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러포즈여행 상품 기획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기획 배경 및 목적
1. 기획의 배경
2. 기획의 목적

제 2 장 관광현황

제 1 절 한국의 관광현황
1. 한국의 국내여행현황
2. 한국의 국내여행특성

제 2 절 경북의 관광 현황
1. 경상북도의 지리적 특성
2. 경상북도의 관광지 현황

제 3 장 상품기획

제 1 절 기본계획
1. 여행상품에 대한 개요
2. 여행상품에 대한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

제 2 절 연계방안
1. 테마별 연계방안

제 4 장 마케팅 전략

제 1 절 마케팅계획
1. 환경분석
2. 마케팅 목적
3. 마케팅 전략


제 5 장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전략, 전술을 종합적으로 실시하는 일로서 이는 재품, 유통 경로, 판매 가격, 판매 촉진의 네 요소를 합리적으로 결합하는 거을 말한다.
1). 제품(Product)
(21C 호텔관광연구회) ‘관광마케팅’ 2002. p 191 참조
제품은 소비자의 욕구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는 어떤 것을 말한다. 제품의 개념은 물리적 대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어떤 것도 제품이라고 부를 수 있다. 더 넓은 의미로 제품에는 경험, 사람, 장소, 조직, 정보 그리고 아이디어등도 제품으로 포함되며 물리적인 재화나 서비스 이상의 것도 포함한다. 고객들은 어떠한 이벤트를 경험할 것인가, 어떤 여행목적지를 방문할 것인가 , 어느 호텔에 묵을 것인가, 어느 식당을 이용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것들이 고객들에게는 모두 제품이라 말 할수 있다.
본 기획에서는 신혼여행을 발상의 전환을 통해 결혼하기 전 단계의 한 부분인 청혼이라는 단계를 관광 상품화 한 것으로써 꽃(그린로즈,매화), 렌트카, 음식점, 사진, 도시락 등이 상품이 되고 제품이 된다.
2). 가격
(21C 호텔관광연구회) ‘관광마케팅’ 2002. p 230 참조
가격은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의 충족을 위해 여행상품, 호텔상품등의 상품을 구입하려 할 때,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하게 되는데, 이러한 금전적 대가가 곧 기업이 제시한 가격이라 할 수 있다. 즉 가격이란 “소비자와 관광기업간의 가치교환의 개념” 으로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고 치른 대가를 말하고, 기업측에서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는 화폐의 양을 말한다.
본 여행상품의 경우 세부프로그램 및 일정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다음과 같은 가격을 지닌다.
<표> 청혼여행 가격
C코스
렌터카
70.000
IC이용료
4.000
점심식사
12.000
저녁식사
92.000

40.000
기타
50.000
전체가격
268.000
(단윈: 원)
3). 유통(Place)
유통은 기업이 판매를 목적으로 생산하는 물적 재화나 인적서비스가 최종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이라 정의 할 수 있다. 결국 유통의 책임은 전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비자에게 상품이 전달되기 위해서는 과정이 있는데 이 과정을 경로라고 한다. 따라서 유통의 이야기를 할 때는 필연코 유통경로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을 수 었다. 여기서 유통경로란 소비자와 비즈니스이용자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과정에서 포함되는 독립조직의 집합을 말한다. 유통시스템은 전통적으로 재화를 제조업자로부터 소비자에게로 이동하는데 사용된다.
본 청혼여행의 경우는 여행상품이기 때문에 여행사가 가장 대표적인 유통경로이고 전문업자인 이벤트회사 쪽에서 유통시키는 방법이나 가장 쉬운 방법으로써 인터넷으로 본 상품을 유통한다.
4). 촉진(Promotion)
(21C 호텔관광연구회) ‘관광마케팅’ 2002. p 293 참조
촉진이란 쉽게 말하자면 세일즈 프로모션(sale promotion)을 줄인 것으로 상품, 가격, 영업 이외의 수단으로 매출액을 증가 시키려는 방법을 말한다.
본 청혼여행의 경우 이를 촉진 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세가지 촉진방법을 제시하는 바이다.
첫째, 광고활동(advertising)을 들 수 있다. 다시 말해 청혼여행을 TV광고, 인터넷 팝업광고, 라디오 광고, 신문에 광고지를 넣어서 광고를 함으로써 새로운 고객을 확보한다. 또한 구체적 광고 컨셉으로는 다음과 같다.
이는 고객이 아이리스의 꽃말에 대해 궁금해 하는 것, 즉 호기심을 자극 하는 방법으로써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볼 수 있게 하여 비밀을 최대한 유지하게 한다.
둘째, 판매촉진(sales promotion)으로써 비수기때 사용하는 방법인 끼워주기나 가격할인과 같은것을 말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여행 쿠폰을 발행하여 1000일 이상된 커플이 본 여행상품을 구매할 시에는 가격할인과 같은 방법을 적용한다.
셋째, 퍼블릭 릴레이션스(public relations) 즉, 간접적 광고를 들수 있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써 청혼여행상품의 이미지를 높이기 보다는 유통되는 여행사의 이미지를 높임으로써 믿고 맡길수 있다는것을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키는 방법이 좋은 촉진 역할을 할 것 이다.
마지막으로 인적판매(personal selling)를 들 수 있는데 판매를 목적으로 1명 또는 그 이상의 기대고객과의 대화를 통해 이 상품을 유통시키는 것을 말한다.
꽃말을 얼마나 알고 계세요? 꽃과 자연이 함께하는 여행
-프로포즈여행-
제 5 장 결론
앞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본 청혼여행 상품의 경우는 다양한 여행코스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경북의 이미지 개선 및 제고 역할을 수행할 것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장점을 가진 청혼여행의 경우 이벤트의 단순화 및 간결화로 인해 자칫, 여행상품이 아니라 이벤트 상품으로 오인 받을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우려는 청혼여행 상품을 시험상품화 하여 이를 통해 좀 더 구체적이고 고객의 욕구를 좀더 잘 파악하여 보다 좋은 상품을 만드는 것으로 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여행추가 개별적 여행이 대세를 이루었다면 앞으로는 가족여행, 친구여행, 등 동반자를 동반한 여행이 성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은 여행패턴의 변화는 여행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했던 본 여행상품기획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참고문헌
1. (윤대순) 백산출판사 ‘관광경영학원론’ 2002.
2. (유영준송재일임진홍) 대왕사 ‘관광상품기획론 2005
3. (카세다 신이치) 북폴리오 ‘No.1 기획력’ 2006
4. (21C 호텔관광연구회) ‘관광마케팅’ 2002.
5. (글로벌태스크포스) 경영전략(통근대학 MBA 7)
6. 문화체육관광부(http://www.mcst.go.kr/) ‘2008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7. 한국관광공사 (http://www.visitkorea.or.kr/) ‘2008 국민여행실태 조사 보고서’
8. 지도쇼핑몰한일지도판매(http://www.ihanilmap.net/) ‘경북의 지도’
9. 포탈사이트 다음 (http://enc.daum.net/)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5.23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3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