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위장관에 대한 실험
① 아드레날린성 약물의 효과
② 콜린성 약물의 효과
2. 심장에 대한 실험
① 아드레날린성 약물의 효과
② 콜린성 약물의 효과
① 아드레날린성 약물의 효과
② 콜린성 약물의 효과
2. 심장에 대한 실험
① 아드레날린성 약물의 효과
② 콜린성 약물의 효과
본문내용
수축력
수축빈도
Acetylcholine
감소
감소
Carbachol
감소
감소
Methacholine
감소
감소
Atropine 투여 후 Acetylcholine
변화없음
변화없음
Atropine 투여 후 Carbachol
변화없음
변화없음
Atropine 투여 후 Methacholine
변화없음
변화없음
Neostigmine
변화없음
변화없음
Atropine 투여 후 Neostigmine
변화없음
변화없음
- 심장에는 주로 β adrenergic receptor (β수용체도 존재하긴 함)와 muscarinic receptor가 존재한다.
- 각 수용체의 분자기전
receptor : 및 protein을 경유하여 AC를 억제하고 통로를 활성화
→ Ach에 의한 심장 박동수의 저하 및 심근 수축력의 저하를 나타낸다.
→ 심장에 대한 Ach의 직접적인 작용 기전 중 receptor에 의한 3가지 중요한 기전
① 심방근이나 동방결절(SA node)과 방실결절(AV node)에서 Potassium current()의 증가
② 심근세포에서 의 slow inward current()의 감소
③ Pacemaker current()의 감소
- 각 약물의 작용과 실험결과 분석
1) Ach : 다른 어느 장기보다 순환기계통에 현저한 작용을 나타내어 심장억제를 일으킨다. 심장에 대해 Ach는 심장박동수와 심근수축력을 감소시킨다. Carbachol과 Methacholine의 약리작용도 같지만 양적으로만 차이가 있다.
⇒ 이론적으로는 수축력과 수축빈도의 감소정도가 다음과 같이 나타나야 한다.
Methacholine>Ach>Carbachol
→ 실험결과에서 Ach, Carbachol, Methacholine이 모두 심근수축력과 수축빈도의 감소를 유발한다는 것은 이론과 일치했다. 하지만 감소정도의 차이는 명확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2) Neostigmine을 투여
⇒ Neostigmine과 같은 항콜린에스테라제 약물의 약리작용은 Ach의 작용과 같은데, 임상적으로 중요한 작용은 눈, 골격근 및 소화관에 대한 것이다.
또한, Neostigmine의 작용으로 AchE의 기능은 억제되지만 In vitro상태에서 Ach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Ach를 투여하지 않았기 때문) 이론적으로는 심장의 수축력과 수축빈도는 모두 변하지 않아야 한다.
→ 실험결과가 이론과 일치한다.
3) Atropine : 치료용량의 Atropine 을 투여하면 신경말단에서 Ach 유리를 억제하는 수용체를 봉쇄하므로 Ach 유리가 촉진되어 일시적인 심박수 감소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심박수 증가각 나타난다. 대량의 Atropine을 투여하면 동방결절(SA node)의 수용체가 봉쇄되어 심박수증가는 더욱 현저해진다.
⇒ Atropine 투여 후에는 수용체가 봉쇄되므로, 이후에 Ach, Carbachol, Methacholine, Neostigmine을 투여하면 이러한 약물의 약리작용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론적으로는 수축력과 수축빈도가 모두 변하지 않아야 한다.
→ 실험결과가 이론과 일치한다.
수축빈도
Acetylcholine
감소
감소
Carbachol
감소
감소
Methacholine
감소
감소
Atropine 투여 후 Acetylcholine
변화없음
변화없음
Atropine 투여 후 Carbachol
변화없음
변화없음
Atropine 투여 후 Methacholine
변화없음
변화없음
Neostigmine
변화없음
변화없음
Atropine 투여 후 Neostigmine
변화없음
변화없음
- 심장에는 주로 β adrenergic receptor (β수용체도 존재하긴 함)와 muscarinic receptor가 존재한다.
- 각 수용체의 분자기전
receptor : 및 protein을 경유하여 AC를 억제하고 통로를 활성화
→ Ach에 의한 심장 박동수의 저하 및 심근 수축력의 저하를 나타낸다.
→ 심장에 대한 Ach의 직접적인 작용 기전 중 receptor에 의한 3가지 중요한 기전
① 심방근이나 동방결절(SA node)과 방실결절(AV node)에서 Potassium current()의 증가
② 심근세포에서 의 slow inward current()의 감소
③ Pacemaker current()의 감소
- 각 약물의 작용과 실험결과 분석
1) Ach : 다른 어느 장기보다 순환기계통에 현저한 작용을 나타내어 심장억제를 일으킨다. 심장에 대해 Ach는 심장박동수와 심근수축력을 감소시킨다. Carbachol과 Methacholine의 약리작용도 같지만 양적으로만 차이가 있다.
⇒ 이론적으로는 수축력과 수축빈도의 감소정도가 다음과 같이 나타나야 한다.
Methacholine>Ach>Carbachol
→ 실험결과에서 Ach, Carbachol, Methacholine이 모두 심근수축력과 수축빈도의 감소를 유발한다는 것은 이론과 일치했다. 하지만 감소정도의 차이는 명확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2) Neostigmine을 투여
⇒ Neostigmine과 같은 항콜린에스테라제 약물의 약리작용은 Ach의 작용과 같은데, 임상적으로 중요한 작용은 눈, 골격근 및 소화관에 대한 것이다.
또한, Neostigmine의 작용으로 AchE의 기능은 억제되지만 In vitro상태에서 Ach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Ach를 투여하지 않았기 때문) 이론적으로는 심장의 수축력과 수축빈도는 모두 변하지 않아야 한다.
→ 실험결과가 이론과 일치한다.
3) Atropine : 치료용량의 Atropine 을 투여하면 신경말단에서 Ach 유리를 억제하는 수용체를 봉쇄하므로 Ach 유리가 촉진되어 일시적인 심박수 감소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심박수 증가각 나타난다. 대량의 Atropine을 투여하면 동방결절(SA node)의 수용체가 봉쇄되어 심박수증가는 더욱 현저해진다.
⇒ Atropine 투여 후에는 수용체가 봉쇄되므로, 이후에 Ach, Carbachol, Methacholine, Neostigmine을 투여하면 이러한 약물의 약리작용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론적으로는 수축력과 수축빈도가 모두 변하지 않아야 한다.
→ 실험결과가 이론과 일치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