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목재 중간 타이핑자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1세기목재 중간 타이핑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山林자원
森林(삼림)
(1)학술적개념
(2)분류적개념

제2절 산림자원의 개발
2.1 고대 및 봉건시대의 임업과 산림정책
(1)고대 인류와 산림 - 원시농경, 화전소전식(나무를 태워 밭을 갈아..)
(2)봉건사회의 임업과 산림정책
2.2 9.15해방 이전의 임업과 산림정책
2.3 20세기말 이후의 임업과 산림정책

제3절 목재자원 이용사
3.1 우리나라 목재자원의 이용사
(1)목재의 단순가공 시대
(2)목재의 물리적 가공시대
3.2 서방의 목재자원의 이용사


제2장 목재자원의 1차산업 : 목재자원의 물리적 가공산업
제1절 목재자원의 물리적 가공산업
제2절 목재자원의 물리-화학적 가공산업
2.1 단판 및 합판
(1)단판(Veneer)
(2)합판(Plywood)

제 2 장 목재자원의 1차 산업
2.1 목재자원의 利用史
(1) 목기시대
(2) 우리나라의 목재자원 利用史
(3) 미국 및 서방의 목재 利用史
2.2 목재자원의 1次(차) 산업
(1) Sawmill(원목, 짜투리목을 제재하는 곳) 산업 (소밀)
(2) 단판(Vineer) 및 합판(Plywood)산업
(3) 펄프(Pulp)및 製紙제지산업
(3) 펄프(Pulp)및 製紙산업
(4)섬유판 제조 산업

제3장 목재자원의 2차 산업
3.1 목재자원의 물리-화학적 구조
(1) 목재자원의 물리적 구조(해부학적 구조 포함)
(2) 목재 자원의 화학적 구조(미에로 화이바에 식이성 섬유질 첨가, 아이스크림 콘 손부분)

본문내용

나오는 중)
Non-Carbon지 : 카본지 없이도 적당한 압력에 여러장이 복사되도록 고안한 용지
(예 : 세금계산서용지, 각종전표용지)
컴퓨터 용지 : 표면 강도가 강하여 신축발생이 없는 용지
(예 : 지하철 Ticket, 고속도로 통행권 용지, 항공권 용지등)
감열용지 : 열을 받으면 인지하여 각종 반응색을 나타내는 용지.
(예 fax용지, 잉크젯용지 등)
각종 벽지원지 : 주택 사무실 등의 건축물 벽에 붙이는 벽지의 용도.
(예 : Tri Pine Dull, Tri Pine Artnouveau 등)
(4)섬유판 제조 산업
① 섬유판의 개요
FAO(Food and Agriculture) 에서 섬유판(fiberboard:FB)을“木材質(목재질) 또는 식물섬
유소물질의 섬유를 원료로 섬유 자체의 結合性(결합성)을 이용하여, 成型(성형) 시킨
板狀材料(판상재료)로서, 강도, 내수성, 내화성, 방부, 방충 등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라고 정의함. 그러나 최근 매우 특이한 기술개발과 응용방법에 의해 지금까지 고전적으로 정의한 섬유판의 정의가 혼돈하게
되었으며 이에 여러 종류의 섬유판을 결합하여 새로운 섬유판을 제조한 수준에 이르러
오늘날은 이들 섬유판을 목질판상제품木質板狀製品(Wood-based panels)로 함께 취급
한다.
② 섬유판의 분류
섬유판은 사용목적에 따라서 여러가지 성질의 것을 얻을 수 있지만 (비중)比重,
(초조방법)抄造方法, 해섬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비중에 따른 분류
non-compressed fiberboard
- semi-rigid insulation board 0.02~0.15 (g/m^3)
- rigid insulation board 0.15~0.40 (g/m^3)
compressed fiberboard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 half hard 0.40~0.80 (g/m^3)
hardboard 0.80~1.20 (g/m^3)
special densified hardboard 1.20~1.45 (g/m^3) : 물에 뜨지 않고 가라앉는 것. (ex:흑단나무 1.1)
(일반 나무나 목질재료에 비중은 보통 0.3~0.7)
ⓑ 抄造法(초조법)에 따른 분류
wet process : 습식압축법(wet pressing) : 다림질하기 전 물을 뿌리는 원리로 압착이
잘되기 위해 하는 작업. (비중이 큰 것, 접착제 같이 뿌림)
dry process : 건식압축법(dry pressing) : 해섬된 섬유에 sheet 위에 접착제를
뿌리고 바로 압착. (비중이 작은 것)
ⓒ 해섬법에 따른 분류
쇄목해섬법(groundwood pulp法) : 뜨거운 증기 상태에서 목재를 그라인딩해서 리그닌 분리 하는 것.
열기계적 해섬법(Asplund Defibrator法) : 섬유를 완전히 기계의 힘에 의해
셀룰로오드와 리그닌 성분 분리.
폭쇄해섬법(Masonite 法) : 압축된 상태에서 빠른 열을 가해서 갑자기 기압을
떨어뜨려 리그닌 제거.
③ 기타 木質板狀製品 (MDF)
ⓐ 집성목集成木(Composite wood) : 얇은 목질 사이에 접착제로 접착 성형.
(두꺼운 목질제품 만들 수 있다.)
(아파트, 사무실 바닥재)
오늘날 접착제의 발달로 목질접착제의 접착성능이 목질자체의 물리적 강도이상으로
우수하여 목질폐재에 이러한 접착성능이 우수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木質板狀製品
(목질판상제품)을 집성목 또는 Composite wood라 한다. 이 집성목의 특징은 매우 큰
목재의 물리적 강도를 지니는 거대한 원목과 같은 역할을 이 자투리 목질폐제로 제조한 집성목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 Compreg wood (비중 0.8~1.5) (도시락 케이스, 일회용 젓가락으로 사용)
목질재료의 또 다른 특징은 해부학적 구조에 있어 많은
細胞內孔(세포내공)-OH(극성물진, 습기나 습도 빨아들이는 성질이 강하다)을 지녀
비중이 1.0보다 훨씬 작은 목질재료가 대다수라는 점이다. 이 세포내공이 결국
목질재료가 지니고 있는 단점, 즉 목질 재료의 수분에 의한 수축, 팽윤, 부후 등을
고분자 수지와 여러 종류의 채색재료를 흡입 시켜, 목질재료의 고유질감과 완벽한 방부,
방충성 뿐만 아니라 목질재료의 수축, 팽윤에 따른 이 판상제품의 뒤틀림 현상도 제거한 매우 고가의 목질 판상제품.
제3장 목재자원의 2차 산업
3.1 목재자원의 물리-화학적 구조
(1) 목재자원의 물리적 구조(해부학적 구조 포함)
① 목질재료의 해부학적 구조의 특징
목질재료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세포벽은 셀룰로오즈 및 헤미셀룰로오즈가
리그닌의 접착성에 의해 아주 밀접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 세포벽인 셀룰로오즈의
구성과 배열, 생장차 및 개체 발생적인 변이에 따라 목질재료의 물리적-화학적 성질도 달라진다.
② 목질재료의 물리적 성질
ⓐ 장점
가공, 공작성이 우수
가볍고 강하다(중량에 대한 휨강도가 철재보다 크다)
허용하중의 2배의 정하중에 견딘다.
열절연 효과 우수
열팽창이 작다.
전기절연성이 크다
점탄성적 성질이 있다
ⓑ 단점
3방향에 따라 이방성
함수율에 따라 치수가 변화
미생물·곤충 및 기타 작용에 의해 열화작용
불에 탄다
(2) 목재 자원의 화학적 구조(미에로 화이바에 식이성 섬유질 첨가, 아이스크림 콘 손부분) 소화흡수가 되지 않고 변으로 배출. (다이어트에 도움)
① 목질재료의 원소조성
ⓐ 화학물질의 조성비 : 탄수화물 炭水化物 탄소와 H20의 결합으로 되어있다.
탄소(C) : 50%
수소(H2) : 6%
산소(O2) : 44%
기타(무기물 및 질소) : 0.1~0.3%
ⓑ 화학식 C1.5 5H2.1 O1.0
② 목질재료의 화학적 조성비
o침엽수 o
cellulose : 40~45%
hemicellulose : 11~20%
lignin : 27~30%
extractives : 2~5%
o활엽수 o
cellulose : 45~50%
hemicellulose : 15~20%
lignin : 20~25%
extractives : 1~3%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10.19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