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CAOD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성인 건강사정도구

∥. 신체 검진 지침

본문내용

을 완전히 폐색
-> 큰 동맥을 통해 흐르는 혈류를 폐쇄 : 이 동맥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는 다른 조직에 허혈(ischemmia)을 초래
-> 기타 원인에 의한 소동맥의 수축시 허혈증상은 더 커짐.
-> 폐색된 부위 부분에서 가까이에 있는 작은 동맥의 혈압과 혈류를 떨어뜨리게 되고 혈 전증(thrombosis)와 괴저(gangrene)을 초래
-> 혈액의 점도상승, 고피브리노겐혈증(hyperfibrinogenemia) 및 상대적으로 높은 hematocrit 유발
E. 임상 증상
-혈전증(thrombosis)와 같은 급성 폐쇄증이 아닌 경우 점진적으로 발현한다.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운동중에 통증, 경련, 감각상실, 또는 근 쇠약증(muscle weakness)이 나타나는 간헐적인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
♠ 간헐적 파행
: 종아리에 쥐가 나는 듯한 통증
: 운동으로 긴장된 근육에 혈액공급이 부족해서 생긴다.
: 처음에는 한쪽 다리에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 양쪽에 다 생길 수 있으며 양쪽에 다 증상이 있을때에는 한쪽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 장기간의 보행후에 발생하고 휴식으로 완화된다.
- 휴식중에 통증, 감각이상(paresthesias) 및 감각상실(numbness)이 있다. 이러한 상태 에서 궤양형성(ulceration)과 괴저(gangrene)이 흔하다.
- 신체검진시 촉진에 의해 알 수 있는 박동의 이상. - 병변이 있는 동맥에 수축기 부루이(systolic bruits) - 팔다리의 피부에 색깔과 온도 변화 - 부종 및 심각한 신경장애가 있는 환자에서의 지각감퇴와 반사 저하등이 있다.
F. 진단
- 병력과 신체검사에 기초 - 관련 질병의 규모와 예후 및 치료를 결정하기 위해 혈액화학(blood chemistry), ECG, X-ray검사와 같은 일반적인 검사를 한다.
- 동맥이 폐색된 정도는 휴식시와 운동 후 파행이 나타날 때까지의 팔다리의 혈압을 Doppler probe나 duplex ultrasonography와 다양한 혈량계술전에 질환의 위치를 정확 히 알기위해 사용
G. 치료
- 치료 목적은 질병의 진전을 막는 것과, 혈류를 개선하는 것, 통증의 완화 및 궤양형성 (ulcertion)과 괴저(gangrene)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 고지단백혈증의 조절, 관련 질병의 조절, 금연으로 질병의 진전을 예방한다.
- 침상안정. 진통제.
- 간헐적 파행으로 활동의 불편함 시: arterial sugery, angioplasty로 혈류를 개선한다
- 팔다리 혈류를 개선시키기 위해 주위 온도를 따뜻이 하고,침상 머리부분을 12~16inch 높인다.
- 운동을 함으로써 측부혈류를 증가시킨다.
- 날마다 운동은 경중등도의 간헐적 파행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이다.
※대상자와 질환 비교
-대상자는 3년 전부터 다리 저린 느낌이 들고 걸을 때 통증이 있었다고 함.
-지난 2003년 9월 처음 본원 외래 방문하여 DM을 확인.
-3년전 HTN 진단받아 medication 중이었음
-초기 vericose vein으로 입원 하였으나, Cardioangiography 상 CAOD ,PAOD 로 진단 받음.
-복재동맥 이용한 CABG 시술 받음(2003.9.28)
-2년전까지 하루 1갑씩의 담배를 피웠으며, 고혈압이 있었으므로 CAOD의 위험요인이 있었다.
-EKG 시행시 비정상 소견 보여 thallium scan검사 실시하여 협착소견 보였으며
-C-angio에서 관상동맥의 우측후방분지, 좌전하동맥 중격분지에 occulusion소견을 보였다.
-흉통과 같은 임상증상은 없었다고 함.
=다리의 탄력성이 없었고 정맥이 많이 노출된 상태로 구불구불한 전형적인 모습을 보였음
=걸을 때 저리고 아프시다고 함.
=발끝에 감각은 있었으며 매우 창백하여 하얀 발바닥의 모습을 보이심.
다. 진단 검사
1) EKG : abnomal
2) 심초음파(9/17): 좌심실근 비대, 중격이 현저한 모습(septal predominant)
3) C-angio(9/19): 관상동맥 우측후방분지- total occulusion
좌전하동맥 중격분지-50~70% stenosis 소견
4) thallium(9/17): mild decreased perfusion (관류 중정도 저하)
5) 임상검사
Hb/Hct: 13.0/38.3,---남성:13.5~18/40~54%(N)
Na+/K+/Cl-: 142/4.4/10.4--- 135~147/3.5~5.4/9~10.8(N)
glucose: 115---60~100(N)
BUN/Cr: 14.3/1.2---7~25/1.5이하(N)
PT/PTT: 12.3/33---10.2~13.8(INR 2~3)/28~42(INR 1.5~2)(N)
♠ 위의 임상검사는 수술전의 임상결과와 진단검사들임을 밝힘
-Hb/Hct 수치가 약간 낮음.
-환자 mild한 DM으로 정상소견보다 약간 높은 혈당수치
-그외 임상 수치는 정상범위
6) 특별 관리:PT 체크 및 혈당 체크
① 혈중 glucose 측정
10/4----오후 2시:127
10/7----오전 6시:140
오후 2시:175
10/10---오전 6시: 154
오후 2시:192
10/11---오전 6시:121
오후 2시:1600kcal 당뇨식이 stop
♠ 환자는 초기아침 공복시 혈당이 126이상인 경우가 많았고 식후 2시간 혈당이
200을 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심한 당뇨병이라기 보다 내당능 장애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혈 포도당 농도(mg/dl)>
시간
정상
내당능 장애
당뇨병
공복
109이하
110~125
126이상
1시간
180이하
200이상
200이상
2시간
140이하
140~199
200이상
② PT(INR)
10.2---1.23
7---3.85
9---4.13
12--2.22
13--1.86
14--1.83
♠ 대상자 수술후 coumadin 사용과 관련 꾸준히 PT 체크 하였으며
퇴원일 (14일)경 INR 2정도 유지하며 정상소견 보였음
라. 치료 및 처치(10월 7일 처치내용
- Blood Sugar check
- IV Lock apply
- 복재정맥 다리 부위 소독 및 드레싱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3.2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