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사업에 관한 실태조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만금 사업에 관한 실태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2
제 1절 연구목적---------------------------------------- 2
제 2절 연구범위와 방법---------------------------------- 3

제 2장 갯벌에 대한 일반적 내용------------------------- 5
제 1절 전라북도 갯벌------------------------------------ 5
제 2절 새만금 갯벌 ------------------------------------- 5
제 3절 간척사업의 필요성 -------------------------------- 6
제 4절 갯벌과 농지의 경제적 가치 비교---------------------- 6

제 3장 새만금 간척사업-------------------------------- 7
제 1절 새만금 사업의 의의-------------------------------- 7
제 2절 새만금 사업의 필요성------------------------------ 7
제 3절 새만금 사업의 주요 내용 --------------------------- 8
제 4절 새만금 사업의 쟁점사항 ---------------------------- 9
제 5절 새만금 사업의 기대효과---------------------------- 10

제 4장 조사 방법------------------------------------ 10
제 1절 조사방법---------------------------------------- 10
제 2절 조사 대상규모---------------------------------- 10
제 3절 조사 시기--------------------------------------- 10
제 4절 조사 내용--------------------------------------- 11
제 5장 조사 결과------------------------------------ 11

제 1절 빈도분석--------------------------------------- 11
제 2절 교차분석--------------------------------------- 17

제 6장 결론---------------------------------------- 20
초록---------------------------------------------- 21
참고문헌------------------------------------------- 22

본문내용

전체 응답자 200명 중 16명은 8%에 해당하며 보통이다(4점)라고 답한 여자는 200명중 48명으로 24%에 해당하며 매우 관심있다(7점)에 답한 여자은 전체 200명 중 9명으로 4.5%에 해당한다.
▶성별에 따른 새만금 관심도를 검정한 분석결과를 보면 피어슨의 카이제곱값은 31.048이며 자유도는 (7-1)(2-1)=6이며, 유의도는 점근유의확률 0.000(p>0.05)이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새만금 관심도는 서로 관련이 있다.즉 남성이 여성보다 새만금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제 6장 결론
본 보고서에서는 새만금 사업이 국민의 의사가 검토, 반영되어 진행되는 간척사업으로 조성하는데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지역의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인식 조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만금과 관련된 지역의 주민들은 대부분 새만금에 대해서 긍정적이다. 새만금 사업에 주민들은 반대보다는 찬성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역 주민들은 새만금 찬성이유를 부산을 대체할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의 육성과 지금까지 새만금 추진자금이 막대하므로 다시 복구하는데 필요한 자금의 이유로 새만금을 찬성하는 편이었다. 그에 비해 반대하는 이유로는 새만금 갯벌의 훼손(생태계 파괴)가 주요인이었는데, 주민들의 인식에는 새만금이 갯벌을 파괴하고 환경적으로도 악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렇다면 주민들은 새만금 사업을 중단할 경우 그 갯벌의 활용방안은 어떻게 되는 것이 좋겠느냐는 응답에는 있는 그대로 내버려 두거나, 어업 및 양식업을 하거나, 갯벌체험과 관련된 관광단지를 설립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새만금이 지역경제에 이득이 될 것이다. 지역주민들은 새만금 사업이 지역경제에 이득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개발의 주체가 지역정부(전라북도)이어야 한다는 인식으로 보아 주민들은 새만금 사업이 전라북도를 주축으로 지역의 경제에도 큰 이득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짙었다.
셋째, 새만금 70% 농토지정은 불합당하다. 농토지정에 따른 합당/불 합당의 차이는 미세하지만 주민들은 불합당하다고 생각하였고, 그 농토를 관광단지나 산업단지로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강했다. 주민들은 새만금 간척지 육성방안으로 산업 클로스터로 육성과 관광특구단지라고 응답해 주었는데 지역주민들은 새만금사업이 대부분 관광이나 산업부분으로 육성되기를 원하는 주민이 많았다.
넷째, 새만금 사업 추진 후 그에 따른 보상과 관광객은 큰 변화가 없었다. 지역주민들은 사업에 따른 보상과 추친 후 그 지역을 찾아온 관광객의 수의 변화를 크게 인식하지 못했다. 또한 주민들은 새만금 사업과 관련해서 갈등 및 시위를 한 적이 드문 경우를 보아 지역주민들은 크게 새만금사업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듯 했다. 질문 작성시에도 대부분 보상이나 관광객 변화는 공감하는 부분이 적은 듯 싶었다.
새만금 간척사업에 대한 인근 주민들의 인식조사
새만금 간척사업은 협소한 국토와 높은 인구밀도를 극복하고자 시작되었으며, 완공되면 제주도의 1/4, 여의도의 140배에 달하는 새로운 땅을 얻게 된다. 또한 대규모 우량 농지와 수자원 확보, 수해상습지 해소, 육운개선 및 종합관광권 형성, 환황해권 물류기지 등의 활용으로 지역 발전뿐만 아니라 국가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사업의 1차적 수혜 대상인 군산시 주민 100명(2007년 5월 21일 조사), 부안시 주민 100명(2007년 5월 19일 조사), 김제시 주민 50명(2007년 5월 24일 조사)을 임의로 선정하여 이루어졌고 그중에 군산시 주민 80명, 부안시 주민 80명, 김제시 주민 40명의 질문지가 유효한 분석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조사방법은 개인적 자기기입법을 통한 질문서법을 활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새만금 사업 추진에 대한 찬반, 새만금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효과, 새만금 토지 70%의 농토 지정에 대한 찬반, 새만금 간척지 육성 방안, 새만금 개발의 주체, 시위 참가 여부, 보상에 대한 만족도, 새만금 개발 사업 후 관광객 수의 변화, 새만금 사업의 난제 등은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성별에 따른 관심도는 카이제곱검정 교차 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만금과 관련된 지역의 주민들은 대부분 새만금에 대해서 긍정적이다. 새만금 사업 찬성의 응답자가 155명으로 77.5%였고, 지역 경제에 이익이 된다는 응답자는 161명으로 80.5%에 달하였다. 그리고 개발 주체로는 지방정부(전라북도)가 88명으로 44%에 달해 중앙정부(49명, 24.5%)보다 많아 지역 주민들은 지방정부(전라북도)를 더 지지 하였다.
둘째, 새만금 70% 농토지정은 합당하지 않다. 찬성의 응답자가 94명으로 47%, 반대의 응답자는 106명인 53%로 반대가 근소하게 많았고, 활용 방안으로는 관광특구단지(57명 28.5%), 산업클러스터(45명, 22.5%)가 총 51%로 가장 많았다.
셋째, 현 시점에서 새만금 사업으로 인한 관광객 수의 변화는 미비하다. ‘감소하였다’의 응답자(13명 6.5%)와 ‘변화가 없었다’의 응답자(103명 51.1%)가 57.6%로 ‘증가하였다’의 응답자(68명으로 34%) 보다 많았다. 이는 언론에서 보도한 관광객 증가와는 상반된 결과로, 지역 주민들이 체감하는 상태와 언론 보도가 다른 것으로 보아 새만금에 대한 지역주민의 큰 기대심리가 꺾인 것으로 보인다.
참 고 문 헌
김정균, 「새만금사업에 따른 조류속 및 지형변화」, 전북대학교대학원석사논문, 2001
새만금 간척사업 홈페이지
해양수산부, “우리나라의 갯벌”,1998
김환기, “새만금호 수질보존대책”, 새만금 홈페이지
농업기반공사 홈페이지
강경흠, “공유수면매립의 필요성 국가 전략”, 농어촌 진흥공사 홈페이지
전라북도 새만금 간척사업 홈페이지 http://www.saemankum.go.kr/
새만금사업단 홈페이지 http://www.isaemangeum.co.kr/
http://cafe.naver.com/jongroinf
  • 가격1,6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0.07.17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