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계획서-철근콘크리트공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공계획서-철근콘크리트공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주의한다.
5.거푸집 공사 시공요령서
1. 시공 체제
(1) 웅대개발 거푸집 공사 공무점 조직표
(2) 인원 배치계획
일반적으로 현장 상주는 다음의 명으로 한다.
직장 명
직장 대리 명
목수 명
다만, 필요에 따라 지원할 수 있다.
(3) 기자재 계획
보 가설용 리프트(목수 담당)
큰 패널 실어 올리기 - 크레인(작업장 크레인 사용)
슬래브 가설받침대 - 가로보(작업장 지급)
2. 시공요령
(1) 먹매김
① 중심설정선의 양쪽 1m 되돌림먹과 거푸집 조립용 먹매김은 거푸집공사에 포함시킨다.
② 외벽용 기준먹은 반드시 외벽 전용의 먹을 일관허여 사용한다.
③ 출입구, 창 등의 개구는 바닥에 W, H, h를 기재하여 둔다.
(2) 수평먹매김
① FL +1,000을 기둥 철근 4구석에 잡고
테이프 상단을 먹에 맞춰 쳐둔다.
② 보우닝 바(BONING BAR)는 작고 가벼운
것을 사용하고 기둥 철근에 바로 댄다.
(3) 바심질
① B1, 1F, 2F 못의 바심질은 업자 가공장에서 한다. 3F 이상은 각 층에서 한다.
② 현지 가공, 현지 작업을 극력하지 않아도 바심질할 수 있는 부분은 반드시 이 단계에서 가공한다.
바심질할 수 있는 부분 -세퍼레이터 구멍, 삽입근 구멍, 각종 앵커 설치, 새시틀 가공, 방수 V자형
홈, 계단 챌면, 계단판
③ 자로 잴 때 오차를 없앤다.
④ 재료의 정리 정돈에 노력하고 재료는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바심질용 합판은 될 수 있는
한 우수리재를 사용한다.
⑤ 보측에는 너무 오래된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다.(이유: 보측에서 슬래브 하중을 받기 때문에)
(4) 양중
① 크레인을 사용할 때는 걸쇠걸이 자격을 가진 자가 한다.
② 작업장 내를 하이 리프트가 이동하므로 계획적으로 물건을 배치하지 않으면 작업이 중지된다.
두는 곳,쌓기 방식, 순서는 모두 작업주임의 지시에 따른다.
(5) 큰 패널 실어 올리기
① 콘크리트치기 후 2일간은 거푸집 탈형을 하지 않는다. 단, 2일째 오후 3시 이후, 다음날 제일 먼저
실어올리는 부의 폼타이를 떼어낸다.(철물은 비계 위에 절대로 두지 않는다.)
② 큰 패널을 실어 올릴 때는 해체공과 당번이 하되, 거푸집을 탈형하면 비계에 큰 패널을 두고
앵커부에 패널받이를 붙인다.
(6) 줄눈대 설치
가로줄눈, 세로줄눈 모두 외벽 해체시에는 콘크리트 속에 남기고, 콘크리트치기하여 1주 이상 경과한
뒤에 떼어낸다.(외벽해체시에 줄눈대도 동시에 떼어내면 콘크리트의 각이 이지러지기 때문에)
(7) 외벽 정상부의 일직선 확인
접자 l=200을 @6,000걸러 고정한다. 콘크리트치기 중에는 목수가 체크한다.
(8) 큰보 설치
① 현장 조립한 큰보를 리프트로 쳐들어 서포트로 임시 받는다. 약간 높여 임시 고정한다.
② 리프트는 다음 그림과 같이 이동시킨다. 이동 통로 위에 장해가 되는 재료를 두지 않는다.(기둥재,
작은보재 등)
③ 작은보도 큰보와 같이 현장 조립하고 나서 리프트와 타워 크레인으로 매달아 올린다.
④ 현장 조립은 보 바로 아래에서 한다.
⑤ 현장 조립은 콘크리트 윗면에서 +420 이상의 높이가 되도록 한다.(리프트의 최소 짐부리기 높이 420)
(9) 세퍼레이터 설치
① 보 밑바닥에서 50mm되는 곳 1군대에 세퍼레이터를 설치한다.
② 몸통죄기 세퍼레이터는 사용하지 않고 보 버팀대 박스와 빔 클램프의 병용으로 보측의 좌굴을 방지한다.
③ 보 양중 후 벌어짐 방지 세퍼레이터를 800mm 이내로 잡는다.
(10) 기둥거푸집 설치
합판은 될 수 있는 한 표준 치수의 것을 절단하지 않고 사용하도록 한다.
(11) 벽거푸집 설치
합판의 수평조인트가 일직선이 되도록 조립한다.
(12) 슬래브 치기
① 빔치기(콘크리트 부어넣기)를 끝낸 층의 콘크리트면에 소요 수량씩 배치한다.
② 보 양쪽에서 로프로 빔을 매달아 올리고 보에 @450으로 배치한다.
③ 합판 조인트부에 오는 빔에는 미리 거푸집널 보강재 30x60을 넣어둔다.
④ 경사부분 슬래브를 일찍 짜고, 보와 슬래브를 보강하여 여기에 다른 슬래브용 합판을
타워크레인으로 운반한다.
⑤ 보 빔은 이 부분에서 걸치고 슬래브 합판을 붙인다.
(13) 치기(콘크리트 부어넣기)중의 당번
콘크리트치기 중에는 명의 목수를 당번으로 정하고 다음의 이상 발견과 그 처치에 대응한다.
콘크리트의 누설
거푸집의 부풀음, 이동
가설받침대의 이상
외벽의 일직선 확인(항상)
슬리브 앵커넣기 등
3. 거푸집 검사
다음의 사항에 대해서는 직장의 자주 검사로 한다.
검 사 항 목
기준값
측 정 범 위
바심질 정밀도
3㎜ 이내
완성폼 치수와 계획과의 차
외벽 세우기
1/750 이내
1스팬에 대하여 2군데
슬래브 레벨
10㎜ 이내
기둥과 각 슬래브 , 보 중앙
내벽 , 기둥 세우기
1/500 이내
외주부 이외
내멱 개구 위치
3㎜ 이내
지묵과 대조 확인
4. 정리정돈
(1) 세우기(조립) 중
① 작업 장소에서 나온 쓰레기는 작업 완료시에 지정 장소에 집적한다.
② 동일 종류의 재료는 정리하여 둔다. 재료 두는 방향은 같게한다.
③ 하이 리프트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교려한다.
(2) 콘크리트 치기전
① 비계 위에 거푸집 잔재를 두지 않는다.
② 슬래브 위, 슬래브 아래도 치기(콘크리트 부어넣기) 당일요 이외의 재료는 일단 정리 정돈한다.
(3) 콘크리트 해체 후
해체 후에 생기는 잔재의 정리 정돈은 해체공이 한다.
5. 안전사항
(1) 전동 둥근 톱은 날부분의 커버, 반발 방지 장치식으로 한다.
(2) 전동 드릴은 누전 검사를 받고, 어스선 부착(3선)코드를 사용한다.
(3) 걸쇠걸이는 유자격자가 한다 .
(4) 발돋움대 사용에 대하여 3점지지 또는 2점지지의 경우 2개를 겹친다음 고무밴드로 묶어 사용한다.
(5) 안전모, 안전띠를 착용한다.
(6) 안전 통로, 작업 통로를 확보한다.
(7) 작업 후 정리 정돈을 철저히 한다 .
(8) 재료의 낙하 방지에 유의하고 작업한다.
(9) 담배를 입에 물고 작업을 해서는 안된다.r
목차
철근콘크리트공사 시공계획
1.철근공사 일반사항
2.철근공사 시공요령서
3.거푸집 공사 일반사항
4.CON'C공사 시공 요령서
5.거푸집 공사 시공요령서r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5.16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