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정신건강 보고서(자아 정체성과 사회성, 아동방임 및 학대, 부모와 자녀관계 문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기 정신건강 보고서(자아 정체성과 사회성, 아동방임 및 학대, 부모와 자녀관계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아 정체성
1) 자아정체성의 개념
2) 자아정체성의 중요성
3) 시기별 발달과제와 정신건강
(학자들의 이론, 정신건강 문제들, 대책)

2. 학교와 사회성
1) 사회성의 정의 및 의의
(1) 사회성의 개념
(2) 사회성의 중요성
(3) 사회성의 발달
(4)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적 행동의 여섯가지 특징
(5) 학교에서 부적응 아동에게 발생되는 문제
(6) 대책

3. 아동방임 및 학대와 실태
1) 개념
2) 아동학대와 방임의 유형
3) 아동학대 및 방임의 후유증
4) 아동 학대 및 방임의 발생현황
5) 대책
6) 사례

4. 부모와 자녀 관계 문제
1)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자녀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2) 부모자녀관계 문제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이야기 표상차이
3) 인간 지향적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4)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녀의 자신감에 따른 정신건강
6)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7) 부모자녀관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으로 나타났다.
7) 부모자녀관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
이 시기에는 양육자(어머니)와의 관계형성이 가장 중요하다. 양육자와의 애정관계, 즉 애착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러한 애착은 유아의 생존에 절대적인 기초가 되는 중요한 과업이며, 이는 신체발달에 모두 직접 관계된다. 애착을 통해서 유아는 충분한 심리적사회적 영양공급을 받아 건강한 발육이 가능하며, 어머니와의 애정관계에서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생활을 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 시기에 안정된 모자관계를 체험하지 못하는 것은 이후에 정신분열증 등 자아의 성립과 관련된 마음의 병에 빠지기 쉬운 요인 중 하나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안전애착을 이룬 유아는 안전한 애착을 이룬 유아보다 훨씬 정신적행동적 문제를 가질 확률이 높다는 것이고 또한, 정신적으로 분리불안장애, 우울, 자폐증, 행동장애, 분노발작, 식욕부진, 비만증, 거식증 등의 신경증이나 발달장애, 기타 대인관계에 있어 장애가 불안전한 애착을 가진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서로 불일치하는 경우가 일치하는 경우에 비해 자녀의 정신건강이 상대적으로 나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통적으로 嚴父慈母(엄부자모) 즉, 아버지는 엄하고, 어머니는 자애로운 것을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분담으로 여겨온 것에 대해 반하는 것으로 엄부자모의 경우 오히려 자녀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양육자와의 안전한 애착을 이루어야 하며, 아동의 발달 목표로 상호의존성 강조 사회적 책임을 갖는 자아를 강조하고 화합과 복종 그리고 존경 등이 강조되고 개인의 욕구보다 가족이나 집단의 욕구가 중시됨으로 사회적 정체를 교환하는 지위 지향적 부모자녀관계 보다는 아동의 발달 목표로 독립성 강조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자아를 강조하고 개인적 선택과 효율적인 자기표현 격려함으로써 개인들의 욕구나 특성에 바탕을 둔 인간 지향적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모사이에 양육 태도가 일치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5. 결론
이상과 같이 아동기 정신건강이 주요한 몇가지 요소에 의해 좌우 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로 아동의 자아 정체성이다. 잘 성립된 아동의 자아 정체성은 아동의 정신건강의 기초가 된다. 둘째로, 사회성이며 이는 발달 과정에서 배우는 사회적 기술이 종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아동의 적응력과, 문제행동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 보편화 되어 있는 사실이다. 셋째로 아동의 학대와 방임이다. 여러 사례에서 본 바와 같이 탄생과 동시에 부여 받은 생래적인 권리인 인권의 보장에 있어서 상대적 약자인 아동들이 겪는 방임과 학대에 대한 정신적인 충격은 아주 큰 것이며 이것이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성장하는데 큰 걸림 돌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양육 태도이다. 아동이 태어나서 처음 맺는 사회적 관계의 대상은 바로 양육자이다. 바로 이러한 사회적 관계 형성이 잘 이루어진 아동이 성장한 후에도 건전하고 건강한 사회인이 된다는 것이다. 종합하자면 자아 정체감이 잘 형성되고, 사회적 기술을 잘 습득하여 사회성을 가지고, 방임과 학대로부터 보호 되고, 올바른 양육태도를 가진 양육자와의 관계 형성이 잘 된 아동이 정신적으로 완전하며, 이를 바탕으로 건강하고 건전한 사회인으로 자랄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강향옥. 2002, "해결중심의 집단 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대인관계 개 선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고영란지성애. "유아의 자아 개념 및 사회적 능력과 가족 형태와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학논집』4권2호
곽덕영 양승희. "아동 학대와 방임 : 실태, 법적근거 및 대책방안".
경원 전문대학 : 263~280.
김미선. 2004. "외동아와 형제아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 차이".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 심리전공 석사논문
김송자. 2005.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석사논문.
김연옥박인아. 2000. "가정폭력의 유형별 관련성과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문연심.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24(1) : 135-136.
송두진. 2003. "초등학생의 부-모 애착과 사회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교육학석사학위논문: 4~10.
신건호. 2004. "부모자녀관계유형이 자녀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
연구』18(4) : 97-99, 106.
신건호문연심. 2006. “인간지향적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 교육』15(3) : 257, 262-264.
유안진민하영 2001. "학령기 및 청소년기 시설 아동의 자아정체감".
『한국아동학』_ : _ .
이경숙정석진박진아신의진. 2004. "부모-자녀관계 문제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이야기 표상 차이".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2004(1) : 96.
이경화고진영. 2003. "학령기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영재와 영재교육』제2권2호
이영호. 2003. 정신건강론. 현학사. p.55-58.
이현민이종구. 2006.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논문집』
임주희최연실. 2006.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부모갈등, 부모관련
스트레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영향”, 2006.『아동학회지』27(4) : 242-244.
정해은이영훈. 2001.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녀의 자신감에 따른
정신건강”. 『한국여성교양학회』.8(0) : 226-228, 238-239.
조현. 2002. 정신보건. 계축문화사. p.31-33.
주은연김홍열. 2006. "원예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자아개념 및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물ㆍ인간ㆍ환경학』9(4) : _ : _.
Dr. Jaap E. Doek.__. 『사회복지전문연구지 동광』_ : 90-110.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0.05.16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