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한국인 성인의 일상적 혼합식이로의 단백질 안전섭취량은 남, 녀 모두 1.13g/ ㎏/ day로 책정하였다.
한국인 영양권장량 개정위원회 체위분과에서 결정한 표준 체위는 20-29세의 경우, 남자 66㎏, 여자 53㎏, 30-49세의 경우 남자 67㎏, 여자 55㎏, 그리고 남자 50-64세의 경우는 남자 67㎏, 여자 57㎏이었다. 이에 의해 한국인 남녀 성인의 1일 단백질 권장량은 다음의 표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계산치들을 조정하여 남자성인은 1일 75g, 여자 성인은 1일 60g으로 결정하였다
3) 아미노산의 필요량
단백질과 각 필수아미노산의 필요량을 체중 ㎏당으로 계산하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필요량은 감소한다. 특히 총 단백질량보다 필수아미노산함량이 현저히 감소됨을 <그림>에서 볼 수 있다. 단백질필요량 중에서 필수아미노산의 비례는 신생아에서 43%로 가장 높고 성인기에는 19%로 낮아졌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5.1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