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심층수의 특징 및 활용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양심층수의 특징 및 활용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해양심층수 특성
2. 해양심층수의 산업성
(1) 해양심층수 산업화 전망
① 미국
② 일본
3. 수질조정기술 개발
(1) 막여과기술(NF/RO)
(2) 전기투석기술
4. 국내 해양심층수 연구 사례
(1) 해양수산부(한국해양연구원)
(2) 한국수자원공사

III. 결론

* 참고 자료

본문내용

시되었다.
(2)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공사는 해양심층수 연구개발사업의 참여의 일환으로 2004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해양연구원과 해양심층수의 수자원화 공동연구를 위한 투자약정 및 해양수자원의 개발·이용을 위한 연구협력 약정(MOU)을 맺었다. 투자약정내용으로는 한국수자원공사가 20억 원을 연구개발비로 투자한다. 양 기관은 해양심층수의 해수담수화에 의한 ‘수돗물 및 음용심층수’ 이용에 대한 연구개발을 공동으로 강원도 고성에 2005년 건립예정인 해양심층수공동연구센터에서 수행한다. 해양심층수공동연구센터는 해양심층수 실용화를 위한 연구개발 기반 및 지원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한국해양연구원의 주관으로 부지 2천200평, 건평 770평에 연구개발동, 산업특성화 실험동, 수산특성화 실험동, 전시홍보관 등으로 조성될 예정이며 해양심층수 최대 1천 ㎥/일을 취수할 수 있게 된다.
기반조성비로는 총 80억 원이 소요되며 한국수자원공사가 20억 원을 투자하고 연구실 2실(총 34㎡, 연구실 및 다용도실), 실험실 2실(총 88㎡, 간이분석실/기기실 및 플랜트실) 및 해양심층수 원수 60㎥/일의 무상제공을 투자지분으로 확보하게 된다. 특히, 해양수자원의 개발·이용을 위한 연구협력 약정(MOU)에서는 해양심층수의 다목적 개발, 해저용출수의 개발 및 이용,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기타 해양수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이용을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III. 결론
해양심층수는 청정하고 고품격의 해수자원으로써 미국, 일본에서는 이미 연구개발 및 산업화가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한국해양연구원 및 한국수자원공사가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더욱이 해양심층수의 이용방안 및 경제성에 있어서는 해양심층수의 원수취수대금을 비롯해서 기능성 생수, 기능성 소금, 냉방 및 냉장, 어패류양식 등에 상당한 경제적 이득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며 산업 활성화가 촉망된다. 그러므로 해양심층수 자원을 이용하여 물 부족 현상의 완화와 국민에게 청정하고 유익한 신규수자원의 제공이 기대되며, 이를 위해서는 해양수자원의 개발 및 그 특성을 고려한 해수담수화와 공급관리 체계화 등에 대한 효율적인 연구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 참고 자료
과학동아, 2003년 10월, 김현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심층수연구센터장
KBS, 일요스페셜「신비의물 해양심층수」
신동아, 2006.05.01, 통권 560 호「해양심층수」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1.10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7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