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장][노자와 장자]노장(노자와 장자)의 사상, 노장(노자와 장자)의 우주생성론, 노장(노자와 장자)의 道(도)개념, 노장(노자와 장자)과 수묵미학, 노장사상(도가사상)과 도교, 노장사상(도가사상)과 청담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장][노자와 장자]노장(노자와 장자)의 사상, 노장(노자와 장자)의 우주생성론, 노장(노자와 장자)의 道(도)개념, 노장(노자와 장자)과 수묵미학, 노장사상(도가사상)과 도교, 노장사상(도가사상)과 청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노장(노자와 장자)의 사상

Ⅱ. 노장(노자와 장자)의 우주생성론

Ⅲ. 노장(노자와 장자)의 道(도)개념

Ⅳ. 노장(노자와 장자)과 수묵미학
1. 왕필王弼의 득의망상得意忘象(정신을 터득한 후 형상을 버림)
2. 고개지顧愷之의 전신사조傳神寫照(정신이 전해져 그림으로 드러남)
3. 종병宗炳의 징회미상澄懷味象(마음을 맑게 하여 형상을 음미함)

Ⅴ. 노장사상(도가사상)과 도교
1. 교리의 체계화
2. 제신과 경전
3. 도교의 방술
4. 한국의 도교

Ⅵ. 노장사상(도가사상)과 청담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는 지선(地仙)이 되며, 하자(下者)는 혼백이 육체로부터 분리되어 시선(尸仙:人仙)이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전적으로 이와 같은 연단술(鍊丹術)만을 닦는 것이 아니라 적덕행선(積德行善)하고 계율을 지켜야 진선(眞仙)이 된다고 하여 도덕적 측면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4. 한국의 도교
도교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된 것은 삼국시대(624:고구려 영류왕 7년)이다. 신라와 백제에도 비슷한 시기에 전래되었으나 도교신앙은 고구려에서만 성행하였다. 그것은 천제(天祭)무속(巫俗)산악(山岳) 신앙 등 지리적 여건으로 종교적 의식이 강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책적으로 국가에서 적극 수용 권장한 데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백제와 신라에서는 종교적 신앙보다는 노자(老子), 장자(莊子)의 서적을 통한 무위자연(無爲自然)사상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자체사상과 융합하면서 선도(仙道)선풍(仙風) 의식을 심화시켜 나가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신라가 통일한 이후에는 당(唐)나라 유학을 하고 돌아온 사람들 중에 양생(養生) 보진(眞)을 도모하는 사람이 있어 단학(丹學)의 성격을 가지는 수련(修鍊)도교의 양상을 드러내는 현상도 없지 않았다. 도교가 가장 성행했던 시기는 고려시대라고 할 수 있다. 중세에 해당하는 고려시대는 신앙의 시대, 종교의 시대라고 할 만큼 신(神) 중심의 나라였다. 불교가 그 중심 종교이기는 했지만 귀신영성(靈星)산신(山神), 그리고 무속(巫俗)과 더불어 도참(圖讖)사상이 병존하여 모든 것이 기복(祈福)종교의 현상을 띄는 것이 이 시대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교 역시 여러 민간신앙과 잡유(雜)되면서 불교 도참사상과 함께 하여 현세이익(現世利益)을 희구하는 양재기복(禳災祈福)의 기축(祈祝)행사가 성해, 그 풍습이 민간생활에까지 뿌리를 내렸다. 국가적으로는 호국연기(護國延基)를 바라는 재초(齋醮:도교 제사)행사가 크게 행하여졌으며, 특히 예종(睿宗:1105~1130)은 복원궁(福源宮)이라는 도관(道觀:도교 사원)을 건립하는 등 도교를 크게 진작시켜 불교보다 더 중시하기도 하였다. 예종은 복원궁을 건립하기 이전에도 그의 즉위 2년에 연경궁(延慶宮) 후원에 있는 옥청정(玉淸亭)에 도교의 최고신인 원시천존상(元始天尊像)을 모시고 달마다 초제(醮祭)를 지냈고 청연각(淸燕閣)에서 노자 도덕경을 강론토록 하였다고도 한다. 이러한 도교의 성행은 민간에 수경신(守庚申)이라는 도교습속(道敎習俗)까지 낳게 하여 그 풍습이 오늘에 이른다. 조선시대로 넘어 오면서도 재초 중심의 도교는 그대로 이어졌으나 중종(中宗:1506~1544) 때에 이르러서는 조광조(趙光祖:1482~1519) 등의 유학 선비들의 상소로 소격서(昭格署:재초 등 도교행사를 관장하던 관청)가 혁파(革罷)되는 등 점차 위축되어 갔으며, 임진왜란(1592) 이후에 초제를 행하는 의식도교의 모습은 완전히 없어졌다. 그러나 궁중이나 민간에 뿌리내려진 수경신 등의 도교풍습은 그대로 존속하여 왔고 식자층에서는 노자장자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더불어 양생 보진의 수련도교에 종사하는가 하면 참동계(參同契) 용호비결(龍虎秘訣) 등의 도서(道書)를 주해 및 연구 저술하는 사람들이 있어 도교의 사상적 측면은 계속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도교는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이후 크게 의식도교와 수련도교의 두 맥을 이루면서 종교사상은 물론 문학예술 등 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끼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Ⅵ. 노장사상(도가사상)과 청담
중국의 위(魏)진(晉)육조(六朝) 시대에 유행한 철학적 담론(談論). 후한(後漢) 때 당고(黨錮)의 화(禍)로 많은 고절(高節)의 선비가 횡사한 이래 귀족적 지식인들은 난세에 생명을 부지하고자 세속(世俗)에서 도피, 예절의 속박을 버리고 정치적 비판, 인물 평론을 중심으로 한 청의(淸議)를 일삼았다. 위(魏)나라에 들어와 정치적 언론탄압(言論彈壓)과 유학(儒學)의 쇠퇴를 계기로 노장(老莊)의 공리(空理)에 바탕한 철학적 담의(談議)로 발전, 청언(淸言)이라고도 하였다. 죽림7현(竹林七賢)을 대표로 하는 탈속적 지식인들의 사교계의 산물에 지나지 않으나 당시의 청담가로서는 위나라의 하안(何晏)과 왕필(王弼), 서진(西晉)의 왕연(王衍)악광(樂廣) 등이 유명하다. 동진(東晉)시대에는 이 때 퍼지기 시작한 불교의 교리까지도 청담의 대상으로 하여, 한때는 세속적인 정신에 저항, 참되고 영원한 것을 구하려는 면도 보였으나, 이것이 귀족의 사교장에서 발생된 것이었기 때문에 역시 전체적으로는 오락적 분위기를 벗어날 수 없었다. 남북조시대에 와서는 청담의 형식도 바뀌어 오히려 공개토론회 같은 성격을 띠게 되었으나 귀족적 오락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었다. 이러한 풍조는 불교의 성행으로 결국 쇠퇴하고 말았으며, 이 시대의 청담을 모은 책으로는 남송(南宋)의 유의경(劉義慶)이 저술한 《세설신어(世說新語)》가 있다.
청담과 관련된 것으로 죽림칠현이라는 것이 있는데, 중국 위(魏)진(晉)의 정권교체기에 정치권력에는 등을 돌리고 죽림에 모여 거문고와 술을 즐기며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완적(阮籍)혜강(康)산도(山濤)향수(向秀)유영(劉伶)완함(阮咸)왕융(王戎) 등으로서 그들은 개인주의적무정부주의적인 노장사상(老莊思想)을 신봉하여 지배권력이 강요하는 유가적 질서나 형식적 예교(禮敎)를 조소하고 그 위선을 폭로하기 위하여 상식에 벗어난 언동을 감행하였다. 루쉰[魯迅]은 그들의 도피적 처세술이나 기교(奇矯)한 행동이 정치적 압력에 대한 소극적 저항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들이 그룹을 형성한 것은 일시적인 것이고 결국 집권자에게 죽음을 당하거나, 타협하여 관계로 돌아가거나 하여 모두 흩어졌지만, 그 풍부한 일화는 그 후 《신설신어(新說新語)》 등 인물평론이나 회화의 좋은 제재가 되었다.
참고문헌
감산, 감산의 노자풀이, 서광사
감항배(1992), 장자의 지식론, 도교학연구 9호, 한국도교학회
김학모, 노자의 무위자연과 장자의 소요
노태준 역(1994), 도덕경(노자), 서울 : 홍신문화사
이강수(2002), 노자와 장자, 길의 사상총서
장순용 역(1998), 장자가 노자를 이야기하다, 자작나무

키워드

노장,   노자,   장자,   도교,   청담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