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대안교육의 개념

Ⅱ. 우리나라 대안교육운동의 발생 원인

Ⅲ. 대안학교 제도의 도입 필요성
가. 국가중심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제도의 한계 극복
나. 헌법상의 교육에 관한 기본권의 보장

Ⅳ. 대안학교의 제도화 방안
1. 도입의 기본 원칙
2. 대안학교 설립·운영 형태의 기본방향

Ⅴ. 기존체제에서의 대안교육 흡수 방안
가. 대안학급(교실) 및 학습장의 설치
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확대
다. 학생의 학교선택권 확대

Ⅵ.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생들의 선택권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그 방식은 우선 학칙을 통해 입시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당해 학교급의 교육목적에 충실하게 교육을 실시하고,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105조제3항제2호의 규정과 같이 개별학생의 적성·능력을 고려한 열린교육 또는 수준별 선택 교육과정을 운영할 것을 약속한 학교에 한정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의 선발은 그러한 교육방침에 동의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무시험 추점으로 우선 선발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면접을 추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되어야 할 것이다.
Ⅵ. 맺음말
대안교육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이 늘어나는 대안교육의 수요를 기존의 학교가 감당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시지역에 적합한 대안학교 제도가 조속히 도입되어, 도시 지역내에서도 적절한 수의 대안학교가 설립·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기존학교와 대안학교가 상호 협조하고 협력하는 가운데 우리의 모든 학생들이 제도권 교육하에서 자신의 능력과 꿈을 키우고 개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다만, 대안학교 제도가 악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학 부설이나, 공공기관 또는 공공시설을 이용한 대안학교 설립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습망형 대안학교 설립을 시범적으로 추진해 보는 것도 좋은 접근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안학교는 대안교육에 대한 열성과 헌신의 의사가 있는 사람들 특히, 교육자로서 대안교육에 봉사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대안학교를 직접 설립·운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들에게 국·공유재산을 무상으로 사용허가를 받아 학교를 설립할 수 있도록 하고, 이 학교는 준공립학교로 운영되도록 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대안학교 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많은 의견이 제시될 수 있겠으나, 그 방향과 목적은 현재의 학교체제에서 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거나,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학생, 의욕을 상실한 학생 등 소중한 청소년의 시기를 상실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다른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에게 새로운 삶의 가능성과 희망을 주는 것이 그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태중외(1999). 「고등학교체제개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고병헌(1997). "교육개혁운동으로서의 대안교육운동",「처음처럼」, 1997년 11-12 월호(통권 제4호) 5-39.
교육개혁위원회(1998). 「한국교육개혁백서」.
교육인적자원부(1998).「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 1997-15호[별책1],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영화(1995). "외국의 학교선택정책 :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편. 「교육정치학연구」 제2권 제1호, 152-184.
김윤옥외(1998). 「Hot Buttons 열가지 교육쟁점의 조명」, 원미사.
신남호(2000). 「말로만 교육개혁」, 인간과 자연사.
신준섭외(2000). 미국과 영국의 학교개혁동향. 한국교육연구소.「21세기 공교 육 전망과 연구소 협력방안 자료집」, 13.
심성보(1997). "학교교육의 위기와 한국의 대안학교 운동"
(http://pnue_w2.pusan-e.ac.kr/~resce/art/mon-s3.html)
유현옥(2000). 「현대교육의 주제와 쟁점」, 내일을 여는 책.
이 한(2000). 「탈학교의 상상력」, 삼인
이효신(2001). "초등학생의 학습활동과 수학교과성취도 조사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종태·강영혜·정광희(2000). 「자율학교 운영 모델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현남(1998). "헌장학교(Charter school)", 김윤옥외 공역,「열가지 교육쟁점의 조명」제4장, 서울: 원미사.
전국교직원노동조합참교육실천위원회(1999).「학교붕괴」, 푸른나무.
정태범(1998). 「학교교육의 구조적 개혁」, 양서원.
주철안외(1999). "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 보장을 위한 학교체제 재구조화 연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통계청(2000). 「통계로 보는 한국의 모습」.
한창진(1998). "대안교육운동의 사례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허운나외(1998). 「정보시대와 미국의 교육혁명」, 교육과학사.
한국청소년개발원(2000). 「전국 청소년 생활 실태조사 연구」.
황홍규(2000a) "교육기본법에서의 학습권 개념의 도입 배경과 그 의의", 대한교육법학회, 「교육법학연구」제12호.
______(2000b). "21세기 서울교육의 새로운 대안과 실험-도시속 대안학교", 서울교육심포지움 자료(한겨레신문사 주최, 2001. 1. 18.).
학교바로세우기실천연대·조선일보(2001). 「21세기 교육의 변화와 학교위기의 극복방안」, 한·미·일 국제 교육정책 세미나 자료(2001. 2. 28.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학교바로세우기실천연대(2000). 「교육인식의 세대차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 한·일 실태비교와 극복방안 탐색 -」, 학교공동체 신뢰회복을 위한 토론회 자료(2000. 5. 9.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아름다운학교운동본부외(2001). 「위기의 한국교육, 어떻게 살릴 것인가?」, 우리교육희망찾기 제1차 심포지엄 자료(2001. 5. 7., 흥사단 강당).
子安美知子(1998). 임영희·이연현 역,「슈타이너학교의 참교육이야기」, 밝은 누리
챨스 E. 실버만(1973). 배영사 편집실 편역,「교실의 위기Ⅰ,Ⅱ」, 배영사.
Dryden, G. & Jeannette Vos(1999). 김재영·오세응 역,「학습혁명」, 해냄.
Naisbitt, J.(1999). 박동진 역,「메가챌린지」, 국일증권경제연구소.
Stanford, J. & Robin Simons(2000). 조병효 역,「학교의 승리」, 말과 창조사.
Adler, M. J.(1999). 「학교교육 개혁의 문제와 가능성(이미숙, 역)」, 원미사.
Drucker, P. F.(1993).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이재규, 역)」.한국경제신문사.
Collins, R.(1989). 정유현 역,「학력주의 사회(Credential Society)」, 배영사.
  • 가격1,9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0.05.17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5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