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펼치며
1. 제7차 교육과정의 전반적 검토
1-1. 편성의 배경
1-2. 기본 방향
1-3. 성격
1-4. 특징
1-4-1.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
1-4-2. 고교 2․3학년의 학생 선택 중심교육과정의 도입
1-4-3.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1-4-4. 재량 활동의 신설․확대
1-4-5. 특별활동 교육과정
1-4-6. 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 체제 확립
1-4-7.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창의성, 정보 능력 배양
2. 7차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2-1.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부적절성
2-2. 허울뿐인 선택중심 교육과정
2-3. 수준별 교육과정의 허와 실
2-4. 심화․보충형의 문제점
2-5. 재량 활동 시간은 강제 활동 시간?
2-6. 이름뿐인 특별활동
3. 국어과 7차 교육과정(6차 교육과정과 비교하면서 그 특징 분석)
4. 국어과 7차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Ⅲ. 나가며
Ⅱ. 펼치며
1. 제7차 교육과정의 전반적 검토
1-1. 편성의 배경
1-2. 기본 방향
1-3. 성격
1-4. 특징
1-4-1.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
1-4-2. 고교 2․3학년의 학생 선택 중심교육과정의 도입
1-4-3.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1-4-4. 재량 활동의 신설․확대
1-4-5. 특별활동 교육과정
1-4-6. 질 관리 중심의 교육과정 평가 체제 확립
1-4-7.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창의성, 정보 능력 배양
2. 7차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2-1.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부적절성
2-2. 허울뿐인 선택중심 교육과정
2-3. 수준별 교육과정의 허와 실
2-4. 심화․보충형의 문제점
2-5. 재량 활동 시간은 강제 활동 시간?
2-6. 이름뿐인 특별활동
3. 국어과 7차 교육과정(6차 교육과정과 비교하면서 그 특징 분석)
4. 국어과 7차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Ⅲ. 나가며
본문내용
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창조적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국어과 교육을 구인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개선이 요구된다. 교육은 시대적, 사회적 요구와 무관할 수 없으며, 교육과정은 교육이 사회적 책무를 다 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현대 사회는 교육에 창조적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인간, 곧 창의적 지식인을 육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특히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면에서 이런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어과 교육에서 길러야 할 창의적인 지식인에 대한 합의, 그리고 창의적인 지식인을 육성하는데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실현성 있는 계획이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되어야 한다.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이 설정되고, 국어과가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운영됨에 따라 6차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된 국어과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였다. 교육과정 편제 구성과 운영 방식이 변화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 학교급의 개념이 적용하기 어렵게 되어 국어과의 성격을 일괄적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그 내용을 보면, 제 6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가시적인 변화로는 학교급별 강조점이 없어지고, '성격' 마지막 문단
) "국어과 학습은 학습 능력과 성취 수준을 고려하여, 정확하고, 해석적이며,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수준으로 국어를 사용하는 경험이 확대되도록 하는 학습 활동에 중점을 둔다."(교육부, 1997:29)
에 '수준'이라는 단어가 제시된 것뿐이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으로서의 '국어'가 고등학교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의한 '국어 생활', '화법', '독서', '작문', '문법' '문학'과 어떻게 다른지, 국어과에서 수준별 교육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내용이 없다.
뿐만 아니라,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에는 국어과의 교육 내용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 지식, 문학의 여섯 영역이 서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단지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
)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의 개념도 모호하다. '국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한다.', 또 '국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갖는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교육과정에서 분명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향상을 국어과 교육의 최상위 목표로 설정하고 , 이 여섯 영역이 목표 달성에 필요한 교육 내용이라고만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여섯 영역이 모두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 필요한 것이라면 서로 무관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영역들 간에는 서로 어떤 관계가 있고, 각각은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에는 이런 내용들이 모두 빠져 있다.
Ⅲ. 나가며
지금까지 제 7차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과 국어과 7차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각각을 비판해보았다.
참고 문헌
·김수천, 『교육과정과 교과』, 서울 : 교육과학사, 2003.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 총론·특별활동』, (주)대한교과서, 1998.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 과정』, (주) 대한교과서, 1998.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 국어, 도덕, 사회』, (주) 대한교과서, 1999.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 - 국어』, (주) 대한교과서, 2001.
·정혜승,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참고 싸이트
·전국교직원노동조합(http://moim.ktu.or.kr)
·교육인적자원부(http://www.moe.go.kr)
마지막으로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창조적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국어과 교육을 구인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개선이 요구된다. 교육은 시대적, 사회적 요구와 무관할 수 없으며, 교육과정은 교육이 사회적 책무를 다 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현대 사회는 교육에 창조적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인간, 곧 창의적 지식인을 육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특히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면에서 이런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어과 교육에서 길러야 할 창의적인 지식인에 대한 합의, 그리고 창의적인 지식인을 육성하는데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실현성 있는 계획이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되어야 한다.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이 설정되고, 국어과가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운영됨에 따라 6차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된 국어과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였다. 교육과정 편제 구성과 운영 방식이 변화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 학교급의 개념이 적용하기 어렵게 되어 국어과의 성격을 일괄적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그 내용을 보면, 제 6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가시적인 변화로는 학교급별 강조점이 없어지고, '성격' 마지막 문단
) "국어과 학습은 학습 능력과 성취 수준을 고려하여, 정확하고, 해석적이며,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수준으로 국어를 사용하는 경험이 확대되도록 하는 학습 활동에 중점을 둔다."(교육부, 1997:29)
에 '수준'이라는 단어가 제시된 것뿐이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으로서의 '국어'가 고등학교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의한 '국어 생활', '화법', '독서', '작문', '문법' '문학'과 어떻게 다른지, 국어과에서 수준별 교육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내용이 없다.
뿐만 아니라,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에는 국어과의 교육 내용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 지식, 문학의 여섯 영역이 서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단지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
)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의 개념도 모호하다. '국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한다.', 또 '국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갖는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교육과정에서 분명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향상을 국어과 교육의 최상위 목표로 설정하고 , 이 여섯 영역이 목표 달성에 필요한 교육 내용이라고만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여섯 영역이 모두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 필요한 것이라면 서로 무관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영역들 간에는 서로 어떤 관계가 있고, 각각은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에는 이런 내용들이 모두 빠져 있다.
Ⅲ. 나가며
지금까지 제 7차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과 국어과 7차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각각을 비판해보았다.
참고 문헌
·김수천, 『교육과정과 교과』, 서울 : 교육과학사, 2003.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 총론·특별활동』, (주)대한교과서, 1998.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 과정』, (주) 대한교과서, 1998.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 국어, 도덕, 사회』, (주) 대한교과서, 1999.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 - 국어』, (주) 대한교과서, 2001.
·정혜승,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참고 싸이트
·전국교직원노동조합(http://moim.ktu.or.kr)
·교육인적자원부(http://www.moe.g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